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이 보고 있는 TV 소리로 북적이던 거실, 매년 텔레비전으로 추석과 설날 특집으로 나오는 예능 프로그램을 보았던 기억이 떠오른다. 하지만 지금은 어렸을 때와 달리 우리 가족들은 각자의 전자기기로 개인의 공간에서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영상을 시청한다. 단지 몇 년 사이에 이렇게 생활 모습이 급격히 변하게 된 것은 단언컨대 코로나19 확산 이후 '언택트’ 시대에 따른 인터넷 시장 발달과 사회적 거리 두기 분위기에 따른 개인주의 성향 강화가 주요하다. 이러한 변화에 사람들은 개인의 태블릿, 노트북, 혹은 스마트폰 등 휴대성이 있는 기기를 활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이에 따라 OTT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였다. 이러한 서비스 성장이 경제 전반에 주는 영향은 무엇일까?
먼저 'OTT’란 over-the-top의 줄임말로, 인터넷으로 영화, 드라마 등의 영상을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서비스 플랫폼으로는 넷플릭스, 왓챠, 티빙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플랫폼들은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구독 경제를 활성화는 소비자의 수요를 예측하고 지속적인 매출을 얻어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해준다. 한편 OTT 서비스의 성장은 TV 방송사와 극장 영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소비자들이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를 소비함에 따라 TV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점점 감소하고, 굳이 영화관에 가지 않아도 다양한 분야의 영화를 집에서 편하게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관에 가는 상황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OTT 산업과 방송사, 극장 영화 시장은 '대체제'의 관계로 변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OTT 시장 매출이 올라감에 따라 방송국과 극장의 매출은 감소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로나19의 확산 전인 2019년에는 한국인 1인당 영화관 관람 횟수는 4.4회였지만 지난해에는 2.19 회로 절반이나 감소하였다. 반면 OTT 플랫폼은 영화진흥위원회가 발간한 '2022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극장은 49조 1,292억 원, OTT는 94조2,799억 원으로 추산되어 극장 영화 시장에 비해 약 두 배가 넘는 경제 성장을 보여주었다. 또한 2020년 방송매체 이용 행태조사에 따르면 연도별 필수매체 인식 추이가 2015년부터 스마트폰이 46.4%로 44.1%의 인식 추이를 보이는 TV를 넘은 것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스마트폰이 67.2%, TV는 29.5%에 도달하며 서로 간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들의 스마트폰 중요도는 올라가며 이러한 추세에 영향을 받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한편 OTT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여러 OTT 플랫폼 회사들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OTT 업계 성장의 초기에는 넷플릭스가 독점적 경쟁시장의 블루오션이었다. 그 당시에는 독재 체제로 경쟁 없는 시장을 이루었기에 별다른 차별화가 없어도 많은 사람이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경제적 이득이 된다는 것을 여러 기업이 인지하자, 하나둘 경쟁기업이 드러나며 포화 상태가 되었다. 더 강력한 콘텐츠로 기획한 기업들이 OTT 시장에 뛰어들며 경쟁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더불어 넷플릭스의 이용자를 특히나 늘려주었던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규제가 완화되며 서비스 이용률이 정체기에 들어서자, 넷플릭스는 구독 요금을 인상하며 수요가 줄어 점점 독점 체제가 사라져간 것이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은 경쟁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비자를 자신의 플랫폼으로 끌어들일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OTT는 방송과 영화산업을 변화시키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경제 시장 속에서 성장하기 위해 IT 기반의 소비 흐름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적 이익을 얻고자 노력해야 한다. 여러 기업이 OTT 시장에 발을 들이는 자유 경쟁 시장이 도래한 만큼 각 기업은 경쟁심을 가져 경제적 이윤 동기를 얻고 새로운 종류의 서비스를 생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플랫폼을 우수하게 성장시킨다면, 기업은 더욱더 좋은 재화의 달성을 이루고 이용자는 더 편리하고 품질 좋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넷플릭스의 독점체제를 벗어나 여러 OTT 업계가 시장을 이루어 경쟁 체제에 돌입한 것은 OTT시장을 벗어나 전체적인 현대 시대의 경제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준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NO. | 수상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45 | 최우수상 | 자영업 부채, 예견된 미래 이승환 / 2025-05-20 |
|||
44 | 최우수상 | 주식과 시장경제, 두 개의 커넥션 오동석 / 2025-05-20 |
|||
43 | 최우수상 | 오늘 주문, 내일 도착 – 시장경제가 만든 시간 혁명 이찬영 / 2025-05-20 |
|||
42 | 최우수상 | 코로나 이후 관광 가이드의 생존법: 시장경제가 가르쳐준 적응의 지혜 박홍구 / 2025-05-20 |
|||
41 | 최우수상 | 플랫폼 시대, 경쟁을 제대로 마주하라 이규호 / 2025-05-20 |
|||
40 | 최우수상 | 전기차 보조금과 시장왜곡: 친환경 정책은 경제 원칙과 조화를 이루는가? 정나래 / 2025-05-20 |
|||
39 | 최우수상 | ott 플랫폼 자본주의와 극장의 생존 이안 / 2025-05-20 |
|||
38 | 최우수상 | 줄 서는 빵집, 가격보다 강한 질서 김태훈 / 2025-05-20 |
|||
37 | 최우수상 | K-POP 아이돌 마케팅 전략과 시장 경제 전준상 / 2025-05-20 |
|||
36 | 우수상 | 브런치 카페에서 배운 기다림의 경제학 오인경 / 2025-05-20 |
|||
35 | 우수상 | 선물의 경제학: 효용과 감정 사이에서 우여진 / 2025-05-20 |
|||
34 | 우수상 | 전시로 보는 시장경제 : 실패전 김기태 / 2025-05-20 |
|||
33 | 우수상 | 지구 온난화, 언제까지 규제로만 막을래? 최세은 / 2025-05-19 |
|||
32 | 우수상 | 자취생의 소비법: 예산은 그대로, 만족은 두 배 배아현 / 2025-05-19 |
|||
31 | 우수상 | 서울 버스 파업이 던진 질문, 공공성과 시장경제는 공존할 수 있을까? 연예은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