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보도] "급속한 저출산·고령화가 소득불균형 심화시켰다"

자유경제원 / 2014-06-17 / 조회: 2,284       한국경제
경제

  "급속한 저출산·고령화가 소득불균형 심화시켰다"

입력
 
2014-06-16 20:40:40
 
수정
 
2014-06-17 04:07:29
 
지면정보
 
2014-06-17 A9면
트위터로 보내기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C로그로 보내기
자유경제원 보고서

편가르기식 복지 지양해야
1990년대 중반 이후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한국 사회의 소득불균형을 가속화시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계층 간 빈부격차가 경제적 요인 외에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도 크게 받았다는 의미다. ‘1% 대 99%’라는 편가르기식 복지정책만으로 소득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자유경제원은 16일 성명재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에 의뢰해 분석한 ‘한국의 소득분배’ 보고서를 펴냈다. 성 교수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소득 격차는 1997~1998년 외환위기 직후 경기둔화, 기업 구조조정으로 급격히 확대됐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는 외환위기 이전인 1995~1996년부터 소득불균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저출산·고령화로 은퇴가구 수가 늘어나면서 소득불균형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성 교수는 이런 분석의 근거로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를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의 차이를 들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0과 1 사이의 값 중 1에 수렴할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6년의 경우 2인 가구 이상의 지니계수는 0.29였으나, 1인 가구 기준 지니계수는 0.32로 훨씬 높았다. 성 교수는 “1인 가구는 대부분 미취업 상태의 청년층이거나 배우자와 이혼·사별한 은퇴 노령자들로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다”며 “출산율과 고령화 추세를 고려했을 때 1인 가구 기준 지니계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악화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진행 중인 인구 고령화 추세를 감안하면 향후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득불균형 정도는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를 감안해 복지정책의 틀도 빈곤퇴치 등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53 ‘반자유주의의 해부’ 출판기념회 성료 “자유주의 비판에 답하다”
자유기업원 / 2025-05-12
2025-05-12
9352 ‘하이에크 탄생 126주년’ 세미나 성료… “자유주의 현대적 의미 모색”
자유기업원 / 2025-05-12
2025-05-12
9351 자유기업원, 한국자유주의학회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탄생 126주년 기념’ 세미나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5-09
2025-05-09
9350 한국형 대미 통상전략 ‘디패키징 협상’ & `제3국 공동산업 정책` 제안
자유기업원 / 2025-05-04
2025-05-04
9349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기업가정신의 다층적 가치 조명
자유기업원 / 2025-04-30
2025-04-30
9348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7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기념회 성료 .... 자유시장경제의 성장 동력 기업가정신 의미 다시 묻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6 자유기업원, ‘기업가정신’ 출판을 기념하는 ‘북 콘서트’가 성황리에 열려...
자유기업원 / 2025-04-29
2025-04-29
9345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5
2025-04-25
9344 대선 의제 급부상 `주 4.5일제`…"몰아서 일하고 쉬기" VS "근로시간 단축"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3 [직설] 대선 앞두고 화두로 떠오르는 정년연장…유권자 사로잡을 공약은?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2 대선 핵심 이슈 된 정년연장…"65세 정년" VS "재고용"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1 “한국,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40 자유기업원, 이슈와자유 제11호 “비대면 진료 법제화 필요성과 후속과제” 발간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
9339 OECD 유일 비대면진료 미법제화국, 국회 의료법 개정해야
자유기업원 / 2025-04-24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