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나 다른 영상매체에서 결혼 프로포즈로 다이아 반지를 연인에게 선물하는 장면을 한 번 쯤은 보았을 것이다. 그 때마다, 저 다이아 반지는 몇 캐럿이며 얼마일까?를 생각해보게 된다. 다이아는 세계적으로 희소성을 띄고 있으며, 높은 희소성에 따른 높은 공급가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살 수 있는 재화가 아님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학적, 물리적, 화학적 조성이 100% 일치한
실험실 다이아몬드(Lab Grown)다이아몬드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인조 다이아몬드와 비교하면,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완전히 일치하며, 인위적으로 만든 다이아몬드와 광산 등에서 직접 채굴한 다이아몬드라는 차이만 존재한다. 그렇다면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의 대체제로써 시장을 대체할 수 있을까?
현재,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의 반값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 천연 다이아몬드와 차이가 없으며 가격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수요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50% 이상의 다이아를 소비하는 미국의 경우, 실험실 다이아몬드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 매출로 비교하였을
때, 천연 다이아몬드 시장이 약 3배정도 더 큰 것으로 발표되었다. 두 시장을 다이아몬드의 판매 개수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두 시장이
거의 동일하였으며 앞으로는 실험실 다이아몬드 시장이 꾸준히 성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이를 보았을
때, 혹자는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천연 다이아몬드를 대체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지만, 시장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드 비어스‘는 전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다이아몬드는 영원하다’라는 슬로건을 낸 기업으로도 유명하다. 이 기업은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천연 다이아몬드의 대체재가 되길 원하지 않는다.
장기적으로볼 때, 실험실 다이아몬드의 공급가격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계속해서 내려갈 것이기
때문이다.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대체제가 된다면 기업의 이익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이유로 드 비어스는 천연 다이아몬드 시장과 실험실 다이아몬드 시장을 분리하려고 있다. 실험실 다이아몬드의 공급가격을 심하게 낮춰 아예 다른 제품인 것처럼 마케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는 실험실 다이아몬드의 매출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연 다이아몬드의 매출은 하락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장을 분리하는 것이 기업의 매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것인가?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동일한 재화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려한다. 이 때, 합리적인
구매은 시장가에 형성되어 있는 가격 혹은 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는 행동일 것이다.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재화로 판단되면, 실험실 다이아몬드를 구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매출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업은 두 종류의 다이아몬드를 다른 다이아몬드로 마케팅하고 있다. 다이아몬드는
예물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기업이 실험실 다이아몬드를 터무니없는 가격, 즉 예물로써 부적합한 가격으로 형성한다면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다이아몬드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잃는 것이다. 아무리 실험실 다이아몬드가 광학적, 물리적, 화학적 조성이 완전히 일치하더라도, 사회적으로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재화로 통일되지 않는다면, 그
가치를 잃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향후 몇 년동안, 실험실
다이아몬드와 천연 다이아몬드의 재화로써의 가치에 대한 마케팅이 많아질 것이다. 소비자 또한 개개인의
재화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대체제로써 판단할 것인지, 다른 재화로 판단할 것인지는 다르다. 개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합리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시장 혹은 천연 다이아몬드를 대체할 시장을 만들어낸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임에는 틀림없다. 실험실 다이아몬드로부터 기업이익을 지켜내기 위한 기업전략에 대한 독자들의 재화에 대체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NO. | 수상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36 | 최우수상 | 플라스틱과 시장 경제 원리: 지속 가능성을 향한 갈림길 차서우 / 2024-11-20 |
|||
35 | 최우수상 | 공교육에 자율성을 부여하자 김석원 / 2024-11-20 |
|||
34 | 최우수상 | 낡은 물건, 새로운 가치: 중고 시장에서 발견하는 시장경제의 숨은 법칙 김나린 / 2024-11-20 |
|||
33 | 최우수상 | 경제의 신호등 가격이 만들어 내는 기적 김수만 / 2024-11-20 |
|||
32 | 최우수상 | 시장경제가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김나현 / 2024-11-20 |
|||
31 | 우수상 | 소소한 선택에서 느끼는 편의점의 시장경제 김용환 / 2024-11-20 |
|||
30 | 우수상 | 당신은 지금 행복한가 고상준 / 2024-11-20 |
|||
29 | 우수상 | 필요할 때만 소유해라! 공유 경제와 시장 경제의 만남 정이지 / 2024-11-20 |
|||
28 | 우수상 |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홍민기 / 2024-11-20 |
|||
27 | 우수상 | 시장 경쟁의 힘: 카페거리에서 깨달은 자유경제의 진리 김한슬 / 2024-11-20 |
|||
26 | 우수상 | 시장이 해결해 줄 것이다, 정부는 최소한의 중재만 해라. 권택원 / 2024-11-20 |
|||
25 | 우수상 | 얼어붙은 등록금, 성장이 없는 대학: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선택 이국주 / 2024-11-20 |
|||
24 | 우수상 | 공유경제의 새 바람: 제도화가 가져오는 등잔 밑의 빛 강민서 / 2024-11-20 |
|||
23 | 우수상 | 초과 이윤의 역설: 대형 플랫폼의 저수익 구조 오채은 / 2024-11-20 |
|||
22 | 우수상 | 우리는 왜 비합리적 소비를 하는가: 감정을 따라가는 지갑의 심리학 김효성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