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복거일 "과학소설은 미래, 가치 모르는 한국 안타깝다"

자유경제원 / 2014-12-20 / 조회: 2,214       미디어펜

복거일 "과학소설은 미래, 가치 모르는 한국 안타깝다"이해 늘고 편견 줄어 미래 낙관...좋은 과학소설 작품들 더 많이 나와야
복거일  |  media@mediapen.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12.20  10:09:14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네이버 구글 msn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12월 18일 오후 7시 FKI 컨퍼런스센터 2층 토파즈홀에서 <제1회 자유주의예술강좌>를 개최했다. 자유경제원은 “흔히 예술은 자유주의와는 동떨어진 것으로 치부되고 있지만, 개인의 창의와 가치를 높이 사는 자유주의만큼 예술의 본질과 닿아있는 것이 없다”며 “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들과 시민들이 함께하는 장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제1회 자유주의예술강좌는 소설가 복거일 선생이 “과학소설의 지형”을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아래는 발제문 전문이다. 자유주의예술강좌는 매월 셋째 주 목요일 오후 7시에 개최된다.

과학소설의 지형

1. 과학소설의 중요성

   
▲ 복거일 소설가
과학소설(science fiction; SF)은 일반 독자들에겐 좀 낯선 문학 장르다. 그래서 그것에 주목하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그것의 중요성은 그러나 보기보다는 훨씬 크다.

과학소설의 중요성은 물론 그것이 문학이라는 사실에서 나온다. 사람들이 늘 문학 작품들을 찾는다는 사실이 가리키듯, 문학은 사람에게 중요한 지식 형태다. 그러나 과학소설은 그런 기본적 중요성을 훌쩍 넘어서는 독자적 중요성을 지녔다. 그런 독자적 중요성은 과학소설의 주제가 과학이라는 사실에서 나온다.

다른 생물들과는 달리, 사람은 발전된 지식을 축적했다. 그러나 발전된 지식의 축적이 사람에게 즐거움만을 준 것은 아니다. 지식이 쌓이면서, 사람은 다른 생물들이 품지 않는 걱정들과 두려움들을 지니게 되었다. 미국 철학자 데네트(Daniel C. Dennett)는 이 점을 잘 말했다.

“우리 사람들은, [짐승들과는] 대조적으로, 우리 자신들의 죽음과 그 너머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는 온전하지 못한 축복을 찾아냈다. 지난 만 년 동안 우리의 에너지 지출의 엄청난 부분은 우리만이 지닌 이 불안한 새 광경에 의해 촉발된 걱정들을 무마하는 데 바쳐졌다.” [<자유는 진화한다 (Freedom Evolves)>]

자연히, 사람들은 지식을 두려워한다. 특히 과학적 지식을 두려워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이 주는 자신에 관한 지식을 두려워하고 그런 지식이 가리키는 새로운 지평들을 외면하려 애쓴다.

“우리의 발견들의 산통(産痛)은 아직 가라앉지 않았다. 우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너무 많이 아는 것은 – 신비를 메커니즘들과 바꾸는 것은 – 인류의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전망을 빈약하게 만들리라고 많은 사람들이 걱정한다.

이 걱정은 이해할 수 있지만, 만일 우리가 정말로 너무 많이 알 위험에 처했다면, 지식의 첨단에 있는 이들이 불편함의 징후들을 보이지 않을까? 더 많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이런 추구에 참여하여 새로운 발견들을 열심히 소화하는 사람들을 돌아보라; 그들은 분명히 낙관, 도덕적 확신, 삶에의 참여, 사회에 대한 약속에서 부족하지 않다.

실은, 만일 당신이 오늘날의 지식인들 가운데 불안, 절망, 그리고 도덕적 무질서를 찾고자 한다면, 현대 과학이 신화들의 긴 계보에서 그저 또 하나이고, 그것의 기구들과 값비싼 장치들은 그저 또 하나의 종교의 의식들과 치레들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를 즐기는, 요즈음 유행을 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종족을 보라. 똑똑한 사람들이 이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자신에 관해 지닌 지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두려운 생각이 아직 지닌 힘에 대한 증언이다.” [같은 책]

과학적 지식은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고 앞날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과학적 지식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자신과 세상을 보다 잘 보고 이해할 수 있다.

근년에 문학은 과학적 지식에 비우호적 태도를 드러냈다. 그리고 그런 태도를 정당화하는 미학을 만들어냈다. 그런 상황은 당연히 사회에 해롭다. 본질적으로 문학은 그것을 누리는 사람들에게 큰 혜택을 주지만, 반과학적 문학은 그런 혜택을 크게 줄인다.

과학을 주제로 다루는 터라, 과학소설은 과학에 우호적인 문학이다. 자연히, 낙관적인 문학이다. 그런 낙관적 태도는 사회에 혜택을 줄 뿐 아니라 반과학적 문학의 나쁜 영향과 효과를 씻어낸다.

과학소설은 일상적 차원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그것이 우리 삶의 모든 부면들에 깊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과학소설의 황금기는 열두 살이라는, 즉 우리가 과학소설을 읽기 시작해서 매혹당하는 나이라는 자명한 얘기가 있었다. 그 자명한 얘기는 이제는 맞지 않으니, 과학소설은 우리 문화에 하도 배어 들어서, 그것의 심상들의 기본적 목록 – 로켓 우주선들과 로봇들, 외계인들과 공룡들 – 은 모든 취학전 어린이들의 환상 속의 삶에서 표준 품목들이다. 우리 시대의 열두 살 난 아이들로 말하면, 그들에겐 과학소설적인 것들은 무엇도 낯설지 않다.” [토머스 디쉬(Thomas M. Disch), <우리 몸을 이룬 꿈들 (The Dreams Our Stuff is Made of)>]

2. 널리 알려진 과학소설 작품들

과학소설 작품들을 원작으로 삼은 'SF 영화’들이 많이 우리 사회에 소개된 덕분에, 이제 과학소설이란 말은 모두에게 익숙하다. 그래도 과학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이런 사정을 보고서, 우리 독자들은 대부분 과학소설을 읽지 않았다고 단정하는 것은 위험하다.

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라면, 누구나 과학소설을 여러 권 읽었을 터이다. 과학소설을 쓰는 데 무슨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과학소설은 과학소설을 전문적으로 쓰는 작가들만이 아니라 주류 문학 작가들에 의해서도 쓰여진다. 실제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과학소설 작품들은 그런 '외부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물론 그런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소설로 여겨지지 않는다.

과학소설로 인식되지 않는 과학소설 작품들 가운데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 - 1950)의 <1984년(Nineteen Eighty-four)> (1949)이다. 이 작품은 국가 권력이 시민들의 행동만이 아니라 생각까지 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의 궁극적 모습을 그렸다.

인류 사회의 앞날에 대해 아주 비관적인 견해를 드러낸 이 작품에 나온 세계는 우리가 실제로 살아온 20세기의 세계와는 크게 다르지만, 그 작품이 사람들의 정치적 견해와 전망에 대해 미친 영향은 더할 나위 없이 깊었다. 특히 '대형(Big Brother)’, '신언어(Newspeak)’, '이중사고(Doublethink)’와 같은 음산한 개념들은 정보의 처리와 유통을 장악한 전체주의적 권력이 시민들의 자유를 위협하는 과정을 사람들이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그런 전언은 “과거를 통제하는 자가 미래를 통제한다. 현재를 통제하는 자가 과거를 통제한다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와 같은 기억하기 좋은 구절들로 독자들의 마음에 선연하게 남는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 – 1910)의 <아서 왕 궁정의 콘네티커트 양키(A Connecticut Yankee in King Arthur’s Court)> (1889)도 일반적으로 과학소설로 인식되지 않는 과학소설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세기의 미국인이 고대 영국으로 가서 겪는 일들을 그린 시간 여행 소설이다.

그러나 작가의 의도는 시간 여행 자체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서양에서 이상향으로 여겨져 온 아서 왕의 본거지 캐멀러트(Camelot)의 일상적 모습을 통해 고대 사회의 실상을 드러내고 아울러 주인공이 지닌 현대 지식이 원시적 사회를 바꾸는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무지와 미신에 지배되고 가난과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고대 사회의 실상을 보여줌으로써 전설 속의 과거가 이상향이었다는 '신화’를 깨뜨린 이 작품은 뛰어난 우상파괴자 마크 트웨인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헤세(Hermann Hesse; 1877 – 1962)의 <유리알 유희 (Das Glasperlenspiel)> (1943), 헉슬리(Aldous Huxley; 1894 – 1963)의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1932)와 영국 작가 골딩(William Golding; 1911 - 1993 )의 <파리들의 임금(Lord of the Flies)> (1954) 및 <상속자들(The Inheritors)> (1955)은 널리 읽혀지고 주류 문학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과학소설 작품들이다.

미국 작가 벨라미(Edward Bellamy; 1850 – 1898)의 <뒤돌아보기, 2000 – 1887, (Looking Backward, 2000 - 1887)> (1888)은 19세기에 놀랄 만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민중주의적 사회주의의 전파에 큰 몫을 했다.

그밖에 미국 심리학자 스키너(B. F. Skinner; 1904 - 1990 )의 <월든 2 (Walden Two)> (1948), 영국 작가 워(Evelyn Waugh; 1903 – 1966)의 <폐허 속의 사랑(Love among the Ruins)> (1953), 영국 작가 슈트(Nevil Shute; 1899 – 1960)의 <바닷가에서 (On the Beach)> (1957), 영국 작가 버지스(Anthony Burgess; 1917 - 1993)의 <시계장치 귤(Clockwork Orange)> (1962), 미국 작가 핀천(Thomas Pynchon; 1937 - )의 <중력의 무지개(Gravity’s Rainbow)> (1973), 영국 작가 레싱(Doris Lessing; 1919 - )의 <생존자의 회고록(The Memoirs of a Survivor)> (1974) 그리고 캐나다 작가 애트우드(Margaret Atwood; 1939 - )의 <하녀의 이야기 (The Handmaid’s Tale)> (1985)도 주류 작가들이 쓴 뛰어난 과학소설 작품들이다.

