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국 자유주의 경제철학] 1강. 콩스탕트와 벌린의 자유론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전적으로 다르며, #벌린과 #콩스탕트에서 시작하여 #하이에크로 이어지는 #자유론을 통하여
자유는 종류에 따라 #전체주의 또는 #간섭주의를 초래하는 자유도 있음을 확인합니다.
시장경제의 중심! 자유기업원!
-

의도가 좋으면 그만? 정부규제로 피해 보는 소비자의 현실
-

관료화된 공립학교, 투입은 늘었지만 애들 성적은 떨어진다
-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결과의 평등이 안되는 이유
-

인도주의적 복지정책은 왜 자꾸 실패할까?
-

결국 대공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자초한 일
-

같은 물건을 더 싸게 살 수 있는 이유
-

편의점에서 느끼는 시장의 위력
-

윤석열 대통령의 인생책 해설
-

공공선택론 입문 제12강|공공선택론에서 바라보는 관료, 관료제
-

공공선택론 입문 제11강|관료와 관료제: 관료란 누구고 관료제란 무엇인가?
-

입국하려면 최소 300달러 외국인 전용 화폐로 교환해야 하는 나라
-

한국은 OO만 해라, 일본은 OO만 하지 마라
-

못 사는 나라는 규제로, 잘 사는 나라는 돈으로 해결한다
-

법안 한 건당 심사 시간 평균 9분❗︎❓︎ 규제 법안 찍어낸 20대 국회
-

세계 최초의 규제는 ○○○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

아직도 만들어진지 30년 넘은 규제가 10.3%로 29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