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제가 된 영화 <베테랑>이나 <내부자들> 같은 문화 상품들의 저변을 흐르는 공통적인 코드는 반(反)재벌 성향이다.
![]() |
탐욕의 화신인 소위 자본가들이 양극화의 주범이자 사회 악(惡)으로서 가난한 서민들을 괴롭히고 착취하고 있다는 식이다. 그야말로 과거 운동권이나 믿었던 마르크스주의적 자본관을 우리 사회 전체가 자연스럽게 내면화하고 있는 것이다.
신간 <자유주의 자본론>은 여러 전문가들이 나서서 이런 맹목적인 반(反)자본관의 오해를 풀고 자본의 본질에 대해 설명하는 책이다. 이 작업에 나선 전문가들은 김승욱(중앙대)·신중섭(강원대)·김행범(부산대)·최승노(자유경제원)·박종운(시민정책연구원)·김광동(나라정책연구원) 등 6명이다.
저자들은 자본에 대해 편견이 생긴 원인과 유래로 마르크스주의를 주목했다. 예컨대 신중섭 교수는 ‘자본에 대한 편견은 어디에서 왔는가’에서 “자본주의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사회주의자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그 당시 경제생활의 가장 어두운 측면인 착취, 불평등, 억압을 언급하기 위해 만들어낸 비판적 조어”라고 밝혔다.
신 교수는 또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가 잘 발전한 사회에서는 오히려 불평등과 억압이 최소화됐다는 역사적 사실은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행범 교수는 마르크스주의자들 외에 현대 사회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자본주의에 원한을 갖는 이유에 대해서도 분석을 내놨다. 이를 위해 김 교수는 ‘바람직한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들의 좌절된 야망에 대한 원한이 자본주의가 비난받는 또 하나의 이유’라는 미제스의 설명을 인용했다.
이 책은 지난해 <신자본론>을 출간,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한 토마스 피케티의 오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박종운 위원은 ‘피케티는 자본가의 수입인 자본 수익률이 일반인들의 평균수익률인 경제성장률보다 높다고 했는데, 이는 실패한 사업가에 대해 눈을 감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에 따르면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헌신적으로 충성 봉사를 한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가 부자라는 점에 대해 마르크스와 피케티가 모두 간과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본이란 무엇일까? 최승노 부원장은 ‘우리 모두는 자본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노동도 자본의 부류에 들어간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자본이 늘어갈수록 더 많은 투자가 생기고 더 많은 분야에 일자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자본이 일자리 창출의 핵심 요소라는 점에서 자본과 노동은 서로 적대관계가 아니라 동지라는 설명이다. 최 부원장은 “현대의 노동자들은 자신이 자본가임을 인정하고 자신의 자본을 어떻게 늘릴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책을 엮은 김승욱 교수는 자유주의 경제학적 관점에서 결국 자본가의 소득이 사회에 유익을 가져온다면서 자본의 역사적 변화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현대와 같은 자본과잉 시대에는 실질이자율이 거의 제로이기 때문에 아이디어 등을 가진 사람들이 더 유리하며, 자본을 많이 가졌다고 해서 반드시 더 많은 부를 보장받는 것이 아니다.’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9345 | ![]() 자유기업원 / 2025-04-25 |
||
9344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43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42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41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40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39 | ![]() 자유기업원 / 2025-04-24 |
||
9338 | ![]() 자유기업원 / 2025-04-22 |
||
9337 | ![]() 자유기업원 / 2025-04-22 |
||
9336 | 자유기업원 “국회 상법 개정안 재표결 부결 다행” 자유기업원 / 2025-04-17 |
||
9335 | 자유기업원, ‘이슈와자유’ 제10호를 발간하며 “노란봉투법 재발의 추진 중단되어야” 자유기업원 / 2025-04-16 |
||
9334 | 자유기업원 “근로일수 단축 포퓰리즘 경쟁…결국 국민 부담” 자유기업원 / 2025-04-15 |
||
9333 | 강승규 의원 “제조업과 AI 결합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해야” 자유기업 / 2025-04-14 |
||
9332 | [이슈포커스] "규제완화 언제쯤"...대선 정국에 속 타는 대형마트 자유기업원 / 2025-04-14 |
||
9331 | 대한민국의 새로운 10년, 자유가 핵심가치여야 자유기업원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