   
▲ 제1회 자유주의 예술강좌 /사진=자유경제원

3. 과학소설의 정의

과학소설은 'science fiction’을 번역한 말이며, 영어로는 'sf’ 또는 'sci-fi’로 줄여서 부른다. 'science fiction’이란 말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였으니, 그리 오래 된 말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 과학소설로 불리는 문학 장르의 범위, 특질과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훨씬 오래 전에 시작되었다. 환상적 문학의 진화에 큰 영향을 미친 포(Edgar Alan Poe; 1809 - 1849)의 노력은 대표적이다.

과학소설은 정의하기가 무척 힘들다. 여러 사람들이 그것을 정의했지만, 간단하고 또렷하면서도 변별성을 지닌 정의는 좀처럼 나오지 않았다. 과학소설로 인식되는 작품들이 워낙 다양해서, 그것들을 한데 묶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까다로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환상소설(fantasy fiction)과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두 장르들이 겹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과학소설과 환상소설은 본질적으로 아주 가깝고, 과학소설 작가들은 흔히 환상소설을 쓴다. 그래서 분명히 환상소설로 분류되어야 할 작품들이 흔히 과학소설로 분류되었고, 그런 관행은 과학소설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뀐 지금도 거의 바뀌지 않았다.

영국 작가이자 비평가인 올디스(Brian W. Aldiss; 1925 - )는 이런 사정을 감안해서 아래와 같은 정의를 내놓았다.

“많은 정의들이 어렵사리 만들어졌다. 그것들의 대부분은 실패했다, 내용만 고려하고 형식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의 정의는 재미의 측면을 짙게 지닌 장르엔 좀 뽐내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앞으로 논의하면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소설은 우리의 발전되었지만 혼란스러운 지식의 상태(과학)에서 성립될 수 있고 특징적으로 고딕 또는 포스트-고딕 틀로 빚어진, 사람과 우주에서 그가 차지하는 자리의 정의에 대한 탐구'다."

깔끔한 정의가 이처럼 어려우므로, 미국 작가이자 비평가인 나이트(Damon Knight; 1922 - 2002)의 “과학소설은 우리가 그것을 말할 때 가리키는 것이다 (Science fiction is what we point to when we say it)”나 미국 작가 스핀러드(Norman Spinrad; 1940 - )의 “과학소설은 과학소설로 출판된 모든 것들이다 (Science fiction is anything published as science fiction)”처럼 순서가 뒤바뀐 정의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실제로 그것에 따라서 과학소설에 속하는 작품들이 판별된다.

아무튼 진정한 과학소설이 되려면, 작품이 “과학적 전망의 의식(a consciousness of scientific outlook)”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오스트레일리아 평론가 니콜스(Peter Nicholls; 1939 - )의 주장엔 모든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다. 그래서 “과학소설은 과학과 기술이 사람의 삶과 문명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들을 과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소설이다”라는 진술에는 별다른 이의가 따르지 않을 것이다.

4. 과학소설의 역사

과학소설을 그렇게 정의했을 때, 그것의 기원은 과학이 제대로 모습을 갖추지 못했거나 과학의 영향이 지금처럼 두드러지지 않았던 시대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헬레니즘이 융성했던 시대의 작품들에서 원시적 과학소설(proto science fiction)의 선구자들을 찾는 사람들도 있고, 고대 바빌론 문명이 낳은 <길가메쉬>나 유태인의 경전인 <구약 성경>을 원시적 과학소설로 보는 이들도 있다.

모든 예술 장르들이 그러하듯, 과학소설도 여러 요소들을 받아들이면서 진화해왔다. 과학소설의 진화에 기여한 요소들 가운데 두드러진 것들은 환상적 여행(fantastic voyage) 이야기, 이상향(Utopia) 또는 반이상향(Dystophia) 이야기, 철학적 이야기 (philosophical tale) 그리고 기술적 및 사회적 예측(technological and sociological anticipation)이다.

그런 진화의 과정을 거쳐, '제1차 과학혁명’이 진행되었던 17세기까지는, 과학소설이 어떻게 정의되더라도, 과학소설로 볼 수 있는 작품들이 나왔다.

모어(Thomas More; 1478 – 1535)의 <이상향(Utopia)>(1551)과 프랑스의 군인이자 작가였던 시라노 드 베르제락(Savinien Cyrano de Bergerac; 1619 – 1655)의 <시라노 베르제락 씨가 쓴 달 세계의 나라들과 제국들의 우스운 이야기(Histoire comique, par Monsieur de Cyrano Bergerac, contenant les etats et empires de la lune)>(1657) 및 <시라노 베르제락 씨가 쓴 해 세계 나라들과 제국들의 우스운 이야기의 한 부분(Fragment Histoire comique par Monsieur de Cyrano Bergerac, contenant les etats et empires du soleil)> (1662)은 대표적 작품들이다.

19세기에 이르러, 과학의 모든 분야들에서 현대적 이론들이 차츰 자리잡고 산업혁명으로 과학과 기술의 영향이 부쩍 커지자, 좀 더 '과학적’인 과학소설 작품들이 나왔다.

1818년에는 흔히 정통 과학소설의 효시로 꼽히는 영국 작가 메어리 쉘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 1797 – 1851)의 <프랑켄슈타인; 또는, 현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가 나왔고, 19세기 후반에는 베른(Jules Verne; 1828 – 1905)과 웰스(H. G. Wells; 1866 – 1946)가 뛰어난 작품들로 현대 과학소설의 틀을 세웠다.

20세기가 되자, 과학소설은 새로운 과학 이론들에 맞춰 새로운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전반까지의 시기는 유능하고 영향력이 컸던 미국 잡지 편집자 캠벨(John W. Campbell Jr; 1910 - 1972)의 지도 아래 여러 뛰어난 과학소설 작가들이 활약해서 '과학소설의 황금 시대(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라 불린다.

이들 작가들 가운데 하인라인(Robert Heinlein; 1907 – 1988), 애시모프(Isaac Asimov; 1920 - 1992) 그리고 밴 보트(A. E. van Vogt; 1912 - 2000)는 특히 업적이 두드러지고 다른 작가들에게 끼친 영향이 커서 '3대 작가(The Big Three)’라고 불렸다.

20세기 전반에는 과학소설은 잡지들을 통해 많이 발표되었다. 1926년 미국 출판인 건즈백(Hugo Gernsback; 1884 – 1967)이 과학소설 전문잡지 '놀라운 이야기들(Amazing Stories)’을 창간한 것은 과학소설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였다.

이전에 '싸구려 잡지(pulp)’라고 불린, 주로 환상적 이야기들을 실은 잡지들은 여러 분야들의 작품들을 가리지 않고 실었었다. 그 뒤로 과학소설 전문 잡지들이 여럿 나와서, 과학소설의 터전을 넓혔다.

1960년대에 과학소설은 독자층을 크게 넓혔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이 지닌 중요성이 늘어나면서, 특히 핵전쟁의 위협이 커지면서, 과학소설이 지닌 뜻은 점점 뚜렷해졌고 위상도 높아졌다. 특히 하인라인의 <낯선 땅의 나그네(Stranger in a Strange Land)>(1961)는 새로운 질서를 꿈꾸던 '꽃 아이들(Flower Children)’ 세대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

덕분에 과학소설 작가들은 '싸구려 잡지’들에 생계를 의존했던 삶에서 벗어나 단행본 시장으로 진출했고, 그런 변화에 따르는 평가와 대우를 받게 되었다. 그 뒤로 과학과 기술의 영향이 점점 커지고 현대 문명의 부정적 측면들이 시민들의 관심을 끌게 되자,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다루는 과학소설은 사회 문제들에 대해 '관련성(relevancy)’을 지닌 소설로 점점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60년대 중엽엔 '새로운 물결(New Wave)’이 일어나 점점 매너리즘에 빠져서 활기를 잃어가던 과학소설에 생기를 넣어주었다. 새로운 물결의 발생지는 유럽이니, 그것은 고다르(Jean-Luc Godard; 1930 - )와 트뤼포(Francois Truffault: 1932 – 1984)를 비롯한 프랑스 영화 감독들의 실험적 영화들을 가리킨 'nouvelle vague’에서 나왔고, 영국 작가들인 올디스(Brian Aldiss; 1925 - ), 발라드(J. G. Ballard; 1930 - ) 그리고 무어콕(Michael Moorcock; 1939 - )이 주도했다.

새로운 물결은 심리학과 같은 '무른 과학(soft science)에 큰 관심을 보였고 주류소설에서 이야기 전략(narrative strategy)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빌려와서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류소설에 작지 않은 긍정적 영향들을 미쳤다.

새로운 물결은 이내 과학소설계 전체로 퍼졌고 미국에서 특히 풍요로운 성과를 얻었으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두드러진 업적을 남긴 들레이니(Samuel R. Delany; 1942- ), 즐레이즈니(Roger Zelazny; 1937 - 1995), 엘리슨(Harlan Ellison; 1934 - ) 그리고 디쉬(Thomas M. Disch; 1940 - )와 같은 작가들은 새로운 물결에 속한다. 덕분에 주류소설과 과학소설 사이의 높은 담장은 상당히 허물어졌다.

1980년대엔 컴퓨터 기술과 정보 산업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사이버펑크(cyberpunk)’가 나타났다. 사이버펑크는 컴퓨터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중심적 주제로 삼은 과학소설로, 미국 작가들인 깁슨(William Gibson; 1948 - )과 스털링(Bruce Sterling; 1954 - )에 의해 주도되었다.

깁슨의 <신경조작자(Neuromancer)> (1984)는 사이버펑크의 대표적 성과이자 그것의 진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사이버펑크는 과학소설에 활기를 주었을 뿐 아니라 정보 기술의 발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위에서 살핀 것처럼, 20세기 초엽까지는 과학소설은 유럽에서, 특히 영국과 프랑스에서, 크게 발전했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엔 과학소설의 무게 중심이 미국으로 옮겨왔고, 그 뒤로 줄곧 미국이 상업적으로나 문학적으로나 압도적 중요성을 차지했다. 반면에, 동양의 실적이나 공헌은 거의 없었다.

