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집 주인은 남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 좋은 빵 만들죠"
"이런 이기심이 빵집 주인과 우리를 이롭게 만들어요"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자신의 저서 『국부론』에서 시장경제의 원리 '보이지 않는 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리가 저녁 식사를 기대할 수 있는 건 푸줏간 주인, 양조장 주인, 빵집 주인의 자비심 덕분이 아니라 그들의 돈벌이에 대한 관심 덕분이다. 우리는 그들의 박애심이 아니라 자기애에 호소하며, 우리의 필요가 아니라 그들의 이익만을 그들에게 이야기할 뿐이다.”
애덤 스미스가 본 '보이지 않는 손’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을 신의 영역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서 찾고자 했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타고난 이기심이다. 애덤 스미스는 모든 사람은 경제 활동을 할 때, 인간의 본성에 충실하게 '이기심’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의 이기심이란 '자신만 살겠다고 다른 사람을 짓밟거나 해치는 몹쓸 심보’가 아니다. 자신을 위하는 마음, 다시 말해 지금보다 더 잘살고 싶어하는 무한한 욕망을 뜻한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만족하고 안주하기보다는 더 나은 삶, 더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기를 원하는, 즉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이 곧 이기심이다. 경제 활동을 할 때 이기심은 인간을 더욱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이끌어준다. 강한 동기 부여를 심어주는 셈이다.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한 이익을 추구하고 성취해나갈 때 더욱더 열심히, 꾸준히, 성실히 노력하면서 살게 되기 때문이다.
이기심이 경제 활동을 원활히 한다
이를테면 어떤 빵집 주인이 있다. 빵집 주인은 돈을 많이 벌어서 큰 집과 값비싼 가구, 멋진 옷을 사고 싶어 한다. 빵집 주인이 그것들을 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빵을 하나라도 더 팔아 돈을 벌려고 노력할 터. 새벽같이 일어나 신선한 빵을 굽는다거나 남들과 차별되는 독특하고 맛있는 빵을 새롭게 개발하는 노력을 다할 것이다. 이런 노력은 결과적으로 빵집이 제공하는 상품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고, 빵집의 매출로 이어지게 된다.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누구나 같은 빵이라면 더 신선하고 맛있는 빵을 사려고 하지 않겠는가. 결국 우리가 신선하고 맛있는 빵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돈을 많이 벌어 잘살고 싶어 하는 빵집 주인의 이기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의 이기심은 자신의 삶을 더 나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으로 궁극적으로 모두 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드는 원동력이다. 또한 이 인간의 이기심이야말로 모든 경제 활동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게 조정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보이지 않는 손’이다.
사익 추구가 공익을 낳는다
잘 생각해보자. 언뜻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개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자율적으로 알맞은 균형점을 찾고 결국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경제 흐름을 만들어내지 않는가. 따라서 모든 사람이 자기 이익만 추구해도 경제가 발전하고 삶이 풍요로워지며 사회 화합이 더욱더 잘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애덤 스미스의 핵심 주장이다.
애덤 스미스는 국가의 부를 증대하려면 인간의 본성을 가장 자유롭고 안전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국가나 기관 등에서 인간의 이기심을 억압하는 일 없이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가 가장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상태, 자유로운 경제 환경이야말로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모두 다 함께 잘사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국가나 기관이 굳이 개입하지 않아도 경제 분야의 주역인 모든 사람이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경제 활동을 해나가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아주 자연스러운 행위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과 조화를 이뤄낸다는 것, 그것은 오로지 시장을 가장 시장답게 할 때라야 가능한 것이었다.
■기억해주세요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을 신의 영역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서 찾고자 했다. 인간의 타고난 이기심이 바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주장이다. 각자는 자기 본성에 충실하게 경제 활동을 해도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할 수 있다고 했어요.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
320 | ‘농망(農亡) 4법’이 맞다 권혁철 / 2024-11-27 |
|||
319 | 교육개혁? 시장에 답이 있다 권혁철 / 2024-11-13 |
|||
318 | 잘 살고 못 사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권혁철 / 2024-10-23 |
|||
317 | 자본이 어려운 당신에게 최승노 / 2024-10-10 |
|||
316 | 겨울 해수욕장에는 ‘바가지요금’이 없다 권혁철 / 2024-10-10 |
|||
315 | 국민연금 제도 자체에 대한 고민 필요하다 권혁철 / 2024-09-24 |
|||
314 | 이유 있는 금융 부문 낙후...작은 정부 구현은 금융 규제 개혁부터 권혁철 / 2024-09-11 |
|||
313 | 뜬금없는 한국은행의 대학생 선발 방식 제안? 본업에 충실하길... 권혁철 / 2024-08-28 |
|||
312 | 복지 천국으로 가는 길은 노예로의 길이다 권혁철 / 2024-08-14 |
|||
311 | ‘노란봉투법’ 통과되더라도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해야 권혁철 / 2024-07-24 |
|||
310 | 저출생의 무엇이 문제인가? 권혁철 / 2024-07-11 |
|||
309 | 국민연금 운용 독점의 부작용 최승노 / 2024-07-08 |
|||
308 | ‘인플레이션’ 용어의 왜곡과 정부의 숨바꼭질 놀이 권혁철 / 2024-06-26 |
|||
307 | 부동산 규제 철폐할 기회를 놓치지 않기를 권혁철 / 2024-06-12 |
|||
306 | 시진핑 `신에너지 경고`의 의미 최승노 / 202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