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국가 부채, 장기 불황과 금융 위기의 단초가 될 수도…
코로나19발 경제침체에 각국 정부가 일제히 정부 지출로 몰려갔다. 미국은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율을 8.1%p 늘렸고, 일본도 9.2%p 확대했다. EU 내에서는 '코로나19 경제회복기금’을 둘러싸고 갈등이 있었지만,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재정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그 결과 OECD 35개국의 GDP 대비 재정수지 평균이 -3.3%에서 -11.1%로 대폭 악화되었다.
한국 정부도 확대재정정책을 택했다. 정부는 3차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약 60조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과 실업수당 등으로 정부 지출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여기에 감세 정책이 더해지며 중앙정부 채무가 760조 원을 넘어섰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의 적자로 정부 수입과 지출의 불균형이 심각한 상태이다. 특히 한국은 국가부채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 편에 속한다.
오랫동안 쌓인 재정 적자는 불황의 단초가 될 수 있다. 통화정책의 보조 없이 정부 지출이 확대되면 '구축효과’가 발생하여 민간 부문의 경제성장이 둔화된다. 나아가 재정 불균형과 국가부채 확대는 국가 신용도 하락과 채권금리 급등으로 이어져, 금융시장을 경색시킬 수 있다. 일본형 장기 불황은 방만한 재정 관리와 온정주의적 지원의 결과였다. 근래 그리스의 국가 부도 사태 또한 국가부채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부채가 민간부채로 전이되면, 그 위험성은 배가 된다. 한국 정부는 이번 코로나19 위기에서 정책 금융을 통해 민간에 유동성을 공급했다. 정부 지출을 통한 민간 대출 확대는 단기적인 신용 경색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분별 없는 지원이 이뤄질 경우 시장을 왜곡한다. 구조적 부실기업조차 살려내는 정책은 '좀비 기업’을 양산해, 총요소생산성 하락에 따른 장기 불황을 야기할 수 있다. 과도하게 늘린 가계 대출이 부실화 하면, 금융위기의 단초가 될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정부의 금융시장 압박으로 인한 무분별한 대출에서 비롯되었듯이, 관리되지 않은 민간부채는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그러므로 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시에는 일시적 부실과 구조적 부실을 구분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가계에 대한 지원 시에는 가계의 상환 능력을 면밀히 고려해, 도덕적 해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분별력 있는 재정 운용만이 코로나19 위기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정부 지출은 일시적인 위기 상황에서 분명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정부 지출 확대를 상시화 할 경우, 향후 국민들의 어깨에 막대한 조세 부담을 지우게 된다. 정작 위기 상황에 동원 가능한 재정 여력이 부족해져,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게 둔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코로나19가 정부 지출의 만성적 팽창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민주주의 정부는 늘 재정을 확대하려는 욕구를 지닌다. 단기적인 정권 확보의 목표에서 미래에 상환해야 할 '부채’는 경시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어느새 불어난 부채가 가시화되었을 때는, 손을 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건설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분별력을 갖춘 정치적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
312 | 무리한 정년연장 법제화는 안돼 최승노 / 2024-11-26 |
|||
311 | 금리인하로 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착각의 경제학’ 안재욱 / 2024-11-24 |
|||
310 | [시장경제칼럼] 이제는 청년과의 동반성장을 모색해야 할 때 곽은경 / 2024-11-04 |
|||
309 | 온누리상품권의 허와 실 최승노 / 2024-10-30 |
|||
308 | 한강의 ‘기적’은 ‘한강의 기적’ 덕에 가능했다 안재욱 / 2024-10-27 |
|||
307 | 노년 재산 줄이는 나쁜 제도를 개혁해야 최승노 / 2024-10-04 |
|||
306 | 反기업 정서 해소에 기업 적극 나서야 안재욱 / 2024-09-29 |
|||
305 | 기본소득은 강제 배급이다 최승노 / 2024-09-13 |
|||
304 | 성장 막는 관치금융 이젠 청산해야 안재욱 / 2024-09-09 |
|||
303 | 사회주의 정책은 왜 양극화를 심화시키나 최승노 / 2024-08-08 |
|||
302 | 전기차 충전시설 강제하지 말아야 최승노 / 2024-08-07 |
|||
301 | 올바른 저출산 대책을 기대한다 최승노 / 2024-07-12 |
|||
300 | 환경광신주의에서 벗어나라 최승노 / 2024-06-13 |
|||
299 | ‘남미행 급행열차’를 타지 않으려면 안재욱 / 2024-05-07 |
|||
298 | 국민연금 개악 시도 중단해야 최승노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