“과학소설은 성공적으로 해외에 이식된 적이 없는 몇 안 되는 미국 산업들 가운데 하나다. 일본은 디트로이트를 파멸시켰는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과학소설은 '미국산’이라는 표지를 아직도 달고 있으며 과학소설 작가들이 그려내는 미래는 여전히 미국의 미래다.

위장된 캔서스인 것은 오즈만이 아니다; 은하 제국 전체가 그저 확대된 '미국의 꿈’(또는 악몽)이다. 영국 과학소설 작가들은 그들의 이야기들을 미국 속어들로 장식했다, 그들의 록 스타들이 미국 말투를 흉내냈던 것처럼. 트뤼포와 베송 같은 프랑스 영화 감독들이 과학소설 영화들을 만들 때, 그들은 그것들을 미국 도시들에 설정한다.” [토머스 디쉬, <우리 몸을 이룬 꿈들>]

둘러다보면, 과학소설은 문학에서만이 아니라 온 예술 분야에서 근년에 가장 큰 활력을 보인 장르들 가운데 하나였음이 드러난다. 새로운 과학 지식들과 기술적 성취들을 소재로 삼고 아직은 과학이 넘보지 못하는 분야들까지 지적으로 탐험하면서, 문학적으로 높은 수준에 이른 작품들을 낳고 있다. 자연히, 시장도 부쩍 커졌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문학의 다른 장르들에 비겨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5. 과학소설의 영역

그러면 과학소설은 소설에서 어떤 영역을 차지하는가? 소설의 다른 하위 장르들과 어떻게 변별되는가? 특히 환상소설(fantasy fiction)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크게 보면, 소설은 둘로 나뉜다. 하나는 우리가 아는 실재를 충실히 반영하는 모사소설(mimetic fiction) 또는 현실소설(realistic fiction)이니, 이른바 주류소설(mainstream fiction)을 이룬다. 다른 하나는 당장엔 비현실적 이야기를 들려주는 환상소설이다. 이 환상소설과 거의 동연(同延)을 이루는 것이 모색소설(speculative fiction)이란 개념이다.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거나 현재의 과학적 정설로는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을 탐구하는 소설이란 뜻이다.

당장엔 비현실적인 이야기이므로, 환상소설은 우리가 아는 실재에 새로운 무엇을 보탠다. 바로 그 점에서 모사소설과 환상소설이 달라진다. 그렇게 보태지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환상소설은 다시 과학소설과 '협의의 환상소설’로 나뉜다.

과학소설은 비현실적이지만 자연적이다. 협의의 환상소설은 비현실적이면서 초자연적이다. 즉 과학소설 속의 이야기는 일어날 수 있지만, 환상소설 속의 이야기는 일어날 수 없다. 미국 작가 드 포드(Miriam Allen de Ford; 1888 - 1975)의 멋진 표현을 따르면, “과학소설은 있을 법 하지 않은 가능한 것들을 다루고, 환상소설은 그럴 듯한 불가능한 것들을 다룬다. (Science fiction deals with improbable possibilities, fantasy with plausible impossibilities.)”

실제로는 과학소설과 환상소설 사이의 경계는 그렇게 또렷하지 않다. 특히 대체 역사 (alternative history), 시간여행(time travel), 그리고 반중력(antigravity)이나 초광속(faster than light)을 품은 소설은 깔끔한 분류를 어렵게 만드니, 그런 작품들은 관행적으로 과학소설로 분류되지만, 그런 작품들의 바탕이 되는 상황은 나올 수 없다.

요즈음엔 과학소설과 환상소설을 하나의 장르로 보려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1992년에 과학소설계의 가장 중요한 단체인 '미국 과학소설 작가 협회 (Science Fiction Writers of America)’가 '미국 과학소설 및 환상소설 작가 협회(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로 이름을 바꾼 일은 상징적이었다.

6. 과학소설의 성격과 기능

과학소설은 본질적으로 현대 문명의 발전에 대해 문학이 보인 반응이다. 문학이 그것을 낳은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므로, 과학과 기술이 현대 사회에 미친 혁명적 영향은 당연히 현대 문학에 뚜렷이 반영되었다.

이 얘기는 물론 예술의 다른 분야들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얘기해서, 문학은 과학과 기술이 현대 사회의 결정적 동인으로 등장한 상황에 대해서 다른 예술 분야들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반응했다.

이런 사실은 가장 짧은 과학소설로 흔히 꼽히는 미국 작가 프레드릭 브라운(Fredric Brown; 1906 - 1972)의 단편에서 잘 드러난다.

“마지막 원자전쟁 뒤, 지구는 죽었다; 아무 것도 자라지 않고 아무 것도 살지 않았다. 마지막 사람이 방 안에 혼자 있었다. 그때 누가 방문을 두드렸다.”

현대 물리학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원자탄을 낳았다. 1945년의 히로시마 이후 핵전쟁은 인류의 생존을 가장 크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위협한 요소였고, 핵전쟁의 가능성은 20세기 후반 내내 사람들의 마음에 짙은 그늘을 드리웠다. 단 세 문장으로 이루어진 이 짧은 단편은 '생각할 수 없는(unthinkable)’ 일이라고 일컬어진 핵전쟁의 위협을 차가운 눈길로 응시하면서 효율적으로 다루었다.

문학이 그렇게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불러온 문제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한 까닭들 가운데 하나는 문학이 사회 현실에 다른 예술 분야들보다 훨씬 직접적으로 그리고 정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문학은 음악이나 미술보다 전언을 담는데 훨씬 뛰어나고, 자연히, 사회 현실을 또렷이 반영할 수 있다. 문학이 과학소설이라는 형태로 현대 사회의 문제들에 대응한 것처럼 다른 예술 장르들이 반응하는 모습을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다른 하나는 문학이 욕망, 본능, 조건반사와 같은 이름들로 불리는 사람의 '드러나지 않은 지식(implicit knowledge)’을 그리는 데 뛰어나다는 사실이다. 드러나지 않은 지식들은 사람의 의식과 행동에 지향성을 주는 가치 체계를 이루고 다듬는 데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것은 긴 진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으므로, 과학과 기술의 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자연히, 그것은 과학으로 대표되는 '드러난 지식(explicit knowledge)’과 조화되기 어렵고 둘 사이엔 큰 틈이 존재한다. 과학의 빠른 발전은 둘 사이의 조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둘 사이의 틈을 점점 크게 만든다. 문학은, 특히 과학소설은, 그런 부조화와 틈을 줄이는 데서 작지 않은 몫을 할 수 있다.

그런 두 가지 사실들에서 과학소설의 현대 문명에 대한 높은 '관련성’이 나온다. 과학이 자명하거나 신성한 것으로 여겨져 온 이론들과 믿음들을 밀어내는 현대 문명에선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소설들이 수행해온, 사람의 정체를 찾는 일이 아주 빠르게 과학소설에 넘겨지고 있다.

과학소설을 “우리의 발전된 그러나 혼란스러운 지식 수준(과학)에 비추어, 나올 수 있는 사람의 정의와 우주에서의 그의 위치를 찾는 일”이라 정의한 올디스는 이런 사정에 주목한 것이다.

외부에서 살필 때는 과학소설의 '관련성’에서 실용적 측면이 부각되게 마련이다. 그래서 먹루언(Marshall McLuhan)은 “과학소설 쓰기는 오늘날 새로운 기술들의 잠재적 능력을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상황들을 제시한다”고 했고, 토플러(Alvin Toffler)는 “대체 세계들이나 대체 전망들처럼 통상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가능성들을 다룸으로써, 과학소설은 변화에 대해 가능한 반응들의 수효를 늘린다”고 했다.

과학소설의 이런 기능에는 '개념적 돌파(conceptual breakthrough)’가 필연적으로 따른다. 개념적 돌파는 패러다임(과학철학에서 쓰이는 것과 같은 의미에서)의 변화를 통해서 세상에 대한 인식이 바뀌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실제로 거의 모든 과학소설 작품들은, 크든 작든, 개념적 돌파를 포함한다.

개념적 돌파는 작품 안에서 일어나는 것만이 아니며, 적잖은 작가들이 독자들 마음에서 그것이 일어나도록 작품을 구성한다. 개념적 돌파는 물론 과학소설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그것은 분명히 과학소설의 가장 중요한 특질들 가운데 하나다.

여기서 지적되어야 할 것은 '미래의 예언’이 과학소설의 본질적 기능은 아니라는 점이다. 과학소설은 근본적으로 '현재의 추세들이 그냥 이어질 경우 이러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있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따라서 우리는 현재의 추세들을 바람직한 경우엔 강화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엔 바꾸어서, 미래의 모습을 보다 낫게 만들어야 한다’는 전언을 품는다.

   
▲ 과학적 지식은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고 앞날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과학적 지식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자신과 세상을 보다 잘 보고 이해할 수 있다.

7. 과학소설의 주요 주제들

과학소설이 빠르게 진화해온 문학 장르이므로, 과학소설의 주제들은 많다. 그리고 새로운 주제들이 더해진다. 아울러 그런 주제들은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고 인류의 윤리적 경험이 깊어지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다루어진다.

이 점과 관련하여, 과학소설은 “제설통합주의가 서양에서 취한 내적(문화내적) 형태 [the internal (intracultural) form taken by syncretism in the West]”라는 미국 작가 블리쉬(James Blish; 1921 – 1975)의 견해는 음미할 만하다.

아래에 든 것들은 과학소설이 다루어온 주제들 가운데서 비교적 두드러진 것들이라 할 수 있다.

1) 우주 가극(space opera)

과학소설의 주제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아마도 우주 가극일 터이다. '행성간 또는 성간 여행, 우주를 무대로 한 지구인들과 외계인들 사이의 싸움 따위를 주제로 삼은, 흔히 틀에 박힌 과학소설’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우주 가극은 원래 '틀에 박힌 가족 상황을 지나치게 극적으로 또는 감상적으로 다룬 연속 방송극’을 뜻하는 '비누 가극(soap opera)’에서 나왔다. '비누 가극’에서 서부극을 가리키는 '말 가극(horse opera)’이 나왔고, 다시 거기서 '우주 가극(space opera)’이 나왔다.

