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정책 이후 빠른 속도로 확대된 정부간섭❗︎
1966년에 존속하던 정부기관 32개 중 무려 그 절반이 루스벨트 대통령 당선 이후 설립되었는데요.
이 시기 규제 기관들이 지출하는 정부 재정규모는 9년 만에 약 40억달러가 증가했고,
당연히 미국의 경제성장률 감소는 예견된 일이었죠.
그뿐만 아니라 정부의 간섭은 의도와 달리 과도한 규제로 소비자를 보호하기보다는
업자를 보호하거나 사회적비용을 초래하는 경우를 우리는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서점 바로 가기(선택할 자유): https://bit.ly/3NmW88v
▶ 제작: 시장경제 싱크탱크 자유기업원
▶ 후원하러 가기: https://cfe.org/info/sponsor.php
#선택할자유 #규제 #소비자
-

4강 민주주의,어떻게 제도가 이념이 되었나?|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3강 마키아벨리 정치이론에서의 민주주의|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2강 원조 민주주의,그리스의 정치이론|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1강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21세기 초,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위력|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프로구단의 경기장|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스포츠스타의 몸값, 과연 적정한가?|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한 지붕 및 오스트리아 학파와 시카고 학파|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KBO&MLB의 구단 비즈니스 차이|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빌보드 차트에서는 어떤 곡이 대박이 날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하이에크의 생애와 몽펠르랭 소사이어티(MPS) 설립|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스포츠 경제학이란 무엇인가?|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애덤 스미스의 강좌에서 도덕감정론의 위치는?|도덕감정론|김승욱 교수
-

유튜브가 없었다면 저스틴 비버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애덤 스미스에게 도덕감정론이란?|도덕감정론|김승욱 교수
-

자유주의 시장경제는 왜 좋은가?|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