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진정 사회적기업인가: 혁신과 자유의 사회성

박윤지 / 2024-11-20 / 조회: 128

최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열풍과 함께 사회적기업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ESG, CSR, CSV, 소셜벤처 등 각종 용어가 범람하면서 개념적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사회적기업 육성법」에서는 사회적기업을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고,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정의한다. 결국 크게 보면 취약계층을 '목표고객'으로 보는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을 '고용대상'으로 보는 사회적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사회적'이란 개념을 특정 계층에 국한시켜 '사회'의 의미를 축소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취약계층이 사회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중산층과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이 반사회적이라고 할 수 없듯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다고 해서 그 기업의 사회성이 더 크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례로 1953년 삼성의 제일제당은 비싼 수입 설탕을 대체하여 1/3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저소득층을 넘어 모든 사회 계층에게 큰 혜택을 주었다. 반면 어떤 사회적기업은 국민 세금으로 이루어진 정부 보조금을 받으면서도 뚜렷한 성과 없이 적자를 기록하고는 한다. 어느 쪽의 사회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을까. 실제로 삼성 창업자 이병철 회장은 기업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리와 사회정의를 조화시키는 것임을 강조하며 일찍이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의 동시 추구를 실천했다. 이처럼 특정 계층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국민에게 이익을 주는 기업이야말로 진정 사회성이 큰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은 각자가 포지셔닝한 위치에서 최대한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러한 가치들이 모여서 사회적 후생을 형성한다. 따라서 불법이 아니라면 이익을 내는 모든 기업은 사회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선으로 현재의 사회적기업을 살펴보면 이들의 영업이익에는 문제가 많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를 참조하면, 2021년 사회적기업의 영업손실은 약 351억 원이었고, 그 다음 해에는 무려 480억 원에 달했다. 게다가 2022년도 전체 3,403개의 사회적기업 중 절반 이상인 51.3%가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회계처리 기준 변화에 따라 2017년부터 정부 지원금이 비용과 상계 처리되어 오히려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효과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이다. 물론 적자를 감수하고도 꼭 필요한 사업도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기업의 적자는 사회에 부담을 준다. 기업의 순기능은 결국 이익이 있다는 전제하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모든 사회적기업이 적자를 내는 것은 아니다. 와비파커, 그라민 은행, 딜라이트 보청기 등은 성공한 사회적기업으로 꼽힌다. 그리고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기존에 없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혁신을 달성했다는 점이다. 특히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을 고용해서 수익까지 창출하려면 엄청난 혁신이 필요하다.


결국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기업은 혁신에 성공한 기업이란 것을 알 수 있다. 혁신이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과 생산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과 시장의 자유가 요구된다. 기업가 정신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창업가의 능력을 알아보고 인정해주는 벤처 생태계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시장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규제를 완화하고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 규제를 완화하면 기업이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빠르고 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어 다양한 혁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회적기업이 앞으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혁신'과 '자유' 속에서 사회성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 TOP

NO. 수상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51 대상 자유시장: 공정한 절차가 합리적인 사회를 보장한다
남궁석 / 2024-11-20
남궁석 2024-11-20
대상 무엇이 진정 사회적기업인가: 혁신과 자유의 사회성
박윤지 / 2024-11-20
박윤지 2024-11-20
49 대상 세금의 철학: 증권거래세와 금융투자소득세, 무엇이 정의로운 세제인가?
정신건 / 2024-11-20
정신건 2024-11-20
48 대상 지식의 위기와 자유주의 경제철학의 가치
김은준 / 2024-11-20
김은준 2024-11-20
47 대상 대학교 시험기간을 통해 배우는 시장 경제의 필요성
서진영 / 2024-11-20
서진영 2024-11-20
46 최우수상 자유 시장과 혁신: 기업가 정신이 만든 사회적 변화
최하람 / 2024-11-20
최하람 2024-11-20
45 최우수상 시장에 대한 정부개입: 만병의 해약(解藥)이 아닌 만병의 해악(害惡)!
우재린 / 2024-11-20
우재린 2024-11-20
44 최우수상 법인세는 정말 부자들의 전유물인가
이상훈 / 2024-11-20
이상훈 2024-11-20
43 최우수상 마음을 담아낸 희소성
이선주 / 2024-11-20
이선주 2024-11-20
42 최우수상 전기차 캐즘 극복, 기후변화의 돌파구는 시장이다!
박상훈 / 2024-11-20
박상훈 2024-11-20
41 최우수상 기업의 합병, 소비자 효용을 감소시키는 선택이 아니다
박강수 / 2024-11-20
박강수 2024-11-20
40 최우수상 법정최고금리 규제의 역설
허정 / 2024-11-20
허정 2024-11-20
39 최우수상 스포티파이 프리를 통한 스포티파이의 경쟁력 정상화
임태욱 / 2024-11-20
임태욱 2024-11-20
38 최우수상 밀레이에게 동감을 표한다
이한나 / 2024-11-20
이한나 2024-11-20
37 최우수상 정부의 사교육 고사 정책, 교육을 고사 시키다
김수철 / 2024-11-20
김수철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