실제로 많은 우주 가극 작품들이 서부극을 확대시킨 것이다. 곧 서부는 행성간 공간이나 성간 공간으로, 나아가서 은하계(galaxy)로 확대되고, 카우보이들은 우주선 승무원들이나 우주군으로, 권총은 광선총으로, 말은 우주선으로, 악역을 맡은 북미 원주민들은 외계인들로 바뀌었을 따름, 내용이나 구성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그래서 우주 가극이란 말엔, '말 가극’의 경우처럼, 폄하의 뜻이 담겼다. 그러나 우주 가극 작품들엔 문학적 성취도가 높은 작품들도 많으므로, 우주 가극이란 말을 되도록 중립적으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우주 여행(space travel)

이 우주에 존재하는 무엇도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이 현재 물리학의 정설이다. 광활한 우주를 무대로 삼는 과학소설에선 그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제약이다. 먼 곳으로 여행하는 일은 말할 것도 없고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 통신하는 일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가지 '초광속(faster-than-light)’ 여행이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문학적 장치들이 과학소설 작가들에 의해 고안되었다. 대표적인 것은 우주 여행에서 지름길 노릇을 하는 '초월공간(hyperspace)’의 이용이다. '공간 굴곡(space warp)’도 초월공간과 비슷한 개념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그런 초광속 여행이 물리학의 정설을 거스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초광속 여행은 우주선이 공간적 지름길을 이용하는 것으로, 우주선의 속도가 빛보다 빠르다는 얘기는 아니다.)

과학의 정설을 따르는 작가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우주 여행은 '세대 우주선(generation starship)’을 이용하게 되리라고 상정한다. 이것은 여러 세기에 걸친 우주 여행에 맞게 설계된 거대한 우주선인데, 여러 세대들이 그 안에서 살다가 죽고 후손들이 목적지에 닿을 것이므로, '여행하는 방주/ 우주 방주 (travelling ark/space ark)’라고도 불린다.

3) 외계 식민(colonization of other worlds)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 위성들에 인류 사회를 건설한다는 생각은 늘 매력적이었다. 그래서 외계 식민은 처음부터 과학소설의 인기 높은 주제였고, 그런 일에 따르는 개척자 정신은 특히 큰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천문학이 발전하자, 외계는 사람이 살기에는 너무 이질적인 환경임이 드러났다. 그래서 외계 식민을 위해선 '적응’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런 적응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사람이 자신의 몸을 외계 환경에 맞게 바꾸는 길이다. 유전 공학이나 '인체의 조절화(cyborgization)’를 통한 적응은 이미 이론적 바탕이 잘 마련된 상태다. 이런 적응에 대해선 아래 '인공 인간’ 항목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하나는 외계의 환경을 사람이 살 수 있도록 바꾸는 길이다. 이른바 '지구화(terraforming)’다. '지구화’라는 말은 잭 윌리엄슨이 <시티 우주선(Seetee Ship)> (1951)에서 처음 썼다. 그러나 그런 사업은 이미 1930년에 영국 작가 스테이플던(Olaf Stapledon; 1886 – 1950)이 <마지막 그리고 처음 인간(Last and First Man)>에서 제시했다.

거기서 제시된 사업은 바닷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산소를 만들어서 금성을 사람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 방안은 당시로선 상당히 앞선 생각이었지만, 현재의 과학 지식과 기술 수준에서 살피면, 원시적이고 현실성이 아주 작다.

요즈음엔 지구에서 실제로 있었던 것처럼, 박테리아와 식물을 먼저 자라나게 해서 사람이 숨쉴 수 있는 대기를 마련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라고 여겨진다.

외계 식민은 물론 태양계 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과학소설은 사람이 다른 별들로 진출하고 궁극적으로 여러 은하들을 아우르는 '은하 제국(galactic empire)’을 세우는 모습을 그린다. 과학소설은 멋진 주제들을 많이 가졌지만, 은하 제국처럼 멋진 주제는 없다.

상상하기도 힘들 만큼 광막한 은하들을 사람의 영역으로 삼는다는 생각엔 누군들 가슴이 부풀지 않겠는가. 아쉽게도, 은하 제국이 실제로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별들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정보 전달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정보 전달이 늦으면, 사회는 응집력을 잃는다. 태양계에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센터우리가 4.3 광년 떨어졌고, 바너즈 스타가 6.0 광년 밖에 있고, 10광년 안에 있는 별들이 모두 일곱 개뿐임을 생각하면, 우주 제국이 나오기 어렵다는 사정이 뚜렷해진다.

그러나 우리는 꿈을 품고 산다. 그래서 과학소설 작가들은 늘 은하 제국의 멋진 모습들을 그릴 것이고 독자들은 부푸는 가슴으로 그것들을 읽을 것이다. 빛의 속도와 같은 차가운 사실에 밀려나기엔, 은하 제국은 너무 멋진 개념인 것이다.

4) 시간 여행(time travel)

시간 여행은 과거나 미래를 찾아가는 일을 뜻한다. 시간 여행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정교한 장치를 이용하는 일을 가리키며, 그런 장치 없이 과거나 미래로 우연히 가는 일은 '시간 이탈 (timeslip)’이라고 부른다.

시간 여행은 물론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것은 작가에게 여러 가지 문학적 가능성들을 제공하므로, 인기가 높은 개념이다. 게다가 시간 여행이 품은 역설들 덕분에 – 대표적 예는 '과거를 찾아간 시간여행자(time traveller)가 자신의 직계 선조를 죽이면, 어떻게 되는가?’이다 – 문학적으로만이 아니라 지적으로도 흥미가 큰 주제다. 보다 흥미로운 주제는 시간 여행자가 자신이 지닌 현대 문명의 지식을 이용하여 과거 사회를 개량하거나 역사적 비극을 막는 일이다.

5) 외계인

외계인(aliens; extraterrestrials)은 지구 밖에서 유래한 생명체들을, 일반적으로 높은 지능을 갖춘 생명체들을, 뜻한다. 달은 지구의 한 부분이지만, 여기서는 지구는 달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지구의 생명체들과 다르게 구성되고, 자연히, 생각과 행동이 사람과 다른 생명체라는 개념은 진화론이 받아들여진 뒤에야 나올 수 있었다. 그래서 외계인이 등장한 과학소설은 19세기 후반에야 나왔다.

외계인의 존재는 언뜻 보기보다 중요한 주제다. 이론적으로는, 생물이 살 만한 행성들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런 행성들의 상당수에서 생명체가 나타났을 터이고, 그런 생명체들 가운데 상당수가 성간 공간을 여행할 만한 문명을 이루었을 것이다.

적어도 전파를 외계로 보낼 만한 문명을, 즉 지금 인류가 이른 수준의 문명을, 이루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문명의 단서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그들은 어디 있는가?” 페르미(Enrico Fermi)가 반 세기 전에 던진 이 물음은 아직 대답을 얻지 못했다.

그 물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지적으로 무척 흥미로운 일이지만, 그것은 실은 지구의 생명체들과 인류 문명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도 긴요하다. 지구의 생명체들은 아주 다양하지만, 그것들은 모두 한 뿌리에서 나와 진화했으며, 자연히, 본질적으로 같다. 모든 생명체들은, 사람이든 세균이든, 식물이든 동물이든, 핵산들을 이용하여 유전 정보들을 전달하고 단백질들을 이용하여 세포의 화학 반응들을 통제한다.

오래 전에 살았다가 사라진 생명체들도 그러했다. 따라서 지구의 생명체들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는 삶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얻기 어렵다. 외계생물학(xenobiology)은 아직 상상 과학의 영역에 머물고 있지만, 만일 우리가 외계의 생명체를 단 하나라도 만나게 된다면, 우리의 통찰은 양자적 도약을 이룰 것이다.

과학소설 작품들 속에 나오는 외계인들은 대개 지구의 생명체들 마찬가지로 탄소에 바탕을 두고(carbon-based) 원형질로 이루어진 생명체들도 그려진다. 탄소는 우주에 많이 그리고 널리 분포하고 복잡한 분자들을 이룰 수 있다. 탄소와 성질이 비슷한 실리콘에 바탕을 둔(silicon-based)생명체들도 등장한다.

그러나 복잡한 분자를 이루는 능력에서 탄소보다 훨씬 뒤지므로, 실리콘에 바탕을 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작다. 그렇게 이질적인 생명체의 모습을 그리는 일이 워낙 어려워서, 그것을 시도한 작품들은 수도 적고 문학적 성과도 그리 크지 않았다.

실리콘에 바탕을 둔 생명체보다 훨씬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럴 듯하게 그려진 외계인은 자기 복제를 하는 '비유기적 생명체(inorganic lifeform)’와 순전히 에너지로 이루어진 생명체다. 에너지로 이루어진 생명체는 특히 흥미로운 개념으로, 만일 그런 존재가 실제로 사람들 앞에 나타난다면, 사람들 눈엔 그것이 신으로 보이리라는 주장이 나왔고, 그런 주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인류가 받들어 온 신들이 실은 그런 에너지로 이루어진 외계인들이라는 가설도 나왔다.

어쨌든, 보편적 다윈주의(Universal Darwinism)가 널리 받아들여진 지금, 우주의 모든 생명체들이 자연 선택을 통해서 진화했으리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래서 외계인들과 지구 생명체들 사이엔 비슷한 점들이 많으리라는 생각도 상당한 근거를 지녔다.

6) 인공 인간

과학소설은 여러 가지 인공 인간들을 다룬다. 대표적인 것들은 인조 인간(android), 복제 인간(human clone), 재생 인간(doppelganger 또는 zombie), 개조 인간(engineered human), 조절 인간 (cyborg) 그리고 기계 인간(robot)이다. 물론 이들은 서로 많이 다르다.

그래서 그들을 주제로 삼은 과학소설들은 다른 하위 장르들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들은 사람이 자신의 형상에 따라 만들어낸 존재들이고 신 대신 과학자들이 창조자 노릇을 했다는 점에서 한 범주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사정은 첫 인조 인간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메어리 쉘리의 <프랑켄슈타인, 또는 현대의 프로메테우스> (1818)에서 잘 드러난다. 한 과학자가 시체들의 조각들로 합성해서 생명을 불어넣은 '사람’을 다룬 이 작품은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로 신이 창조한 생물들도 진화한다는 주장을 편 이래즈머스 다윈(Erasmus Darwin; 1731 – 1802)의 영향을 받았고, 신의 영역이라고 여겨져 온 지식을 찾는다는 파우스트적 주제를 구체화했다.

