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에서 독립한 자유기업원의 유승동 연구원은 12일 '우리나라 지하경제의 규모' 라는 보고서에서 지하경제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26.1%인 1백15조9천7백억원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자유기업원은 지하경제는 높은 세금 때문에 생기며 세금에 따른 현금 통화량의 변화로 지하경제 규모를 측정하는 탄지방식을 사용했다.
최고 세율일 때 현금 통화량과 조세가 없는 경우의 현금 통화량 예측치 차이를 근거로 추정한 결과 GDP 대비 지하경제의 비율이 6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98년 최고 수준을 보였다고 자유기업원은 주장했다.
兪연구원은 "그동안 GDP의 20%선이던 지하경제의 비율이 98년에 외환위기의 여파로 크게 높아졌다" 고 분석했다.
그는 지하경제의 GDP 대비 비율은 상장주식 가치(시가총액)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증시 상황이 좋아 시가총액이 컸던 93년 16.36%였던 것이▶외환위기 이후 침체한 증시에서 부유층이 돈을 빼내 사채 등으로 굴려 커졌다고 설명했다.
兪연구원은 "지하경제의 GDP 대비 비율은 나라 전체의 부패 정도와 도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며 "효율적인 조세 정책과 증시의 활성화 등을 통해 지하자금을 양성화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분석자료와 비교한 결과 GDP 대비 지하경제의 비율이 75%인 나이지리아가 세계 1위며, 한국은 8위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편 조세연구원과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는 93년 말 우리나라 지하경제의 규모가 58조원으로 GDP의 22%라고 분석했다.
김시래 기자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540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7.0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9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10점 만점에 7점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8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세계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7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6 | [방송] 한국 경제자유도 2단계 하락, 127개국 중 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5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4 | [보도] 한국 경제자유도 2단계 하락, 127개국 중 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3 | [보도] 한국 경제자유지수 3년째 제자리..127개국중 35위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2 | [보도] 한국 경제자유도 35위...2단계 하락 자유기업원 / 2005-09-09 |
||
531 | [보도] 자유기업원, "8·31대책 국민 부담만 가중" 자유기업원 / 2005-09-05 |
||
530 | [보도] 재계 "부동산대책 시의적절"..경기활력 계기 기대 자유기업원 / 2005-09-05 |
||
529 | [보도] 자유기업원, "부동산 대책 장기적으로 서민 부담만 가중" 자유기업원 / 2005-09-05 |
||
528 | [보도] 부동산 대책 긴급 좌담회 자유기업원 / 2005-09-05 |
||
527 | [보도] 의지는 인정하나 서민 내 집 마련에는 미흡 자유기업원 / 2005-09-01 |
||
526 | [보도] 국내 기업 역차별, 무엇이 문제인가 자유기업원 / 200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