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이어 `밀정` 김원봉까지…기울어진 위험한 영화판

자유경제원 / 2016-10-01 / 조회: 8,844       미디어펜
영화 ‘밀정’, 약산에 대한 약물타기는 끝내야 한다


그는 1898년 밀양에서 출생했다. 그는 3.1운동 이후 암살, 주요 시설 파괴 등의 무장 투쟁을 벌인 의열단을 조직했다. 의열단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섞인 단체였다. 그는 1938년 중국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조선혁명당 외에 3단체의 군사조직인 조선의용대를 조직했다. 이는 광복군보다 약 2년 앞서 조직되었다.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최초의 조선인군부대라는 의의가 있지만 실상은 중국군의 보조군 수준이었다. 조선의용대 내부 공산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으며, 중국공산당 팔로군에 무정을 사령관으로 하는 조선의용군 조직으로 넘어간다. 1)조선의용대의 수가 급감하자 그는 1942년 남은 조선의용대원들을 이끌고 임시정부 광복군에 합류한다. 


그는 일부에서 생각하는 뛰어난 지도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는 증거였다. 자신의 세력이 약해졌기에 조선의용대라는 하나의 세력을 가졌던 그가 과거부터 마찰이 있었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한 것이다. 이후 임시정부의 국무위원으로 지낸 그는 해방 후 같은 해 12월에 귀국했다. 


그는 귀국하기 3개월 전 1945년 9월에 한반도내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조직된 조선인민민공화국에서 군사부장으로 선임되었다. 2) 이듬해 2월 조선공산당이 좌익단결을 위해 '민주주의민족전선'을 결성하였는데, 그는 2월 14일 민족주의민주전선 중앙위원에 선출되고 5인의 공동의장에 추대되어 활동하였다. 


1948년 8월 좌우합작의 실패, 박헌영의 권유, 남한 내 김두한 세력을 비롯한 우익의 강세에 월북한다. 3) 다음 달인 9월에 그는 북한의 서열 7위인 국가겸열상에 오른다. 국가검열상은 국가검열성의 총책임자를 뜻한다. 국가검열성은 북한의 서열 1위 김일성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색출하고, 북한의 국방전략을 짜는 곳이었다. 그는 그곳의 대표로 남침을 준비했던 자다. 


전쟁이 일어날 때 즈음 중국에서 국공내전이라는 실전경험을 가진 3만 명의 조선의용군 합류에 그는 과연 아무 관련이 없을까? 전쟁이 끝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1954년 1월 대한민국의 경제혼란 및 선거방해 공작을 위한 간첩을 남파해 직접 지휘했다. 4) 1958년 그는 북한에 탄생 60주년을 기념한다는 노동훈장을 수여받았다. 5) 그는 바로 약산 김원봉이다. 영화 밀정에서는 배우 이병헌씨가 정채산 역으로 분했다.


   
▲ 영화 밀정은 친일파에 대한 증오와 그들에 대한 청산을 내비춘다. 결말이 특히 그렇다. 문제는 영화 밀정의 친일파에 대한 방향성과 이를 보고 박수를 치는 일부 대중들이다./사진=영화 밀정 스틸컷


김원봉은 1919년 민족주의 성향을 가진 의열단을 만들었다. 1923년 단재가 만든 조선혁명선언 다른 말로 의열단선언을 강령으로 삼아 외교론, 준비론, 문화주의 등의 독립운동을 비판했다. 외교론으로 독립운동을 하여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에 대한 영화는 만들지 않으면서 그에게 비난을 가하고 오직 민중혁명밖에 없다며 다른 방식의 독립운동을 존중하지 않은 자에 대해 왜 후손들은 영화로 그를 재조명하는  것인가?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면서 끝없이 통일전선을 만드는데 노력했다고 한다. 노력한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그 결과를 보자는 것이다. 사회주의를 정강으로 하는 의열단장인 그가 반공을 표방하는 중국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조선의용대를 만들었다. 


그 조선의용대의 다수가 얼마 뒤 중국팔로군의 회유에 자진 합류했다. 유일하게 갈 곳은 충칭의 임시정부였다. 이후 광복군 부사령관을 했음에도 귀국 때 김구와 달리 늦게 귀국했는가? 당시 충칭임시정부와 관련한 간략한 얘기가 있다. 


중국 관내에서의 좌우 충돌에는 세대간의 사상적 갭도 작용하고 있었다. 한국독립당의 지도층은 19세기 후반 또는 19세기 말경에 유년, 청년시기를 보내고 전통적인 지적 성장을 하여, 일면으로는 위정척사파적인 기질도 갖고 있는 원로들로서, 양반계급 출신이 많았으며, 근대교육을 적게 받은 편이었다. 