인조 인간은 화학공학적으로 만들어진다. 겉 모습은 사람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닮았고, 사람과 같게 또는 아주 비슷하게 생각하고 느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식을 낳을 수 없다고 설정된다.

생물 복제(cloning)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의 어떤 개체를 그대로 복사해내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그대로’라는 말은 원래의 개체와 복사된 개체들의 유전자들이 똑같다는 것을 뜻한다. 주목할 것은 생물 복제는 근본적으로 진화를 방해한다는 점이다.

모든 고등 생물들은 유성 생식을 통해 유전자들을 새롭게 결합하면서 진화해 왔다. 똑같은 유전자들을 가진 개체들을 여럿 만들어내는 것은 진화의 물길을 멈추는 일이며, 자연히, 퇴행적이다.

그 점은 재생 인간의 경우에 훨씬 심해진다. 이미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일은 낡은 개체들이 죽어서 비워놓은 생물적 공간에 새로운 개체들이 들어선다는 삶의 근본적 질서를 거스른다. 그래서 재생 인간을 주인공으로 삼은 과학소설 작품들은 드물고, 재생 인간들은 거의 언제나 사악하거나 탐욕스러운 사람들의 노예들로 나온다.

doppelganger는 원래 '한 사람의 영적 반려’를 뜻하는 독일어인데, 과학소설에선 '죽은 뒤에 화학공학적 과정을 거쳐 다시 목숨을 지니게 된 사람’이란 뜻으로 쓰인다. doppelganger는 흔히 그들을 되살려낸 사람의 뜻에 따라 움직이지만, 거의 모든 면들에서 독립된 존재다. 반면에, zombie는 의지도 없고 말도 하지 못한다.

zombie는 원래 서 아프리카에서 '구렁이의 신’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그것에서 잡혀온 흑인 노예들이 정착한 서인도제도에서 '죽었다가 되살아났지만 의지도 없고 말도 하지 못하며 기계적 동작들만 할 수 있는 사람’이란 뜻을 지니게 되었다.

개조 인간은 환경적응화(pantropy) 과정을 거쳐서 나온 사람을 가리킨다. 환경적응화는 외계의 아주 이질적인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사람들을 만드는 생물공학적 과정이다.

조절 인간은 'cybernetic organism’의 약어로,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이종 교배로 나온 개체를 가리킨다. 조절 인간이란 개념은 로빅(David Rorvik)이 <사람이 기계가 되면(As Man Becomes Machine)>(1971)에서 사람과 기계의 '결합(melding)’으로 “참여적 진화의 새로운 시대(new era of participant evolution)”가 열리리라고 주장하면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이 개념을 먼저 그리고 꾸준히 탐구한 것은 과학소설 작가들이었다. 덕분에 조절 인간은 비교적 잘 탐구되고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주제가 되었다.

기계적으로 만들어진 인간인 로봇(robot)은 미래의 인류 사회를 그린 작품들에서 흔히 나오지만, 가장 널리 알려졌고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애시모프가 그린 로봇들이다. 과학소설 작가들은 처음엔 로봇들이 사람들을 압도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드러냈고, 로봇들이 사람들을 억압하거나 말살하는 상황들을 그렸다.

애시모프는 사람들에게 호의적인 로봇들을 그렸다. 아울러 그는 인류를 로봇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려 했고, 마침내 <나, 로봇(I, Robot)> 연작에서 '로봇 공학의 세 법칙들(Three Laws of Robotics)’이라고 불리는 원칙을 다듬어 냈다.

제1법칙: 로봇은 사람을 해치거나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사람이 해를 입도록 해서는 안 된다.

제2법칙: 로봇은 사람이 내린 명령들을 따라야 한다, 그것들이 제1법칙과 상충하지 않는 한.

제3법칙: 로봇은 자신의 존재를 보호해야 한다, 그런 보호가 제1법칙이나 제2법칙과 상충하지 않는 한.

위의 세 법칙들을 생각해낸 뒤, 애시모프는 '사람’이란 말을 정의하지 않고서는 자신이 세운 법칙들을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개별적 사람들에 우선하는 인류하는 개념을 도입했다.

제0법칙: 로봇은 인류를 해치거나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인류가 해를 입도록 해서는 안 된다.

애시모프가 이런 법칙들을 내놓자, 로봇 소설을 쓴 작가들은 거의 모두 그것들을 문학적 관행(convention)으로 받아들였다. 인공 지능(AI)의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매서추세츠 공대(MIT)의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는 그 법칙들을 실제로 컴퓨터에 집어 넣으려고 애썼다.

7) 변종 인간(mutant)

변종 인간은 돌연변이에 의해 정상적 사람들과 뚜렷이 구별될 만큼 새로운 특질들을 지니게 된 사람을 말한다. 다른 종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변종은 자연적으로 나올 수 있으나, 과학소설에선 흔히 방사선과 같은 요인들로 생식 세포의 유전자들이 손상을 입어 나오는 것으로 그려진다.

일반적으로 그런 변종 인간들은 괴물로 그려지지만, 영신감응(telepathy) 능력을 지닌 사람들처럼 때로는 인류의 진화에서 한결 발전된 단계로 그려지기도 한다. 변종 인간들이 많이 나오는 세상으로 우리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은 핵전쟁과 같은 재앙을 만난 세상이므로, 변종 인간 소설은 흔히 '재앙후 세계(post-catastrophic world)’를 무대로 삼는다.

8) 초감각적 지각(extrasensory perception; ESP) 또는 염력(psi powers)

초감각적 지각은 정상적 종류와 수준을 넘는 정신 능력을 뜻하며, 영신감응(telepathy), 정신 통제(mind control), 예시, 투시, 염동(telekinesis), 물체 이동(teleportation), 염화(pyrolysis), 즉시 통신(instantaneous communication) 따위를 포함한다.

정상적 지각에선 지각의 대상으로부터 온 물리적 자극이 감각 기관을 흥분시키고 그 흥분이 중추신경계에 전해져서 감각을 일으킨다. 초감각적 지각에선 물리적 자극이 전달될 수 없는 조건에서 대상에 대한 정보가 얻어지며 그것과 관련된 감각 기관의 존재도 아직 확인된 것이 없다. 자연히, 초감각적 지각을 다룬 과학소설 작품들에서도 그런 감각 기관의 성격과 기능을 밝힌 경우는 보기 힘들다.

초감각적 지각이 가리키는 현상들은 염력이라는 말로도 표현되며, 두 개념은 비슷한 것으로 여겨지고 쓰여진다. 'psionics’란 말도 한때 쓰여졌다.

9) 실재의 인식(awareness of reality)

사람이 인식하는 세상의 정체를 살피는 것은 과학소설의 중요하고 풍요로운 주제들 가운데 하나다. 예컨대, '과연 누가 인조 인간이고 누가 진정한 사람이냐?’, 또는 '나는 과연 사람이냐, 아니면 자신을 사람이라고 여기는 인조 인간이냐?’와 같은 물음들은 과학소설이 즐겨 다루는 주제이며, 근년에 많은 영화들이 다루어서 과학소설을 읽지 않는 독자들도 익숙해졌다.

실재의 인식을 다룬 고전적 예는 <장자>의 '나비 꿈’이다.

“얼마 전에 나 장주(莊周)는 꿈에 나비가 되어 나비처럼 기뻐했다. 스스로 즐거워 마음에 들어 주(周)인 줄 알지 못했다. 문득 꿈이 깨니, 놀랍게도 주(周)였다. 나는 알지 못한다, 주(周)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는지, 나비가 주(周)가 된 꿈을 꾸고 있는지.”

실재의 인식을 깊이 탐구한 작가는 딕(Philip K. Dick)이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들이 현실로 여긴 것이 현실이 아니라는 것을 점차 깨달아가는 모습을 그린 작품들을 많이 썼다.

실재의 인식이라는 주제에서 또 하나의 가닥은 인류가 실은 엄청난 능력을 지닌 다른 존재의 통제를 받는다는 가정이다. “우리는 소유물이다 (We are property)”라는 미국 문필가 포트(Charles Fort; 1874 - 1932)의 구호는 이런 편집병적 견해를 깔끔하게 표현했다.

10) 미래 역사(future histories)

과학소설 작품들은 거의 모두 미래에 관한 것들이다. 그러나 그런 작품들 속에 나온 미래의 모습들은 대부분 단편적이다. 때로 미래는 체계적이고 전체적인 모습으로 제시되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 그 작품들은 미래 역사라 불린다. 애시모프의 <기단> 연작과 하인라인의 <미래 역사(Future History)> 연작은 미래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그려낸 웅장한 작품들이다.

11) 대체 역사(alternate history)

대체 역사는 과거에 있었던 어떤 중요한 사건의 결말이 현재의 역사와 다르게 났다는 가정을 하고, 그 뒤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작품의 배경으로 삼은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과거에 있었던 어떤 중요한 사건의 결말’이라는 부분이다. 사소한 사건의 결말이 다르게 났더라도, 대체 역사는 나왔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실재 역사와 구별하기 힘들 만큼 비슷할 것이고, 문학적으로 쓸모가 거의 없다.

자연히, 대체 역사가 실재 역사로부터 갈라지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은 역사적으로 무척 중요한 사건이어야 한다. 그런 분기점으로 자주 쓰이는 것은 2차 대전에서 독일과 일본이 이겼다는 가정과 미국의 남북전쟁에서 남부가 이겼다는 가정이다.

