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자유경제원-문화일보 공동주최 제1차 공공성의 허구 연속토론회 “대한민국 발목 잡는 공공성의 허구”

자유경제원 / 2014-10-14 / 조회: 1,678       업코리아
자유경제원-문화일보 공동주최 제1차 공공성의 허구 연속토론회 “대한민국 발목 잡는 공공성의 허구”
구창환 기자  |  koocci@naver.com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4.10.13  14:36:38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네이버구글msn

10월 13일(월) 오후 2시 여의도 자유경제원 회의실에서 자유경제원과 문화일보의 공동주최로 “대한민국 발목 잡는 공공성의 허구” 토론회가 개최됐다.

자유경제원은 토론회에 앞서 밝힌 취지문을 통해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공공성’이라는 말만 붙이면 대중을 쉽게 현혹할 수 있는데, ‘공공성’과 같이 대중에게 호소력을 갖는 말을 쓰게되면 정부의 개입이 자연스레 확대되고, 규제가 증가하나 이를 개혁하기는 매우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이런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부채만 늘어가는 공기업이 개혁의 무풍지대에서 살아남고, 각종 이익집단들의 자기이익이 공익으로 둔갑할 수 있는데, 이렇게 가다가는 대한민국이 선진국에 진입하는 길은 요원하다고 우려했다.

토론회가 열리는 10월 13일은 영국병에서 영국을 구해낸 마거릿대처의 탄신 90주년으로, 그녀가 “사회는 없다”라는 말을 통해 영국의 공공부문을 개혁하고 복지병을 치유했듯 이제는 대한민국에 만연한 “공공성의 허구”를 바로잡아 대한민국을 선진국에 올려놓을 때라는 점에서 더욱 뜻 깊었다.

철학적 관점에서 공공성의 허구를 진단하는 발제를 맡은 신중섭 교수(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는 우리사회에서 공공성과 공익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주로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항이론으로 제기되었다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공공성과 공익을 전제하지 않으면 소수의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이익을 무분별하게 추구하는 행위를 규제할 수 없다는 생각들은 그러나 신화적 성격이 강하다고 일침했다.

신 교수는 ‘공공성’과 ‘공익’은 실제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이를 감추기 위한 도구로 쓰이고 있다며 이런 호소력 강한 명분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과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적 측면에서 ‘공공성의 허구’를 발제한 현진권 원장(자유경제원)은 주류경제학에서는 모호한 ‘공공성’보다는 ‘공공재’이론을 통해 정부개입 논리를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고, 그러나 Buchanan으로 대표되는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에서는 공공재와 정부개입간에 논리적 연계가 없음을 이미 여러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 원장은 ‘공공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정부?공공부문 역시 하나의 경제주체로서 자신들의 사적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비효율성이 증폭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세금으로 재원을 충당하는 정부부문은 민간에 비해 혁신에 대한 유인책이 없다는 것이다. 현 원장은 공공재에 대해 정부개입이 필요한 경우라도 정부생산(public production)이 아닌 정부제공(public provision)이라는 대안을 택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공급하는 것의 경제적 효율성이 가장 높다고 강조했다.

현 원장은 공공성 논리를 통한 정부팽창은 예산확대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정부 예산의 절반 정도는 국방, SOC 등의 공공재지만, 나머지는 복지, 교육 등의 사적 재화에 투입하고 있는 현실을 꼬집고, “작고 강력한” 적정한 수준의 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한시 바삐 공공성 논리의 허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을 맡은 송헌재 교수(서울시립대 경제학과)는 공공성을 명분으로 내세우는 정책의 성공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강조하고, 그 이유로 정책 수혜대상의 모호성으로 인해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어려운 점, 누가 재원을 부담할 것인가가 불분명한데 따른 재원마련의 어려움, 정책의 성공과 실패 여부 판단이 용이치 않은데서 오는 관리감독의 어려움을 들었다. 송 교수는 진정한 의미에서 시장실패를 교정할 수 있는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의미와 실체가 불분명한 공익을 앞세운 정책이 아니라 정책 대상과 살체의 구체성을 담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일침했다.

황수연 교수(경성대 행정학과)도 토론을 통해 오늘날 정부나 시민사회의 개입을 강화하려는 사람들은 ‘공공성’을 근거로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나, 사실은 ‘공공성’,‘공익’을 명분으로 자신들의 선호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황 교수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정한 공공성 잣대에 맞춰 특정한 행동을 취하라고 강요하는 경우의 대다수는 전혀 공공적이지도 공익적이지도 않은 처방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숱한 갈등들이 새롭게 양산된다고 지적했하며 최대한 시장 거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회구성원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가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공공성의 허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진단하는 연속토론회는 13일 첫 토론회를 시작으로 22일 금융분야, 30일 재산권 침해, 11월 6일 공기업 개혁을 주제로 총 4회 개최된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5470 [보도] 정부 규제 빗장 풀어야 기업가 정신 `흥`이 산다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9 [보도] 기업가 정신 갉아먹는 `청부·싸구려 규제`부터 풀어라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8 [보도] 기업가 정신은 불확실성 속 `돈 냄새를 맡는` 기민성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7 [보도] 자유경제원 토론회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6 [보도] PIFF, 다이빙벨 상영강행은 `좌파 굿판` 자인한 꼴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5 [보도] 자유경제원-문화일보 공동주최 제1차 공공성의 허구 연속토론회 “대한민국 발목 잡는 공공성의 허구”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4 [보도] [칼럼]최빈곤층이 경제자유를 지지할 수 있는 이유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3 [보도] "교육·복지 등 공공부문, 정부 개입 줄여야 한다"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2 [보도] 시론 : 차이나 임팩트보다 무서운 國會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1 [보도] "공공성은 민간경제 발목 잡는 규제의 또 다른 이름"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60 [보도] "정부의 조급함이 문화 정체성 혼란·문제만 키운다"
자유경제원 / 2014-10-14
2014-10-14
5459 [보도] `공공` 앞세운 정부 시장개입 만병통치약 아닌 `독`
자유경제원 / 2014-10-13
2014-10-13
5458 [보도] ⑦`조변석개(朝變夕改)`하는 세법, "납세자는 괴롭다"
자유경제원 / 2014-10-13
2014-10-13
5457 [보도] 제4차 자유경제원 자유주의예술포럼, 대한민국, ‘문화국가’는 가능한가?
자유경제원 / 2014-10-13
2014-10-13
5456 [보도] 이승만·박정희 매도하는 좌파 교수님께 묻습니다!
자유경제원 / 2014-10-13
201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