그런데 젊은 사회주의자들은 지나치게 급진적인 경우가 적지 않았고, 독립운동의 선배에 대해 어른 대접을 잘 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임시정부 측의 원로들은 김원봉 등이 나이가 젋고, 충동적이며 환상에 차 있고 언행이 너무 편격하다고 생각하여, 그들을 중요시하지 않았고, 젊은이들은 노인들한테 싫증을 내면서, 그들을 봉건영수, 민족 파시스트, 신비적 국수주의자로 간주하였고, 국수주의를 배격하자고 외쳤다.6) 


쉽게 말해 받아줄 곳을 겨우 찾아 세들어 사는 신세에 이런 진술을 보며 과연 김원봉이라는 자가 인품이 훌륭하다고 볼 수 있는가? 영화 <밀정>에서는 의열단 시기의 활동만 나타나서 그의 리더십을 보여주곤 한다. 물론 영화에 나온 시기 이후 10여년 뒤 조직을 이탈한 부하들에 의해 뚜렷한 이념이 없으며, 현실에 대한 고려가 없는 극단적인 통일독립운동가로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는 신세가 드러났지만 말이다.


   
▲ 영화 <밀정>에서는 김원봉 역할을 특별출연으로 해놓고 실상은 주조연급의 신스틸러로 만들었다. 김원봉은 북한의 영웅이었던 대표적 공산주의자였다.


최근 영화를 통해 학계나 일부 단체 그리고 약산의 고향인 밀양에서 김원봉을 독립유공 훈장 서훈 추진 등에 앞장서고 있다. 심지어는 과거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는 이유로 건국훈장 서훈 추진에 대한 얘기도 들었다. 단지 항일독립운동에 비중이 매우 크다는 이유 때문이다. 


우선 대한민국이 김원봉에 대해 훈장을 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장투쟁론자들에 대해 일절 훈장을 수여하지 않는 그런 야박한 곳이 아니다. 심지어 김원봉의 부인인 박차정도 1995년 뒤늦게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박차정은 해방되기 1년 전인 1944년에 사망한다. 그녀는 남편과 달리 주적인 북한에 협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약산에 유공자가 서훈되지 않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김원봉이 임시정부 개인자격으로 귀국한 이후 결국 자신의 국적을 어디로 선택했는가? 조선인민공화국으로 월북하여 권력을 누리다가 대한민국을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171 법인세에 대한 5가지 오해
자유경제원 / 2016-10-07
2016-10-07
8170 전태일·이소선·이한열…훈장에 목매겠다는 뉴스타파
자유경제원 / 2016-10-07
2016-10-07
8169 [주목! 이 책] 자유주의 틀 깨기
자유경제원 / 2016-10-07
2016-10-07
8168 지긋지긋한 사망유희? 백남기씨 사건을 바라보며
자유경제원 / 2016-10-05
2016-10-05
8167 더민주 김종인 경제민주화, 파시즘 가면쓴 반시장주의
자유경제원 / 2016-10-01
2016-10-01
8166 성과연봉제 해고 음모?…금융노조 파업이 틀린 이유
자유경제원 / 2016-10-01
2016-10-01
8165 `덕혜옹주` 이어 `밀정` 김원봉까지…기울어진 위험한 영화판
자유경제원 / 2016-10-01
2016-10-01
8164 안보 무능?…북핵 현실 외면 한겨레 사설은 고장난 축음기
자유경제원 / 2016-09-30
2016-09-30
8163 사상전쟁에선 ‘생각의 틀’을 깨야
자유경제원 / 2016-09-29
2016-09-29
8162 왜 시장경제인가…오정근 박사의 경제번영 토크쇼
자유경제원 / 2016-09-29
2016-09-29
8161 경제번영 역행…알파고도 비웃을 한겨레신문의 세상읽기
자유경제원 / 2016-09-29
2016-09-29
8160 양욱, "학도의용군, 대한민국 지켜낸 커다란 원동력"
자유경제원 / 2016-09-27
2016-09-27
8159 자유주의…거짓 선동에 휩쓸리지 않고 세상 직시하는 힘
자유경제원 / 2016-09-23
2016-09-23
8158 모병제의 7가지 문제점과 징병제가 필요한 이유
자유경제원 / 2016-09-23
2016-09-23
8157 한국의 안보상황, ‘모병제’ 부적절
자유경제원 / 2016-09-23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