12) 평행 세계들(parallel worlds)

평행 세계들은 실재하는 세상과 다른 시공연속체(space-time continuum) 속에서 존재하는 세상들을 가리킨다. '다른 차원들(other dimensions)’이라 불리기도 한다. 근년에는 그런 평행 세계들이 이 세상과 아주 비슷한 세상부터 전혀 다른 세상까지 무수히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되면서, '다수 우주(multiverse)’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 개념에 따르면, 우리가 아는 우주는 그런 다수 우주의 한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 일부 물리학자들이 양자역학의 수수께끼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다수 세계 해석(many-worlds interpretation)’을 내놓자, 이 개념은 위상이 부쩍 높아졌다.

13) 재앙후 세계(post-catastrophe world / post-holocaust world)

인류 문명이 자연적 또는 인공적 재앙을 만나는 일은 문학에서 자주 다루어진 주제다. 고대엔 홍수, 질병, 화재, 흉작, 지진, 전쟁과 같은 재앙들이 주로 다루어졌고, 현대엔 소행성이나 혜성과의 충돌, 외계인의 침공, 새로운 빙하기의 도래, 바이러스의 창궐, 인구 폭발, 환경의 오염과 파괴, 핵전쟁, 우주 방사능(cosmic radiation)과 같은 재앙들이 더해졌다. 그런 주제를 다룬 '재앙 소설(disaster stories)’은 거의 정의에 의해 과학소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흥미롭고 풍요로운 것은 재앙 자체보다는 재앙이 일어난 뒤의 세계의 모습에 초점을 맞춘 '재앙후 세계’ 소설이다. 재앙으로 파괴된 인류 문명의 폐허에서 새로운 문명이 자라나는 모습을 그리는 일은 작가들에게 상상력을 한껏 펼칠 수 있는 무대를 제공한다. 덕분에 재앙후 세계 소설은 과학소설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분야고 뛰어난 작품들도 많다.

14) 이상향(utopia)과 반이상향(dystopia)

이상향을 꿈꾸는 일은 인류 사회가 처음 나타났을 때 이미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재하는 사회들은 모두 결점들이 많으므로, 그것을 개혁하려는 사람들이 늘 나오게 마련이다.

이상향을 명시적으로 그린 첫 문학 작품은 영국의 기독교 승려이자 작가인 토머스 모어의 <이상향>이다. 플라톤의 <공화국>의 짙은 영향 아래 쓰여진 이 작품은 아메리카 대륙의 한 섬에 자리잡은 도시 국가들로 이루어진 공산주의 사회를 그렸다.

그 뒤로 이상향을 그린 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영향력이 가장 컸던 이상향 소설은 영국 정치사상가 해링튼(James Harrington; 1611 – 1677)의 <오세아나 연방(Commonwealth of Oceana)> (1658)일 것이다.

그가 그린 이상향은 17세기 영국 사회의 조건들에 바탕을 두었지만, 그 작품은 그런 역사적 맥락을 뛰어넘어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성문법, 양원제, 주요 정부 직책들의 임기제, 비밀 투표, 대통령의 간접 선거 따위 영국의 정치 체계에 없었으나 미국의 정치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사항들은 <오세아나 연방>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상향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가 차츰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마뉴엘(Frank Manuel)은 <이상향들과 이상향적 생각 (Utopias and Utopian Thought)> (1966)에서, 문명과 사회가 진보하자, 작가들은 '더 좋은 곳(eutopia)’을 논의하는 대신에 '더 나은 시대 (euchronia)’를 논의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관점이 바뀌자, 이상향은 실재하는 사회와 비교하는 데 쓰이는 상상 속의 존재가 아니라 미래에 실제로 나올 수 있는 존재로 바뀌었다는 얘기다.

'반이상향 (dystopia)’이란 말은 밀(John Stuart Mill; 1806 – 1873)이 처음 썼다. 산업혁명의 어두운 측면이 부각되면서, 문명이 꾸준히 진보한다는 믿음이 흔들리자, 19세기 말엽엔 지적 논의들과 예술 작품들에서 반이상향적 이미지들이 부쩍 늘어났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치르고 핵 전쟁의 위협 속에서 살면서, 사람들은 사회적 진보에 대한 믿음이 약해지고 과학과 기술에 대한 회의가 깊어졌다. 자연히, 20세기엔 이상향을 그리는 작품들은 거의 사라지고 반이상향에 대해 경고하는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15) 발견과 발명

새로운 과학 원칙의 발견과 새로운 도구들의 발명은 소설의 다른 장르들보다 과학소설에서 훨씬 적극적으로 다룬다. 그래서 적잖은 사람들이 그런 발견과 발명을 과학소설의 가장 중요한 특질이자 기능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발견과 발명은 과학소설의 중심적 주제도 아니고 중요한 특질이나 기능도 아니다.

실제로 발견과 발명에 초점을 맞춘 '발명 이야기(invention story)’들이 아주 많은 것도 아니다. 그래도 대부분의 과학소설 작품들이 미래에 관한 것이고, 미래의 모습을 그리는 데서 발견과 발명은 필수적 요소이므로, 과학소설이 그 동안 내놓은 발견과 발명의 목록은 무척 길다.

발명 이야기는 19세기에 많이 쓰여졌다. 베른(Jules Verne)의 작품들은 대부분 발명 이야기로 분류될 수 있고, 그가 생각해낸 발명들은 많고 현실성이 있어서, 그가 발명 이야기를 발명했다고 해도 크게 틀린 얘기는 아니다.

20세기 초엽엔 웰스(H. G. Wells)가 많은 것들을 발명했다. 그것들 가운데엔 '시간 기계(time machine)’처럼 환상적인 것들도 있었지만, 전차(tank)나 원자탄처럼 현실적인 것들도 있었다. 키플링(Rudyard Kipling; 1865 - 1930)은 단편 <야간 우편으로 (With the Night Mail)> (1905)에서 항공우편제도를 제시했다.

그 뒤로 우주선, 텔레비전, 원격조작장치(waldo),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재조합(gene splicing)과 같은 개념들이 잇따라 발명되었고, 그런 개념적 발명들은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에게 '개념적 돌파(conceptual breakthrough)’로 작용해서 그것들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우주 승강기(space elevator)’나 인공 광합성과 같은 기술들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멋진 발명들보다는 비합리적이거나 비현실적인 제안들이 훨씬 많았다. 그런 성공과 실패의 사례들보다 우리에게 교훈적인 것은 과학소설 작가들이 실패한 방식이다. 과학소설에서 나온 발명들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것은 역시 우주선이다.

우주선은 과학소설에서 처음 그 개념이 제시되었을 뿐 아니라, 과학소설을 읽고서 우주 탐험에 열광적인 시민들이 존재한 덕분에 엄청난 자원이 드는 개발 사업이 가능했다. 그러나 달에 첫 우주선이 닿는 모습을 그린 작품들은 모두 그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세부 사항 하나를 놓쳤다. 바로 지구의 모든 사람들이 그 광경을 텔레비전을 통해서 지켜보았다는 사실이다.

16) 종교

과학소설의 이름과 정의를 생각하면, 종교는 과학소설에 가장 이질적인 주제로 여겨질 터이다. 그러나 과학소설의 역사에서 종교는 줄곧 중요한 주제였다.

19세기에 과학의 발전으로, 특히 지질학, 생물학 그리고 천문학의 발전으로, 인류의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기독교 교리와 상충하는 사실들이 잇따라 발견되자, 유럽의 많은 지식인들에게 전통적 교리들과 그것들에 점점 적대적으로 되어가는 과학 이론들을 조화시키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적 과제가 되었다.

외계인들의 종교도 과학소설이 성공적으로 다루어 온 주제다. 종교를 주제로 삼는 일에서 과학소설의 특질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분야는 아마도 종교적 경험을 반대쪽에서, 즉 신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일 터이다.

7. 과학소설 속의 과학

그 말이 뜻하는 것처럼, 과학소설은 과학을 다루는 소설 장르다. 여기서 과학은 현재 과학계가 정설이라고 여기는 과학 이론들의 집합을 뜻한다. 실제로는, 위에서 살핀 바처럼, 사정이 복잡하다. 과학소설 작품들 속엔 과학만이 아니라 '의사 과학(pseudo-science)’과 '상상 과학(imaginary science)’이 많이 들어있다. 심리학이나 사회학과 같은 '무른 과학들(soft sciences)’의 분야들에선 특히 그렇다.

의사 과학은, 비록 과학적 또는 유사 과학적(quasi-scientific) 용어들을 쓰지만, 정통적 과학자들에 의해 틀렸거나 증명되지 않았다는 판정을 받은 믿음들의 체계다.

이론의 여지가 없이 의사 과학에 속하는 것들은 점성술, 수에 의한 예언(numerology), 미확인 비행물체에 대한 믿음(ufology), 초감각적 지각(ESP), 속이 빈 지구(hollow Earth), 잃어버린 대륙, 라마르크(Jean 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de Lamarck; 1744 – 1829)의 학설에 바탕을 둔 진화 (이 가정은 기계 인간이나 외계인에 적용될 때는 의사 과학에서 상상 과학으로 성격이 달라진다) 그리고 성경과 신화들 속에 나오는 재앙들은 모두 우주적 교란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 따위다.

틀렸음을 증명하기가 쉽지 않아서 아직 논란을 빚는 것들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융(Carl Gustav Jung; 1875 – 1961)의 이론을 들 수 있다. 이런 의사 과학들은 바뀌지 않는 핵심적 아이디어를 핵심으로 삼아 새로운 모습을 하고서 거듭 나타난다. 새로운 버전들은 원래의 버전보다 훨씬 과학적으로 치장을 했으므로, 논파하기가 힘들고, 과학에 무지한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상상 과학은 과학소설 작가들이 꾸며낸 과학 이론들로, 현재로선 불가능한 것들이다. 의사 과학과 상상 과학 사이의 차이는, 의사 과학을 따르는 사람들은 그것이 옳다고 믿지만, 상상 과학을 고안해 낸 과학소설 작가는 그것이 적어도 현재로선 불가능하다는 점을 안다는 사실이다.

상상 과학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지금은 불가능하지만 앞으로는 가능할 수도 있는 것들이다. 정보 전달을 통한 물체의 재생, 생명 활동의 정지(suspended animation) 그리고 외계 생물학(xenobiology)은 대표적이다.

