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규제는 환경 보호를 위한 최고의 방법이 아니다

민지홍 / 2024-11-20 / 조회: 25

지난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RE100을 모른다는 답변을 했다가 언론의 질타를 받은 일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서 한국에서는 잠시 동안 RE100과 탄소배출 감축, 재생 에너지 등의 문제에 관해 전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었다. 국제사회는 이제 수 년 내에 목표치 이내로 탄소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지구는 기후변화로 인해 멸망의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종말론적 환경주의 담론에 의해 탄소 배출량 감축과 환경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세계 각국 정부는 환경주의자 단체들과 국제기구들의 이러한 압박으로 인해 환경 관련 예산을 늘리고 석유 및 석탄 관련 산업을 규제하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시장 규제는 곧 경제 성장 둔화와 비효율로 이어진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정부는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면서까지 환경 정책을 집행하지만, 이러한 정부기관의 시장에 대한 환경 규제는 결국 정부가 예산을 투자해서 경제를 침체 시키고 비효율을 야기하게 한다. 정해진 예산을 효율적으로 투자하여 경제 부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할 정부가 돈을 들여 국가 경제를 무너뜨리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 시장 경제 체제에서, 밀턴 프리드만의 표현을 빌리자면, 규칙 제정자이자 심판과 같은 최소한의 역할만 해야 하는 정부가 환경 보호라는 명목으로 시장에 개입하여 납세자들의 세금을 국가 경제를 망가뜨리는 일에 사용하고 있는 점은 정말 시장에 대한 환경 규제가 환경 보호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인지 의문점을 가지게 한다.


당연하게도 환경 규제는 환경 보호를 이루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최악의 방법에 가깝다고 해야 할 것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정부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 문제를 심화 시킬 뿐이다.”라는 어록을 남겼다. 정부의 환경 규제는 답이 아니다. 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집행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시장이 자율적으로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이 정부의 역할일 것이다. 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라는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사고팔 수 있게 한다는 지극히 자본주의적 발상에서 시작된 정책이다. 각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도록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정부가 각 기업들에게 돈을 주고 팔고, 탄소 배출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업들은 탄소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값이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는 값보다 싼 기업으로부터 사들여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친환경적 경영을 지향하게 함과 동시에 규제로 인한 경제 둔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친시장적 환경 보호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통해서 친시장적 환경 보호를 시행함으로써 시장 규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효율성은 줄이고 환경 보호라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환경 보호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시장 규제가 아니다. 더 이상 우리 사회는 기업 규제를 통한 환경 보호가 아니라 자유 시장 경제 원리에 입각한 해결책을 간구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개입은 대체로 실패를 부른다. 시장에 맞겨 두어지난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RE100을 모른다는 답변을 했다가 언론의 질타를 받은 일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서 한국에서는 잠시 동안 RE100과 탄소배출 감축, 재생 에너지 등의 문제에 관해 전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었다. 국제사회는 이제 수 년 내에 목표치 이내로 탄소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지구는 기후변화로 인해 멸망의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종말론적 환경주의 담론에 의해 탄소 배출량 감축과 환경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세계 각국 정부는 환경주의자 단체들과 국제기구들의 이러한 압박으로 인해 환경 관련 예산을 늘리고 석유 및 석탄 관련 산업을 규제하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시장 규제는 곧 경제 성장 둔화와 비효율로 이어진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정부는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면서까지 환경 정책을 집행하지만, 이러한 정부기관의 시장에 대한 환경 규제는 결국 정부가 예산을 투자해서 경제를 침체 시키고 비효율을 야기하게 한다. 정해진 예산을 효율적으로 투자하여 경제 부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야 할 정부가 돈을 들여 국가 경제를 무너뜨리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 시장 경제 체제에서, 밀턴 프리드만의 표현을 빌리자면, 규칙 제정자이자 심판과 같은 최소한의 역할만 해야 하는 정부가 환경 보호라는 명목으로 시장에 개입하여 납세자들의 세금을 국가 경제를 망가뜨리는 일에 사용하고 있는 점은 정말 시장에 대한 환경 규제가 환경 보호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인지 의문점을 가지게 한다.


당연하게도 환경 규제는 환경 보호를 이루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최악의 방법에 가깝다고 해야 할 것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정부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 문제를 심화 시킬 뿐이다.”라는 어록을 남겼다. 정부의 환경 규제는 답이 아니다. 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집행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시장이 자율적으로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이 정부의 역할일 것이다. 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라는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사고팔 수 있게 한다는 지극히 자본주의적 발상에서 시작된 정책이다. 각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도록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탄소를 배출할 권리를 정부가 각 기업들에게 돈을 주고 팔고, 탄소 배출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업들은 탄소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값이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는 값보다 싼 기업으로부터 사들여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친환경적 경영을 지향하게 함과 동시에 규제로 인한 경제 둔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친시장적 환경 보호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통해서 친시장적 환경 보호를 시행함으로써 시장 규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효율성은 줄이고 환경 보호라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환경 보호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시장 규제가 아니다. 더 이상 우리 사회는 기업 규제를 통한 환경 보호가 아니라 자유 시장 경제 원리에 입각한 해결책을 간구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개입은 대체로 실패를 부른다. 우리가 문제점을 시장에 맡겨둘 때 우리는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TOP

NO. 수상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6 우수상 3,500원 떡볶이, 3,500원 배달비?
정소희 / 2024-11-20
정소희 2024-11-20
우수상 시장 규제는 환경 보호를 위한 최고의 방법이 아니다
민지홍 / 2024-11-20
민지홍 2024-11-20
4 우수상 집단주의의 함정에 빠진 한국 사회
문필섭 / 2024-11-20
문필섭 2024-11-20
3 우수상 음악시장의 새로운 공급자, AI
김태곤 / 2024-11-20
김태곤 2024-11-20
2 우수상 시장경제에 따른 무용 패러다임의 변화
김선주 / 2024-11-20
김선주 2024-11-20
1 우수상 탄소 배출권 거래제 도입의 파급력
최상규 / 2024-11-20
최상규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