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기업의 존재 이유

최승노 / 2017-09-06 / 조회: 43,029       브릿지경제

현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기업이다. 생산을 담당하고 경쟁하는 데 뛰어난 경제 주체이기 때문이다. 기업은 사람들이 더 나은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 만든 계약체이다. 서로 이렇게 하자고 약속하고 이를 실천하면서 더 나은 성과를 얻는 협력체인 것이다. 본질이 계약체라서 서로 약속한 것을 지키는 신뢰가 바탕을 이루어야 한다. 사회 일반에 비해 약속과 신용을 중시하는 공동체인 셈이다.

 

개인은 최종 소비의 주체이지만, 생산과 판매 단계에서는 기업을 통해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인은 자발적 협력을 통해 기업 법인체와 관계를 맺는다. 일정기간 일하거나 무언가를 빌려주면서 그 대가를 받기도 하고 자본을 투자해 수익을 얻는다. 거래를 통해 서로 이익을 얻기도 한다.

 

사람들은 기업을 당연히 존재하는 경제 주체로 여긴다. 하지만 기업이 왜 존재하는지 명쾌하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기업의 존재 이유에 주목한 사람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널드 코스였다. 그는 기업의 본질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명쾌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코스는 '거래비용’의 개념으로 기업의 존재이유를 밝혔다. 경제 주체들이 거래할 때 비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어느 가게에서 살 것인지 정하고, 비슷한 물건 가운데 어느 제품이 가장 좋은지 살펴보는 것도 비용이다. 이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라는 비용도 있지만 구매 대행을 이용한다면 수수료까지 지불해야 한다. 온라인 쇼핑을 이용한다면 배송료도 내야 한다. 이처럼 상품 가격 말고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거래에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모두 거래비용에 속한다.

 

코스는 이 거래비용의 절감이야말로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 즉 기업의 본질이라고 보았다. 개인이 시장을 통해 거래를 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경제 활동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이 가구를 생산하고 판매한다고 해보자. 나무를 구입해야 하고 이를 가공하고 디자인하여 팔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정보를 탐색하고 다른 이들과 거래하는 일은 엄청난 비용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생산의 각 단계를 개별 생산자들이 나눠 맡지 않고 하나의 조직을 만들어 원료 구입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내부화하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가구의 생산비용이 훨씬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최종 완제품 가격도 확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거래비용을 절감해 제품을 적은 비용에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이 바로 기업이다. 기업은 시장거래를 조직에 내부화하여 거래비용을 낮추게 된다. 

 

기업은 그런 목적을 잘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수단이라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진화한다. 더구나 기술발달처럼 환경변화가 빠르면 기업문화와 사업방식도 빠르게 변화해야 한다. 환경변화는 기존의 기업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기를 요구한다. 과거의 방식이 더 이상 효율적인 방식이 아니라서 기업은 더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구조조정해야 한다. 기업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한 과거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가능해진 새로운 기업방식을 찾아내는 일 또한 중요하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부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321 [자유발언대] 폐해 많은 수도권정비계획법 폐기해야
박용진 / 2023-03-31
박용진 2023-03-31
320 기본소득, 단어부터 잘못됐다
이영환 / 2023-03-27
이영환 2023-03-27
319 [자유발언대] 유통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대형마트 규제
홍재인 / 2023-03-27
홍재인 2023-03-27
318 [한파 경제 활로를 찾아서] 난방비는 시작이다
조홍종 / 2023-03-27
조홍종 2023-03-27
317 공공재의 무임승차와 강제승차
김영신 / 2023-03-20
김영신 2023-03-20
316 [자유발언대] 이상한 나라의 택시총량제
구한민 / 2023-03-17
구한민 2023-03-17
315 [자유발언대] 기득권 노조는 노동계 위해 퇴장해야 할 때
나동준 / 2023-03-14
나동준 2023-03-14
314 챗GPT 시대, 산업규제 개혁 과감히 추진해야
조한준 / 2023-03-09
조한준 2023-03-09
313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그 불공정 경쟁구조
이혁우 / 2023-03-09
이혁우 2023-03-09
312 변협과 로톡, 법정 대신 시장에서 경쟁해야
곽은경 / 2023-03-06
곽은경 2023-03-06
311 [자유발언대] 도서정가제 바뀌어야만 한다
양희현 / 2023-03-03
양희현 2023-03-03
310 [자유발언대] 소비자 편익 위한 마이데이터 서비스, 규제에 발묶인 이유는?
안미진 / 2023-02-24
안미진 2023-02-24
309 [자유발언대] 값싼 등록금은 값싼 인재를 양성한다
노태규 / 2023-02-17
노태규 2023-02-17
308 최대수익 금융은 그들만의 축배인가
이헌석 / 2023-02-17
이헌석 2023-02-17
307 [자유발언대] 불필요한 공공앱 개발 멈춰라
조은아 / 2023-02-10
조은아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