다른 하나는 현재의 정설로는 불가능하지만 이야기의 전개를 위해서 고안된 것들이다. 초광속 여행과 통신, 반중력, 보이지 않는 기술(invisibility), 시간 여행, 대체 세계 따위는 널리 알려진 예들이다. 애시모프가 고안한 'positronics’나 'psychohistory’도 이 부류에 속한다.

8. 과학소설에 관한 정보

과학소설에 관한 책들은 많다. 미국에선 과학소설에 관한 연구가 “산업을 이루었다”는 얘기가 나온 지 이미 오래다. 자연히, 좋은 입문서들도 구하기 어렵지 않다.

가볍게 읽을 만한 입문서로는 런드월(Sam J. Lundwall; 1941 - )의 <과학소설의 모든 것(Science Fiction: What It’s All About)> (1971, Ace Book)을 추천할 만하다. 런드월은 스웨덴의 대중 음악가이자 과학소설 평론가로, 이 책은 원래 1969년에 스웨덴어로 출간되었다. 읽기 쉽게 쓰여졌고 흥미로운 사항들이 많이 소개되었다.

미국 작가 건(James E. Gunn; 1923 - )의 <대체 세계들: 삽화가 들어있는 과학소설의 역사 (Alternate Worlds: The Illustrated History of Science Fiction)> (1975)도 균형이 잡히고 설명이 또렷해서, 일반 독자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보다 학구적인 접근을 바라는 독자들에겐 영국의 작가들인 브라이언 올디스(Brian W. Aldiss)와 데이비드 윈그로브(David Wingrove; 1954 - )의 <1조 년 동안의 잔치 (Trillion Year Spree)>(1986)를 추천할 만하다.

저자의 통찰력과 주장들이 뚜렷이 드러나고 과학소설에 대한 열정이 배어 있어, 독자들에게 큰 즐거움을 준다. 이 책은 올디스가 1973년에 펴낸 <10억 년 동안의 잔치 (Billion Year Spree)>를 확대한 것인데, 적잖은 이들이 오히려 이 책을 더 높이 평가한다.

과학소설을 쓰려는 사람들은 '클래리언 과학소설 작가 창작교실 (Clarion Science Fiction Writers’ Workshop)’의 작품집들에서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을 터이다.

이 창작교실은 원래 1968년에 미국 펜실배니어의 클래리언 주립대학(Clarion State College)에서 시작했는데, 과학소설 분야에서 가장 오래 되고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명성이 높은 과학소설 작가들의 지도 아래 집중적 창작과 토론을 통해서 과학소설 창작 능력을 함양하면서, 그 과정에서 나온 학생들의 작품들과 선생들의 해설들을 모아서 작품집들을 냈다. 첫 회의 주관자였던 미국 작가 로빈 스코트 윌슨 (Robin Scott Wilson; 1928 - )이 편집한 <클래리언(Clarion)> (1971) 이후 여러 권이 나왔다.

과학소설에 관한 기본 자료들을 얻는 데는 캐나다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클루트(John Clute)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작가이자 편집자인 니콜스(Peter Nicholls)의 <과학소설 백과사전(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1979, 1993, St. Martin’s Press)이 가장 권위가 크고 이용하기 편리하다. (과학소설에 관해 학술적으로 연구하려는 사람들은 이 백과사전의 'Critical and Historical Works About SF’ 항목에서 필요한 책들과 잡지들의 목록을 얻을 수 있다.)

과학소설에 관한 최신 정보들을 얻는 데는 미국의 과학소설 전문 잡지(semiprozine)인 '로커스(Locus)’가 좋다. 1968년에 창간된 뒤 명성을 얻어, 이제는 과학소설 분야의 대표적 전문지가 되었다.

9. 과학소설 분야의 상들

과학소설 분야의 상들은 꽤 많다. 그것들 가운데 가장 오래 되고 권위가 큰 것들은 '휴고상(Hugo Award)’과 '성운상(Nebula Award)’이다.

'휴고상’은 본래 이름이 '과학소설 성취상(The Science Fiction Achievement Award)’인데, 1926년에 과학소설 전문 잡지 '놀라운 이야기들(Amazing Stories)’를 창간해서 과학소설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미국 출판인 건즈백(Hugo Gernsback)을 기려서 '휴고상’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붙였다.

과학소설의 아마추어 또는 팬들이 주는 상으로 1953년부터 시상했. 소설이 주요 분야이지만, 편집, 미술, 삽화, 영화 및 텔레비전 그리고 팬 작품과 같은 분야들에도 시상하며, 갖가지 특별상들도 한시적으로 설정된다.

'성운상’은 1966년부터 '미국 과학소설 및 환상소설 작가협회 (The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가 수여해온 상이다. '휴고상’과는 달리, 직업 작가들의 견해가 반영된 상이다. 장편 소설(novel; 40,000자 이상), 짧은 장편 소설(novella; 17,500자 – 40,000자), 중편 (novelette; 7,500 자 – 17,500 자) 및 단편(short story; 7,500자 미만)의 분야들에 대해서 시상한다.

10.일반 독자들에게 추천할 만한 작품들

과학소설은 주류 소설보다 역사가 훨씬 짧고 작품들의 수도 그리 많지 않다. 작품들의 역사적 중요성과 문학적 성취도에 대한 합의도 주류소설의 경우보다 훨씬 뚜렷하다. 아래에 소개된 작품들은 일반 독자들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전’들인 바, 필자의 취향을 주로 반영했으므로, 아주 주관적인 목록이다.

1) 쥘 베른(Jules Verne; 1828 - 1905): <바다 밑 2만 리 (Vingt mille lieus sous les mers)> (1870)

잘 구상된 잠수함 '노틸러스호(Nautilus)’와 우울하고 신비적인 선장 네모(Nemo)가 인상적이어서, 지금까지 큰 사랑을 받았다. 19세기 과학소설에선 보기 드물게 잘 다듬어진 작품으로, 문학적 성취도와 상업적 성공을 함께 거두었다.

2)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1866 – 1946): <시간 기계: 발명품(The Time Machine: An Invention)> (1895)

발명가가 제작한 '시간 기계’를 타고 인류와 지구가 먼 미래에 맞은 운명을 미리 살핀 작품이다.

3) 올라프 스테이플던 (Olaf Stapledon; 1886 – 1950): <마지막 그리고 첫 인간(Last and First Man)> (1930)

20억 년에 걸쳐 18인류 종족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4) 워드 무어(Ward Moore; 1903 – 1978): <희년을 선포하라(Bring the Jubilee)> (1953)

'게티스버그 싸움’에서 남군이 이겨서 '남북전쟁’에서 남부가 이겼다는 가정 아래 쓰여진 대체역사다. 대체역사의 고전으로 꼽힌다.

5) 조지 오웰 (George Orwell; 1903 – 1950): <1984년 (Nineteen Eighty-four)> (1949)

전제적 권력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된 사회의 모습을 그린 반이상향 소설이다.

6) 로버트 하인라인(Robert A. Heinlein; 1907 – 1988): <달은 엄격한 여인이다 (The Moon Is a Harsh Mistress)> (1966)

지구의 식민지인 달 사회가 독립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완전한 인공 지능이 출현하는 과정을 그렸다.

7) 스프레이그 드 캠프(L. Sprague De Camp; 1907 - 2000): <어둠이 덮이지 않도록(Lest Darkness Fall)> (1941)

6세기 로마로 시간 여행을 한 20세기 사람이 중세의 '암흑기’를 막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8) 윌리엄 골딩(William Golding; 1911 - 1993): <파리들의 임금(Lord of the Flies)> (1954)

타고 가던 비행기가 추락해서 외딴 섬에 닿은 소년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 생존하면서 사회적 질서를 이루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9) 리 브래키트(Leigh Brackett; 1915 – 1978): <긴 내일 (The Long Tomorrow)> (1955)

핵전쟁으로 현대 문명이 파괴된 세상에서 과학과 기술을 되살리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재앙후 소설이다.

10) 아서 클라크 (Arthur C. Clarke; 1917 - 2008): <유년의 끝 (Childhood’s End)> (1953)

인류가 훨씬 앞선 외계인들의 도움으로 원숙한 종족으로 바뀌고 마침내 우주의 정신(cosmic overmind)에 합류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11) 시어도어 스터전(Theodore Sturgeon; 1918 – 1985): <인간 이상(More than Human)> (1953)

깊이 소외된 아이들 여섯이 염력을 지닌 하나의 생명체로 융합되어 진정한 원숙함을 얻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12) 프레데릭 폴(Frederik Pohl; 1919 - 2013): <강화된 사람(Man Plus)> (1976)

화성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변형된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13) 아이적 애시모프 (Isaac Asimov; 1920 – 1992): <기단 (Foundation)> 연작

인류 문명이 은하 전체에 퍼져 방대한 은하 제국을 이룬 먼 미래의 이야기다. 역사적 제국들의, 특히 로마 제국의, 흥망을 참고하여 쓰여졌다.

14) 레이 브래드버리(Ray Bradbury; 1920 - 2012): <화씨 451도 (Fahrenheit 451)> (1953)

지식이 위험한 것으로 여겨져서, 책들이 모두 불태워지고, '소방관’들이 지식의 통제자들이 된 반이상향 사회를 그린 작품이다. 화씨 451도는 종이가 불이 붙는 온도다.

15) 프랭크 허버트 (Frank Herbert; 1920 – 1986): <모래 행성(Dune)> (1965)

전체가 사막인 행성을 무대로 삼아 사회의 움직임을 총체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섬세하면서도 포괄적인 생태계의 묘사가 뛰어나며,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큰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16) 스타니슬라프 렘(Stanislaw Lem; 1921 - 2006): <솔라리스 (Solaris)> (1961)

신과 비슷한 이상한 존재와의 교섭을 통해서 인류의 한계를 그린 우화(parable)다.

17) 제임스 블리쉬(James Blish; 1921 – 1975): <양심의 문제(A Case of Conscience)> (1958)

기독교의 '원죄(Original Sin)’의 개념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는 외계인들에 대한 태도를 놓고 야소회 신부가 고뇌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종교 문제를 정색하고 다룬 과학소설의 고전이다.

