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파괴적인 트럼프의 무역 관세

Colin Grabow / 2018-04-13 / 조회: 12,190

cfe_해외칼럼_18-64.pdf

 

 

*본 내용은 아래 (기사)를 요약 번역한 내용임*
Colin Grabow,
Trump Trade Tariffs Are a Wanton Act of Economic Self-Destruction,
March 1, 2018

 

 

백악관 측근들에게 관세 적용에 대한 벼락같은 의지를 표명한지 6개월 만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망을 거의 이룰 것 같다. 이것이 일시적인 생각이 아니라는 트럼프 대통령은 보호주의 조치가 "장시간 동안"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뉴스를 전해 듣자마자 경제학자 및 무역 전문가들은 자신들의 트위터에 놀라움을 표했으며, 선진국 대표들이 자신들의 경제를 스스로 파괴하는 어리석고 뻔뻔한 행위는 보기 드문 일이라고 밝혔다.


어느 각도에서 평가해봐도 트럼프의 행보는 신뢰성이 없다. 값싼 수입품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한 대응이라고 밝혔으나, 이 같은 주장의 종이 한 장 보다도 얇은 정당성은 조금만 살펴봐도 금세 노출된다.


철강 분야를 살펴보면 국내 생산은 20년 또는 30년 전과 비교하여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미군 수요 충족의 경우는 3%에 불가하다. 최상위 10개 철강 공급 기업 중에서 중국은 여전히 두드러진 강세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이들 중 6개 국가가 미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한 국가이다.


알루미늄의 경우 미국 상무부는 "국방 관련 제품"은 미국 국내 생산의 10%만 요구한다고 허용하였다. 한편 2016년 알루미늄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NATO 동맹국인 캐나다이며 다음 11개 국가들의 모든 알루미늄 수입 규모를 합친 것보다 캐내다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제임스 매티스(James Norman Mattis)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 같은 관세를 반대하는 행정부 인물 중 하나라고 밝히며 주요 동맹국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 부과의 영향에 대해서 우려를 표명하는 내용을 밝힌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경제적인 측면은 더욱더 터무니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가 해당 분야의 고용 비율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하지만 그는 이 같은 관세 부과가 광범위한 노동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철강 산업의 직업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수수방관해서는 안된다. 조지 부시 대통령은 2002년에 8~30%까지 수입 철강에 관세를 부과하였고, 한 연구에 따르면 이 같은 조치의 결과로 총 2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였다고 한다.


나쁜 소식은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미국 경제가 스스로 붕괴시키는 것을 떠나 트럼프의 관세 조치가 국제 무역 질서에 막대한 위협을 주고 있다. 국가 안정 보장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실제 위협이 존재하는 경우 이 같은 관세 조치를 허용한다는 WTO의 규칙에 의거한 낡아빠진 조항으로 이득을 얻을 것이다.


트럼프가 이처럼 무모한 근거를 바탕으로 관세 적용을 진행한다면 WTO 회원국은 터무니없는 정당성에 기반한 관세 조치에 소송을 진행할 것이며 이는 곧 판도라의 관세 상자를 여는 행위가 될 것이며 이미 관세 보복 조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제는 의회가 책임을 맡을 시간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위협에 대한 방아쇠를 당겨야만 한다면 의회 대표들이 관세 정책에 대한 자신들의 권한을 분명히 행사할 것이다. 미치 맥코넬(Mitch Mcconnel)상원 원내대표 및 폴 라이언(Paul Ryan)연방하원의회 의장은 트럼프 조치를 무효화 하는 법안을 서둘러 상정해야 한다.


트럼프가 두 번째 견해를 내비치고 관세 위협에서 한 발짝 물러났지만 정책 기조가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감정 변호로 인해서 급격히 변할 수 있는 명백한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회의 적합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작년 마이크 리(Mike Lee) 상원의원이 발의한 법안으로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다. 이 법안은 세계무역책임준수법(the Global Trade Accountability Act)로 불리우며 관세 인상을 포함하여 대통령의 무역 조치와 관련된 입법 조치는 의회 승인이 필요한 법안이다.  


이 같은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동반자협약 탈퇴 결정에 유효 했을 것이며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탈퇴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을 잠재우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트럼프의 대통령 임기가 최소한 3년이나 남은 현 상황에서 미국은 무역 정책 영역에서 롤러코스터 타기를 감당할 여력이 없으며 이에 따라서 의회가 시의적절하게 이를 멈추고 보다 적합한 통제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번역: 양지성
출처: https://www.cato.org/publications/commentary/trump-trade-tariffs-are-wanton-act-economic-self-destruction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162 철강 관세가 만들어내는 일자리 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Mark J. Perry / 2018-04-16
Mark J. Perry 2018-04-16
자기 파괴적인 트럼프의 무역 관세
Colin Grabow / 2018-04-13
Colin Grabow 2018-04-13
160 프란체스코 교황의 자본주의 오류
David Gordon / 2018-04-12
David Gordon 2018-04-12
159 미국인의 아마존 사랑과 트럼프 대통령의 왜곡된 공격
Michael D. Tanner / 2018-04-11
Michael D. Tanner 2018-04-11
158 무역의 역사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이유
Carmen Elena Dorobăț / 2018-04-09
Carmen Elena Dorobăț 2018-04-09
157 경이로운 시장의 재화 분배방식
T. Norman Van Cott / 2018-04-09
T. Norman Van Cott 2018-04-09
156 커민스 엔진 회사가 기업가들에게 주는 교훈
Michael R. Strain / 2018-04-06
Michael R. Strain 2018-04-06
155 독점적인 빅테크 그러나 소비자에게는 합리적
Michael R. Strain / 2018-04-05
Michael R. Strain 2018-04-05
154 코뿔소를 지키려면 뿔 거래를 합법화하라.
Sam Dunkovich / 2018-04-04
Sam Dunkovich 2018-04-04
153 철강 산업 일자리의 감소는 생산성 증가 때문이지 수입 철강 때문이 아닙니다
Mark J. Perry / 2018-04-03
Mark J. Perry 2018-04-03
152 카메룬 중소기업 소유주들에게 자율권을 주다
Atlas Network / 2018-04-02
Atlas Network 2018-04-02
151 트럼프의 철강관세 – 미국 우선주의가 맞는가?
Brian Balfour / 2018-03-30
Brian Balfour 2018-03-30
150 온타리오의 왕위 연설은 성장과 경쟁력을 무시한다
Ben Eisen / 2018-03-29
Ben Eisen 2018-03-29
149 자본주의가 가장 페미니스트적 시스템이다
Tim Worstall / 2018-03-28
Tim Worstall 2018-03-28
148 반평등적, 반여성적 사회주의의 기원
Chelsea Follett / 2018-03-27
Chelsea Follett 201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