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보도] 자유경제원 “작은정부·무역자유 등이 세계경제자유 ‘견인’”

자유경제원 / 2014-07-10 / 조회: 2,276       뉴스웨이

자유경제원 “작은정부·무역자유 등이 세계경제자유 ‘견인’”

기사입력 2014-07-10 16:57 | 최종수정 2014-07-10 16:57

  • 프린트
  •  
  •  
  •  
  •  
  •  
무역 자유의 확대와 통화건전성 증가가 전세계 경제자유를 견인하고 있다는 계량분석 결과가 나왔다. 반대로 정부가 강조되는 정치적 사건은 경제자유 악화의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원내 경제자유분석연구회 고선 중앙대 교수가 1970년에서 2011년까지의 빅데이터를 계량 분석한 결과에 대해 10일 밝혔다.  

정부 효율화 및 통화건전성 증가, 무역자유의 확대가 전세계 경제자유지수의 상향평준화를 이끌고 있다는 게 연구 결과의 핵심이다.  

고선 교수가 1970년 이래 2011년 기간 전세계의 평균 경제자유지수 변화를 계량 분석한 결과 하위권 국가의 지수값 상승이 두드러지게 관찰됐다.  

고 교수에 따르면 정부규모, 통화 건전성, 무역자유 부문에서의 지수값의 상승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요인이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재산권 보호와 시장 규제 항목의 변동성은 다소 적은 것으로 관찰됐는데 이에 대해 고 교수는 “제도나 규제라는 것이 역사적 사건으로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경제자유도를 평가할 때 이런 역사적 변동 요인에 특별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규모를 나타내는 지수는 역사적 변동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경향을 보였다. 정변과 경제자유지수를 상관 분석한 결과 정변이 발생하면 성공의 여부를 떠나 경제자유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정부 간섭의 비대화를 부르는 정치적 사건은 경제의 발목을 잡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자유경제원은 “경제자유지수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의 비대화 및 간섭과 팽창의 원인이 되는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해야 하며 재산권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의식 강화와 더불어 지속적인 규제완화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자유경제원은 매년 전세계 80여개 자유주의 연구기관들과 공동으로 ‘전세계 경제자유(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Annual Report)’를 발표해 오고 있는데 2013년 한국의 경제자유지수는 10점 만점 가운데 7.50으로 전세계 152개국 가운데 33위를 기록해 2012년 대비 3계단하락한 바 있다. 

최원영 기자 lucas201@ 


    <믿음을 주는 경제신문 뉴스웨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53 ‘반자유주의의 해부’ 출판기념회 성료 “자유주의 비판에 답하다”
    자유기업원 / 2025-05-12
    2025-05-12
    9352 ‘하이에크 탄생 126주년’ 세미나 성료… “자유주의 현대적 의미 모색”
    자유기업원 / 2025-05-12
    2025-05-12
    9351 자유기업원, 한국자유주의학회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탄생 126주년 기념’ 세미나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5-09
    2025-05-09
    9350 한국형 대미 통상전략 ‘디패키징 협상’ & `제3국 공동산업 정책` 제안
    자유기업원 / 2025-05-04
    2025-05-04
    9349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기업가정신의 다층적 가치 조명
    자유기업원 / 2025-04-30
    2025-04-30
    9348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7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 자유시장경제의 성장 동력 기업가정신 의미 다시 묻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6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을 기념하는 ‘북 콘서트’가 성황리에 열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5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5
    2025-04-25
    9344 대선 의제 급부상 `주 4.5일제`…"몰아서 일하고 쉬기" VS "근로시간 단축"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3 [직설] 대선 앞두고 화두로 떠오르는 정년연장…유권자 사로잡을 공약은?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2 대선 핵심 이슈 된 정년연장…"65세 정년" VS "재고용"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1 “한국,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0 자유기업원, 이슈와자유 제11호 “비대면 진료 법제화 필요성과 후속과제” 발간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39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