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시장에서 홈마가 돈을 버는 방법

이예린 / 2023-05-19 / 조회: 591

아이돌 시장이 아이돌과 회사는 팬들로 하여금 돈을 벌고 팬들이 돈을 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흔히들 이야기할 것이다. 앨범과 콘서트, 팬미팅, 팬덤, 굿즈들을 내는 회사와 이를 소비하는 소비자인 팬 두 갈래로 나눠져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아이돌 시장에서의 경제 구조는 우리의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다. 


팬덤 문화에서의 통용되는 언어인 '홈마’가 무엇인 지 알고 있는가? 홈마는 '홈마스터’의 줄임말로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등을 위해 만든 홈페이지의 운영자, 연예인의 고퀄리티의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람을 이야기한다. 홈마들은 아이돌들의 모든 스케줄을 따라다니며 공식 플랫폼에서 올려주는 것과는 다른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에 포커스를 맞추어 영상을 찍고 고화질 사진을 찍어 계정에 올린다. 자, 그럼 홈마들은 어떻게 모든 스케줄을 따라다니면서 사진을 찍어올리는 걸까? 단순한 단체 콘서트부터 그들의 개인 콘서트, 팬미팅, 해외투어 심지어 팬사인회까지 비단 적은 돈으로 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다. 본업이 있다면 아이돌의 불규칙적인 스케줄을 따라다니는 게 가능한 일일까? 아무런 수익도 없이 손해를 입으면서 하는 일일까?


답은 X이다. 물론 홈바홈(홈마 바이 홈마)이겠지만 홈마들이 모든 손해를 껴안으며 스케줄을 따라다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홈마들은 적자를 보지 않을 정도의 열정페이로 일하지만 그들에게는 그들만의 수익 창출 경로가 존재한다. 홈마들이 돈을 버는 방법은 꽤나 다양하다. 


첫번째는 굿즈 (특정 브랜드나 연예인 등이 출시하는 기획 상품. 드라마, 애니메이션, 팬클럽 따위와 관련된 상품) 제작이다. 홈마는 공식에서는 공개되지 않는 아이돌의 사진을 고화질로 갖고 있다. 홈 계정에 사진들을 보정해서 올리는 게 이 때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한다. 굿즈라 함은 슬로건, 우치와, 그립톡, 시즌그리팅 등 다양하다. 슬로건은 콘서트와 팬미팅을 가기 위해 팬들이 가장 많이 사는 기본적인 굿즈로 콘서트 주기마다 컴백 주기마다 불규칙적이지만 상시적으로 판매한다. 시즌그리팅은 달력을 아이돌의 사진으로 채운 것으로 연말 연시에 판매하는 것으로 판매 주기가 긴만큼 굿즈가 많고 1년을 기념하기 위해 사는 사람이 많다.


두번째 방법은 데이터 판매이다. 홈마는 일반적으로 아이돌 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홈을 운영하는 게 아닌 특정 멤버 한정 홈을 운영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개인 스케줄보단 단체 스케줄이 많으므로 모든 멤버를 보게 될 것이다. 이 때, 팬 사인회로 예를 들어보자. 팬 사인회에서 내가 좋아하는 멤버인 A가 팬한테 사인을 해주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 때 나는 B,C,D,E 의 사진을 찍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이 사진이 필요없는 나는 B,C,D,E 의 팬들에게 이 사진을 파는 것이다. 이러한 사진은 앞서 언급했던 굿즈 제작에 필요한데 꼭 홈마들만 굿즈 제작을 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를 구매해서 굿즈 제작을 하는 사람도 존재한다. 또한 데이터는 소모품이 아니어서 되팔이할 수 있기에 '대리찍사’로 버는 수입은 꽤나 크다.


세번째 방법은 전시회이다. 그 많은 사진을 찍어서 어디에 쓰는 것인 지가 여기서 나온다. 전시회는 말 그대로 아이돌의 사진을 액자로 제작해 전시하는 것을 말한다. 내부도 아이돌의 관련된 것들로 꾸며놓는 것이다. 이 전시회를 입장료를 받고 운영하며 제작한 액자들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누가 아이돌 전시회를 가냐 할 수도 있지만 입장료를 미리 내면 받는 선입금 특전이 쏠쏠하고 아이돌의 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가는 경우도 많기에 이를 통해 얻는 수익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로 수익을 얻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탑시드 홈마, 즉 그 아이돌을 찍는 홈마 중에 최고를 찍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F 홈마와 G 홈마가 시즌 그리팅을 낸다고 하면 당연히 그들 중 더 디자인이 예쁜, 사진이 더 잘 나온 홈마의 시즌 그리팅을 사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경로가 있지만 홈마들이 생각보다 많은 돈을 벌지 못하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가 가장 크다. 뉴 홈(새로운 홈 계정)이 많이 생겨도 이미 탑시드 홈마가 있다면 그 이상으로 성장하기는 어렵고 좋은 자리에서 찍고 양도를 받아야하기에 적자를 메꾸는 정도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기에는 쉽지 않다. 


대표적인 예시로 홈마를 이야기했지만 홈마뿐만 아닌, 굿즈나 그림 등의 2차 창작물을 제작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로 인해 여러갈래로 수익이 만들어진다. 아이돌과 팬 문화에서 형성되는 경제 문화는 우리의 생각만큼 단순하지 않다. 회사에서 발매되는 공식 앨범, 시즌 그리팅, 굿즈뿐만 아니라 팬들이 만드는 비공식 굿즈, 시즌 그리팅은 또 다른 경제를 형성한다. 이처럼 하나의 경제 구조 안에서도 또 다른 경제 순환 구조가 나타난다.

       

▲ TOP

NO. 수상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41 최우수상 시장경제와 패션
김영민 / 2023-11-29
김영민 2023-11-29
40 최우수상 공평을 무기로 행사하는 불공평
김영휘 / 2023-11-29
김영휘 2023-11-29
39 최우수상 돈 안 받아도 돼요, 일하고 싶어요!
김한소리 / 2023-11-29
김한소리 2023-11-29
38 최우수상 지방, 이대로 괜찮은가?
최진송 / 2023-11-29
최진송 2023-11-29
37 최우수상 막걸리 시장에 시장경제가 유지됐으면 어땠을까?
이종명 / 2023-11-29
이종명 2023-11-29
36 최우수상 See far : 재산의 자유, 미래 발전을 위한 상속세 폐지
김지수 / 2023-11-29
김지수 2023-11-29
35 최우수상 기본으로 돌아가자 : 기업의 이윤 극대화 추구와 노란봉투법
이서진 / 2023-11-29
이서진 2023-11-29
34 우수상 인간의 심리과 경제의 교차 : 반려동물 장례식
정민식 / 2023-11-29
정민식 2023-11-29
33 우수상 공매도 금지,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조민석 / 2023-11-29
조민석 2023-11-29
32 우수상 천연다이아몬드 사라질까?
김현수 / 2023-11-29
김현수 2023-11-29
31 우수상 우리 가족의 시장경제
김은철 / 2023-11-29
김은철 2023-11-29
30 우수상 대학교육 탈상품화에 대한 논의
정형준 / 2023-11-29
정형준 2023-11-29
29 우수상 노동의 시장가격과 최저임금제
조남현 / 2023-11-29
조남현 2023-11-29
28 우수상 코미디계의 흥망성쇠로 보는 시장경제
이득영 / 2023-11-29
이득영 2023-11-29
27 우수상 유튜브의 소비자 선택 알고리즘
정은서 / 2023-11-29
정은서 2023-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