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盧정부 순진한 대북관에 한미동맹만 ‘파경’

자유기업원 / 2006-10-11 / 조회: 6,521       동아일보, A5면

■ 평화번영정책 왜 실패했나

2003년 2월 25일 출범한 노무현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시키고 남북 공동번영을 추구해 평화통일의 기반을 조성하고 동북아 경제 중심 국가로의 발전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공언했다. 소위 평화번영정책이다.

하지만 정부가 정전체제를 해체하고 한반도 평화체제를 건설하겠다며 추진한 ‘야심 찬 계획’은 9일 북한의 핵실험으로 사실상 총체적 실패로 돌아갔다. 교류와 협력의 강화로 핵무기 개발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정책의 기본목표 역시 허망한 꿈이 되고 말았다.

한 핏줄을 공존공영의 길로 이끌겠다며 북한에 대한 특수한 접근을 강조한 나머지 50년이 넘도록 지속되어 온 한미동맹은 송두리째 흔들렸다.

▽ 낭만적 대북관의 실패=북한 핵에 대해 정부는 대화와 설득으로 단념시킬 수 있다고 본 것이 평화번영정책 실패의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평화번영정책은 모든 압력수단을 제외하고 대화만으로 핵문제를 해결한 뒤 남북간 실질협력을 증진시키면 군사적 신뢰 구축도 가능하다는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대북 접근을 취해 왔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에서 밝혀졌듯 북한에 있어 핵은 체제 생존을 위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치였다. 정책의 기본전제부터 잘못됐던 셈이다.

이춘근 자유기업원 부원장은 “북한이라는 국가와 김정일 정권이 사는 길은 근본적으로 달랐고 북한은 지속적으로 김정일 정권이 사는 길을 택해 왔다”며 “평화번영정책은 결과적으로 김정일 정권의 연명책으로 기능해 왔다”고 비판했다.

낭만적인 대북관은 2005년 9월 4차 6자회담의 결과로 채택했던 9·19공동성명에 대한 평가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났다. 당시 정부는 “마침내 북한이 핵 포기라는 전략적인 결단을 내렸다”며 대북 평화번영정책의 개가라고 자축했다.

▽ ‘악의 축’ vs ‘피를 나눈 동포’=평화번영정책 실패의 또 다른 원인은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차다. 노무현 정부는 북한을 ‘악의 축’이라고 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북 인식에 동의하지 않았다.

오히려 2002년 10월 고농축우라늄(HEU) 프로그램에 의한 2차 북핵 위기 발생 이후 압박일변도로 북한을 대하는 미국의 정책에 대해 반감을 표시했다. 심지어 노 대통령은 2004년 9월 “북한의 핵개발 주장은 여러 가지 상황에 비추어 일리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해 핵 비확산을 최고의 정책 목표로 삼고 있는 부시 행정부를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결국 한국 정부 내에선 동맹인 미국을 대북정책의 협력자로 보기보다는 평화번영정책 구현의 부담 요인으로 보는 인식이 높아졌다.

실제로 정부는 2003년 이후 유엔에서의 대북 인권결의안 의결 시 기권 또는 불참했으며 위조지폐나 마약 제조 등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도 침묵으로 일관했다.

▽ 잊혀진 ‘동북아 균형자론’=평화번영정책은 한반도에서 동북아시아로 시야를 넓혀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에 일조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같은 인식에서 나온 발언이 지난해 3월 8일 공군사관학교에서 밝힌 ‘동북아 균형자론’이다.

당시 정부 고위당국자는 “냉전시대의 낡은 틀인 북-중-러의 ‘북방삼각’과 한-미-일의 ‘남방삼각’의 틀에 더 갇혀 있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라고 발언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 같은 발언은 즉각 한국이 전통적인 한미동맹에서 이탈해 독자노선을 걷거나 친중(親中) 노선으로 급선회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낳았다. 안보전략연구소 홍관희 소장은 “이제는 거론조차 되지 않는 개념이지만 평화번영정책이 얼마나 ‘희망적인 사고(wishful thinking)’에 기반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 줬던 사례”라고 지적했다.

▽ 국민적 합의 도출도 실패=노무현 정부는 평화번영정책이 국민의 정부 시절 햇볕정책과 다른 것 중 하나로 ‘국민과 함께하는 대북정책 추진’을 내세웠다. 과거 대북정책 추진 방식과 관련한 논란과 갈등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국민적 공감대와 신뢰를 정책적 출발점으로 삼겠다는 것.

하지만 현 정부 들어 오히려 ‘남남갈등’은 더욱 증폭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중앙대 제성호 교수는 “특정인이 중심이 돼 국민적 합의와 건전한 비판을 무시한 채 독단적인 대북정책을 추진해 온 것은 이전 정부에 비해 하나도 나아진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8년간의 대북 포용정책으로 구축했다는 남북 신뢰관계도 허약하기 그지없다. 7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항의로 북한에 대한 쌀과 비료 지원을 유보한 정부에 대해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면회소 공사 중단이라는 비인도적 보복으로 맞대응했다.

▽ 대안=지금이라도 북한이 공존의 파트너이자 안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양자간에 균형이 갖춰진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많은 전문가의 공통적인 견해다. 신지호 자유주의연대 대표는 새로운 대북정책으로서 ‘신햇볕정책’을 주창했다. 신 대표는 “햇볕의 대상은 김정일 정권이 아닌 북한 동포가 되어야 하며, 선공후득(先供後得)이 아닌 철저한 상호주의를, 최우선 정책과제는 남북경협 활성화와 북한의 개혁개방 촉진이 아닌 대량살상무기 문제의 해결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10 [보도] FTA반대 소비자단체, 결국 소비자 이익 외면하는 꼴
자유기업원 / 2006-10-24
2006-10-24
909 [보도] “FTA반대 소비자단체, 결국 소비자 이익 외면하는 꼴”
자유기업원 / 2006-10-24
2006-10-24
908 [보도] "PSI로 남북 충돌 가능성 작다"
자유기업원 / 2006-10-24
2006-10-24
907 [보도] 경제를 배웁시다-시장 경제와 기업
자유기업원 / 2006-10-21
2006-10-21
906 [보도] 한국선 "내년 대선 때 세금 주요 이슈 될 것"
자유기업원 / 2006-10-19
2006-10-19
905 [보도] 경제를 배웁시다-시장경제에서 돈을 버는 방법
자유기업원 / 2006-10-14
2006-10-14
904 [보도] 盧정부 순진한 대북관에 한미동맹만 ‘파경’
자유기업원 / 2006-10-11
2006-10-11
903 [보도] 참여연대-자유기업원 '반시장' 놓고 충돌
자유기업원 / 2006-10-11
2006-10-11
902 [보도] 목소리 높이는 자유기업원, 反시장적논리에 정면대응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901 [보도] 자유기업원 “反시장경제적 단체와 전면전”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900 [보도] 자유기업원, NGO '反시장' 논리에 '맞짱'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899 [보도] 자유기업원, NGO '反시장' 논리에 '맞짱'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898 [보도] 에버랜드 논쟁, 학계서도 배임죄 여부 논란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897 [보도] 한나라당과 뉴라이트
자유기업원 / 2006-10-09
2006-10-09
896 [보도] 경제를 배웁시다-예술과 경제
자유기업원 / 2006-10-07
2006-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