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아래 기사를 요약 번역한 내용임*
Randall Holcombe, “Piketty’s Capital: III,” The Independent Institute, May 2014
최근에 베이컨에 올린 포스트에서 나는 토마스 피케티의 책 “21세기 자본론”에 나와있는 “자본주의의 제 1법칙”에 대해서 반박했다. 21세기 자본론은 자본의 가치와 자본에 의한 수익의 인과 관계를 반대로 묘사했다. 자본수익을 a, 자본수익률을 r, 자본가치를 B로 나타내면서, 피케티는 자본가치와 수익률의 곱은 자본수익률과 같다고 주장했다.
(a=r*B)
사실 자본가치는 수익률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수학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을 다시 수정하자면 자본가치(B)는 자본수익(a)/자본수익률 (r)이다. (B=a/r) 회계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은 정확하다. 하지만 내가 수정한 공식은 더 정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나의 공식은 a의 역할과 r의 역할에 대해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피케티는 자본으로부터 얻어진 자본의 가치와 소득의 가치를 모두 총소득의 일부분으로 정의했다. 그래서 그는 B를 자본가치/소득, 그리고 a를 총소득의 일부인 자본소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서 양쪽 면을 모두 소득으로 곱해버리고, B를 자본스톡의 가치로, a를 소득으로 나타낼 수 도 있다.
피케티는 리스크가 더 큰 투자는 더 높은 수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그의 실증적인 분석과 관계가 없다. 자본가들의 자본을 위태롭게 만들고 그들의 어떤 수익률도 보장하지 못하는 그 아이디어는 관심을 끌 수 없다. 내가 전에 올린 포스트에서 말했던 것처럼 자본가들이 자본으로부터 얻은 소득은 그들의 투자활동이 얼만큼의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냐에 달려있다.
내가 수정한 공식 B=a/r를 보면, 자본수익인 a가 증가하면 자본의 가치인 b도 오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가치는 소득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소득은 가치에 의존한다. 하지만 피케티는 이것을 반대로 서술했다.
피케티는 자본수익률이 상당히 오랫동안 안정화 추세에 있었다고 하고, 나 또한 이 일반화의 방식은, 형식화된 역사적 사실로써, 논란거리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공식에 의하면 경제환경이 더욱 위태로워질 수록, 즉 자본가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면, 소득이 일정한 상태이더라도 자본가치는 하락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식적으로 공식은 자본을 소유하는 것의 리스크가 크다면 그 자본은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 조성환 자유경제원 인턴
출처: <원본보기>
NO.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71 | 중국의 ‘계획적 자본주의’는 부를 손실시킨다 Sandy Ikeda / 2016-07-28 |
|||
70 | 포케몬 고(Pokémon Go)는 정말 미국을 빈곤하게 만드는가? Andrew Meleta / 2016-07-26 |
|||
69 | 연방정부가 개방적 인터넷 시장을 위협하는 법률을 고수하고 있다 James Gattuso / 2016-07-20 |
|||
68 | 키프로스(Cyprus)의 교훈: 정부의 지출 감소는 재정 위기 탈출을 위한 좋은 방향이다 Daniel J. Mitchell / 2016-07-14 |
|||
67 | 왜 포스트 브렉시트 히스테리를 부리는가? Troy Vincent / 2016-07-12 |
|||
66 | 자본주의는 빈민층을 위한 것이다 Steven Horowitz / 2016-07-07 |
|||
65 |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모든 사람은 이익을 원한다 Jonathan Newman / 2016-07-05 |
|||
64 | 브렉시트: 왜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도 좋은 소식일까 Dan Sanchez / 2016-06-29 |
|||
63 | 대기업: 경제성장의 또 다른 엔진 Alan D. Viard, Amy Roden / 2016-06-28 |
|||
62 | 도널드 트럼프: 미국의 경제 문제는 무역이 아니라 규제다 Dough Bandow / 2016-06-23 |
|||
61 | 학교 급식 프로그램: 부자 아이들도 빠짐 없이 Daren Bakst and Rachel Sheffield / 2016-06-21 |
|||
60 |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오바마의 과한 초과근무수당 법 Jeffrey Tucker / 2016-06-16 |
|||
59 | 베네수엘라의 위기는 사회주의 실패의 가장 최근의 예이다 Gabriel de Arruda Castro and Ana / 2016-06-14 |
|||
58 | 정부는 우버(Uber) 운전기사와 긱 (Gig) 경제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James Pethokoukis / 2016-06-10 |
|||
57 | 정부의 규제는 과연 도덕적인가? Iván Carrino / 2016-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