18) 월터 밀러(Walter M. Miller; 1922 - 1996): <라이보위츠를 위한 영창(A Canticle for Leibowitz)> (1960)

핵전쟁으로 재앙을 만난 세계를 무대로 삼아 종교와 지식을 다룬 작품이다.

19) 러셀 호번(Russel Hoban; 1925 - 2011): <리들리 워커(Riddley Walker)> (1980)

영국 남부 지방을 무대로 한 재앙후 소설로, 재앙이 일어난 지 2천 년 가량 지난 뒤의 상황을 그렸다. 문명이 파괴된 뒤 언어가 쇠퇴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서 명성이 높다.

20) 대니얼 키즈(Daniel Keyes; 1927 - 2014): <알저넌을 위한 꽃다발(Flowers for Algernon)> (1966)

인공적으로 지능을 높이는 연구 사업을 주제로 삼은 작품이다. 지능이 아주 낮았지만 인공적 과정을 통해서 천재의 지능을 갖게 된 사람이 화자가 되어 자신의 경험과 바로 앞선 실험의 대상이었던 생쥐의 경험을 들려준다. 영화 <찰리 (Charley)>로 널리 알려졌다.

21) 필립 딕 (Philip K. Dick; 1928 – 1982): <높은 성 속의 사람 (The Man in the High Castle)> (1962)
 

2차대전에서 연합국측이 져서, 미국이 독일과 일본의 식민지로 된 상황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는 미국인들의 모습을 그린 대체역사다.

22) 어슐러 르 귄(Ursula K. Le Guin; 1929 - ):<어둠의 왼손(The Left Hand of Darkness)> (1969)

본질적으로 양성(兩性)인 종족들이 사는 행성에 찾아간 인종학자의 경험을 통해 성과 문화적 국수주의를 다룬 작품이다.

23) 키스 로버츠(Keith Roberts; 1935 - 2000): <파반 춤(Pavane)> (1968)

영국 엘리자베스 1세가 암살되고 스페인의 '무적 함대’가 영국을 정복했다는 가정 아래 쓰여진 대체역사다. 천주교회가 지식을 철저하게 통제하는 사회의 모습을 잘 그렸다.

24)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 1948 - ): <신경조작자(Neuromancer)>(1984)

한 사람의 마음이 컴퓨터들로 이루어진 '조절공간(cyberspace)’에서 겪는 일들을 그려서 과학소설의 새로운 경지를 연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이버펑크(cyberpunk’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25) 래리 니븐(Larry Niven; 1938 - ): <원형 세계(Ringworld)> (1970)

별을 둘러싼, 폭이 1백만 마일이고 둘레가 6억 마일인 원형 구조물을 무대로 삼은 작품이다.

26) 그레고리 벤포드 (Gregory Benford; 1941 - ): <시간적 풍경 (Timescape)> (1980)

시간을 거슬러 전언을 보내서 역사를 바꾸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을 그린 작품이다. 벤포드는 원래 물리학자인데, 과학자들이 실제로 일하는 모습을 잘 그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27) 새뮤얼 들레이니 (Samuel R. Delany; 1942 - ): <바벨- 17(Babel – 17)> (1966)

외계인의 언어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의 인식이 언어에 의해 지배된다는 주장을 드러낸 작품이다.

28) 마이클 비숍(Michael Bishop; 1945 - ): <시간 말고는 적이 없다 (No Enemy But Time)> (1982)

꿈을 통한 시간 여행으로 갱신세(Pleistocene) 아프리카로 찾아간 사람이 거기서 얻은 딸을 데리고 귀환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29) 데이비드 브린 (David Brin; 1950 - ): <차오르는 성조(Startide Rising)> (1983)

지능이 높은 종족들이 지능이 낮은 종족들을 향상(uplift)시키는 관행이 널리 퍼진 먼 미래의 은하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30) 킴 스탠리 로빈슨 (Kim Stanley Robinson; 1952 - ): <화성(Mars)> 3부작 (1992 – 1996)

화성에 이주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화성 탐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화성 식민지 건설도 전망할 수 있는 터라, 시의를 얻었다 할 수 있다. <붉은 화성(Red Mars)>, <풀빛 화성(Green Mars)>, <파란 화성 (Blue Mars)>으로 이루어졌다.

11.한국의 과학소설

우리 사회에서 과학소설 분야는 황무지에 가깝다. 우리 작가들이 쓴 과학소설 작품들은, 문학적 성취도를 떠나, 아주 드물다. 독자들도 아주 적다. 과학소설의 본 고장인 서양은 그렇다 치더라도, 과학소설이 번창한 이웃 일본과 비교하더라도, 우리 과학소설의 부진은 아프도록 뚜렷해진다.

우리 과학소설이 그렇게 부진한 까닭들은 물론 여럿일 터이다. 가장 근본적 요인은 우리 사회의 문화적 풍토가 전반적으로 척박하다는 사실이다. 보다 직접적인 요인은 과학과 문학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졌다는 사정이다. 과학을 경시하거나 과학과 문학 사이의 담이 높은 사회에선 과학소설이 자라나기 어렵다.

또 하나 우리 과학소설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근대 이후의 불행한 역사 때문에 우리가 눈길을 과거로 돌려 과거의 파악과 해석에 대부분의 지적 자원을 투자했고 미래에 대해선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는 사정이다. 미래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회에선 과학소설은 성장에 필요한 자양을 제대로 얻을 수 없다.

이런 사정에 관해서 우리에게 적절한 교훈을 주는 것은 프랑스의 경험이다.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과학소설의 출현과 초기 성장 과정에서 큰 공헌을 한 나라다. 그러나 20세기엔, 특히 20세기 후반엔, 프랑스의 과학소설은 불모지에 가까웠다. 프랑스 평론가들인 루이(Robert Louit)와 샹봉(Jacques Chambon)의 진단은 음미할 만하다.

“2차 대전이 끝난 뒤에 두 가지 요인들이 프랑스의 과학소설의 미래에 크게 작용하게 되었다. 하나는 학교들과 대학들과 모든 사고하는 집단들에서 문학 (les litteraires)과 과학(les scientifiques)이 점점 멀리 떨어진 것이었다.

이런 사정은 소설가를 지망하는 사람들이 과학과 우리의 삶에 대한 과학의 잠재적 영향 들에 대한 관심을 덜 갖도록 만들었고, 10대들의 '먹이’로 뚜렷이 인식된 과학소설장르에서 재능이 있는 사람들을 몰아냈다.

말하자면, 프랑스는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나아가서 미래 전반에 대해서, 꿈꾸기를 멈추었던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런 사항들에 대해 남아 있는 관심들은 다른 원천으로부터, 즉 미국으로부터, 채워졌다는 것이다. 2차 대전이 끝난 뒤, 프랑스 대중들은 한꺼번에 재즈, 미국 영화들, 전율소설(thriller)들 그리고 미국의 '과학소설의 황금기( Golden Age ofscience fiction)’를 발견했다.”

특히 아쉬운 것은 여류 작가들의 활동이 거의 없었다는 사실이다. 1990년대 주류소설에선 여류 작가들의 활동이 무척 활발했지만, 과학소설을 쓴 여류 작가는 찾기 힘들다.

과학소설에 대한 무지에서 나온 통념과는 달리, 과학소설은 사회의 구조와 주류 사조를 비판하는 데 아주 적합하다. 아직도 여성에 대한 차별이 남아있는 우리 사회에서 여류 작가들이 과학소설의 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은 안타깝다.

외국 과학소설 작가들의 작품들이 많이 번역된 것도 아니다. 이 점에서 우리와 프랑스의 경험이 갈린다. 자연히, 우리 사회에서 과학소설에 대한 지식은 비참하도록 적었고 편견은 답답할 만큼 굳었다. 이런 사정은 우리 문학을 빈곤하게 만들었고, 나아가서 우리 사회의 지적 풍토를 척박하게 만들었다.

다행히, 과학소설 영화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과학소설에 대한 이해가 늘어가고 편견도 줄어든다. 좋은 과학소설 작품들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은 마련되고 있는 셈이다. /복거일 소설가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5725 [보도] 정부 교육혁신, 새옷이냐 헌옷이냐 따질때 아니다
자유경제원 / 2014-12-25
2014-12-25
5724 [보도] “대학생이 자유시장경제의 미래” 제17회 시장경제 칼럼 공모전 시상식
자유경제원 / 2014-12-24
2014-12-24
5723 [보도] 우리 국회, 스웨덴 국회에서 이런 것좀 배워라
자유경제원 / 2014-12-24
2014-12-24
5722 [보도]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스웨덴 국회 본 받아라
자유경제원 / 2014-12-24
2014-12-24
5721 [보도] 자유경제원, “대한민국 국회, 스웨덴 국회 본받아야…”
자유경제원 / 2014-12-23
2014-12-23
5720 [보도] 한·일관계, `분노` 아닌 `사실의 역사관`으로 풀어야
자유경제원 / 2014-12-23
2014-12-23
5719 [보도] "통진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원 모두 자격상실해야"
자유경제원 / 2014-12-22
2014-12-22
5718 [보도] 2014년 동짓날 ‘자유의 동지들’이 모인 이유는?
자유경제원 / 2014-12-22
2014-12-22
5717 [보도] 내년 자동차 부품 산업 전망 ‘양호’
자유경제원 / 2014-12-22
2014-12-22
5716 [보도] “대한민국 정체성 재확인한 결정”
자유경제원 / 2014-12-22
2014-12-22
5715 [보도] “법적문제 피해 새 정치활동”… 통진 ‘이름’만 바꿔 부활 ?
자유경제원 / 2014-12-22
2014-12-22
5714 [보도] ‘분노의 역사관’ 반일민족주의를 넘어선 또 다른 방정식
자유경제원 / 2014-12-21
2014-12-21
5713 [보도] 소비자가 원하는 `우버` 서비스를 막지마라
자유경제원 / 2014-12-21
2014-12-21
5712 [보도] 무상복지는 결국 국민 주머니 터는 `약탈의 정치`
자유경제원 / 2014-12-20
2014-12-20
5711 [보도] 복거일 "과학소설은 미래, 가치 모르는 한국 안타깝다"
자유경제원 / 2014-12-20
201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