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보도] 김영환 명지대 명예교수, “한국 노동운동, 계급투쟁 벗어나 노동선진국의 변화된 모습 바로 봐야“

자유경제원 / 2014-08-29 / 조회: 2,466       경제풍월
김영환 명지대 명예교수, “한국 노동운동, 계급투쟁 벗어나 노동선진국의 변화된 모습 바로 봐야“<미국형 노사관계의 틀을 다시 생각한다> 김영환 명지전문대 명예교수 발표
배만섭 기자  |  teuss@econotalking.kr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4.08.28  17:12:52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네이버구글msn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이 8월 28일 김영환 명지전문대학 명예교수에 의뢰해 발표한 현안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이 과거 1980년대 노동선진국의 투쟁노선을 모방한 만큼 지금은 그들의 달라진 모습에서 무엇인가 배울 때가 되었음이 드러났다. 
  
2009년 전미자동차노조(UAW)가 미국 GM을 파산시키기까지 했던 미국 노사관계에 변화가 일고 있다. 전미자동차노조가 올해 폭스바겐 공장에 조직 결성을 시도하였으나, 노조 결성에 실패한 것이다. 미국형 노사 관계에 지각 변동이 나타남에 따라 국제 노사관계 비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최초로 직종별(산업별)노조 운동을 일으키며 계급투쟁을 선도했던 영국의 TUC(TradesUnion Congress)도 1999년 이래 기업과 목표를 공유하는 파트너십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 역시 서독형 워크스카운슬을 전면 도입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국제 현상에 대해 “21세기 노사관계가 ① 목숨을 건 계급투쟁을 피하여 ② 경영자와 종업원의 대화 창구를 열고 ③ 일하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며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규정했다. 
  
한국의 노사 현실에 대해 보고서는 “1987년 민주화 이후 전투적 노동운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삼각구도의 노사정위원회를 발족시켰으나 노조가 유럽의 계급투쟁 노선을 모방해 취함으로써 노사관계가 얼어붙었다”며 “민주노총의 반복되는 투쟁 전술에 속수무책이던 정부는 일하는 정부로 남고 싶어 노사정위원회를 발족시켰지만, 민노총이 참가를 거부하여 운신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최경환 경제팀이 제안한 노사정 대타협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노동 운동도 과거 투쟁을 배웠던 노동선진국들의 달라진 모습에서 무엇인가 배울 때가 되었으며, 이제는 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김 교수는 조언했다. 이어 “한국의 노동도 마음의 문을 열고 차세대 노동이 본받고 따를 수 있는 큰 행적을 남길 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49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기업가정신의 다층적 가치 조명
자유기업원 / 2025-04-30
2025-04-30
9348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7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 자유시장경제의 성장 동력 기업가정신 의미 다시 묻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6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을 기념하는 ‘북 콘서트’가 성황리에 열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5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5
2025-04-25
9344 대선 의제 급부상 `주 4.5일제`…"몰아서 일하고 쉬기" VS "근로시간 단축"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3 [직설] 대선 앞두고 화두로 떠오르는 정년연장…유권자 사로잡을 공약은?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2 대선 핵심 이슈 된 정년연장…"65세 정년" VS "재고용"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1 “한국,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0 자유기업원, 이슈와자유 제11호 “비대면 진료 법제화 필요성과 후속과제” 발간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39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38 "플랫폼 규제 필요" vs "자율규제로 충분"···산·학·연 엇갈린 시각
자유기업원 / 2025-04-22
2025-04-22
9337 `제2회 좋은규제시민포럼`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4-22
2025-04-22
9336 자유기업원 “국회 상법 개정안 재표결 부결 다행”
자유기업원 / 2025-04-17
2025-04-17
9335 자유기업원, ‘이슈와자유’ 제10호를 발간하며 “노란봉투법 재발의 추진 중단되어야”
자유기업원 / 2025-04-16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