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정성우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어디서든 빛나는 자유와 시장의 가치 정성우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유주의를 서구의 철학에서 찾아 배운다. 실제 자유주의에 기여한 주요 학자들 상당수가 서구 출신이고 학문의 뿌리가 그곳에 있어서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동양 사상에서도 자유와 시장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실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자유주의는 지역을 가..정성우 / 2021.02.25
-
- 나폴레옹은 대륙봉쇄령으로 몰락했다 정성우
-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프랑스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유럽의 패권을 차지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영국이 걸림돌이었다. 게다가 트라팔가르 해전(1805년)에서 영국에 패하여 제해권마저 장악하지 못하게 되자, 나폴레옹은 `대륙봉쇄령`을 통해 영국을 고립시키는 전략을 구사했다. (프로이센을 격파한 후 베를린..정성우 / 2021.01.28
-
- 강대국의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정성우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All roads lead to Rome)"이 서양 속담은 과거 로마 제국이 세계의 중심이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국의 영광엔 `정비된 도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도로를 통해 다민족 상인들이 교역할 수 있었고, 수레와 마차가 그 도로를 다니며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한마디로 로마의 ..정성우 / 2020.12.23
-
- 영국은 전쟁에서 어떻게 대승을 거뒀나 정성우
-
백년 전쟁은 영국과 프랑스가 장기간(1337~1453년)에 걸쳐 주로 프랑스 남서부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벌인 전쟁이었다. 이 과정에서 소녀 잔 다르크가 등장했으며 흑태자 에드워드의 일화가 전해지기도 했다.그중에서도 크레시 전투(1346년) 또한 백년 전쟁의 이야기에서 빼놓을 수 없다.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영국..정성우 / 2020.12.10
-
- 비스마르크는 어떻게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나 정성우
-
현대의 주요 이슈 중 사회보장제도는 꾸준히 언급되는 주제다. 그렇다면 최초의 근대적 사회보장제도를 마련한 사람은 누굴까? 놀랍게도 사회주의자는 절대 아니다. 다름 아닌 철혈 재상으로 알려진 독일 제국의 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였다. 그는 융커(Junker) 출신의 상당히 보수적인 인물이었다.당시 19세기 독일은 ..정성우 / 2020.11.13
-
- 생각보다 오래된 부동산의 역사 정성우
-
요즘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세상이 떠들썩하다. 대다수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에 항의하고 있으며 심지어 일부는 거리로 나서고 있다. 비록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이번 건은 영향력이 커서 그런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다. 부동산 문제는 과연 현대에 이르러 생긴 ..정성우 / 2020.08.25
-
- 뉴딜은 실패한 정책이었다 정성우
-
최근 정부가 일자리 창출 방안으로 일명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자하여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도약하겠다는 계획인 것이다. 이외에도 과거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전 미국 대통령이 `뉴딜 정책`을 롤모델로 삼아 경기부양책을 추진한 바 있다. 이처럼 `뉴딜 정책’은 전 ..정성우 / 2020.07.30
-
- 로베스피에르의 우유 가격 통제가 불러온 비극 정성우
-
18세기 프랑스 혁명 당시 ‘공포정치’로 유명한 급진 지도자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우유 가격 통제 사례는 정부가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면 얼마나 참혹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혁명 후 시민들이 생필품 가격 상승으로 불만을 쏟아내는 등 민심이 흉흉해지자, 로베스피에르는 물가를 안정시키..정성우 / 2020.04.10
-
- 영국의 블록 경제 형성과 예고된 비극 정성우
-
1931년 세계를 강타한 경제 대공황의 여파로 인해 영국엔 이례적인 거국일치내각이 들어섰다. 맥도날드(MacDonald)의 제2차 노동당 내각이 해체되면서 보수당과 자유당에 의해 다시 맥도날드를 수반으로 한 내각(1931~1935년)이 수립된 것이었다.이에 노동당은 맥도날드를 배신으로 규정하여 제명하였고 새로 구성된 내각..정성우 / 2020.02.25
-
- 경제대공황의 숨겨진 진실: 스무트-홀리 법 정성우
-
흔히 사람들은 경제대공황이라고 하면 1929년 10월 29일에 있었던 미국의 주가 대폭락을 떠올린다. 실제 각종 매체에서 경제대공황을 그런 식으로 소개한다. 학교를 비롯한 교육기관 또한 세계사나 경제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그렇게 가르친다.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포함한 부연설명이 다소 부족함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성우 / 2020.01.20
-
- 국내 여성 운동은 개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정성우
-
1926년 2월 22일, 서울에 위치한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흥미로운 강연회가 열렸다. 이 강연회의 주제는 ‘자유연애’였으며 연사는 기자·문인·승려인 일엽(一葉) 김원주(金元周, 1896~1971년)였다. 그녀는 ‘수덕사의 여승’의 모델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당시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다.“결혼..정성우 / 2019.12.04
-
- 구한말 조선인들이 가난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정성우
-
개항 이후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대체로 조선이라는 나라와 조선인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19세기 말 조선을 비롯해 극동 지역을 여행했던 영국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 또한 조선을 방문했던 대부분의 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조선인들을 게으르고 가난하며 상당히 의존적이라고 평가했다.하지만 비숍은 다른 평가들..정성우 / 2019.10.28
-
- [추천도서] 아인 랜드의 '자본주의의 이상'(Capitalism: The Unknown Ideal) 정성우
-
191011_[추천도서] 아인 랜드의 `자본주의의 이상`.mp3아인 랜드(Ayn Rand ·1905~1982)는 20세기 미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입니다. 그는 소설과 에세이 등을 통해 시장경제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이 책을 통해 “국가가 할 일은 최소에 그쳐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정성우 님의 설명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정성우 / 2019.10.11
-
- 적기조례로 보는 오늘날 규제 문제 정성우
-
과거 문재인 대통령은 혁신성장을 위해선 적기조례 철폐가 필요하다고 발언한 적이 있었다. 또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공석에서 적기조례 사례를 예로 들며 불합리한 규제가 우리나라 경제의 역동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했다. 이처럼 공통적으로 규제 개혁을 강조할 때 적기조례도 자주 언급..정성우 / 2019.09.04
-
- [추천도서] 존 맥밀런의 <시장의 탄생> 정성우
-
[추천도서] 존 맥밀런의 `시장의 탄생`.mp3현실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제안을 내 놓는 경제학자 존 맥밀런의 책으로 <뉴욕타임스>가 ‘주목할 만한 책’으로 극찬한 베스트셀러이기도 합니다. 정성우님의 추천 말씀을 들어 보시기 바랍니다...정성우 / 2019.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