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유시연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신간] 케인스는 어떻게 재정을 파탄 냈는가 유시연
-
존 메이너드 케인스경제학을 조금만이라도 접했다면 모를 수가 없는 위대한 경제학자들 중 한 명입니다.그런데 그런 케인스가 재정을 파탄 내었다니?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제임스 뷰캐넌은 이 책에서, 케인스 정책의 빈틈을 구석구석 명탐정처럼 찾아냅니다.이 책을 통해 위기의 재정 상황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저와 여..유시연 / 2021.06.01
-
- [신간] 김승호의 '돈의속성' 유시연
-
201208_네이버 오디오클립_신간_돈의속성.mp3당신은 투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투자에 대한 지식 없이 투자를 한다면 이리저리 소문에 휘둘리고오르락 내리락하는 사소한 경기변동에 안절부절하다가 애꿎은 돈만 잃게 됩니다투자를 성공으로 이끄는 것은 치열한 공부와 관찰, 자기관리라고 합니다투자에 첫 발자국..유시연 / 2020.12.08
-
- [신간] 폴 켄고르의 '레이건 일레븐' 유시연
-
201201_네이버 오디오클립_신간_레이건 일레븐.mp3이 책을 덮은 뒤 우리는 보수주의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보수주의란 각자의 방식대로 삶을 만들어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상식과 예절 과거에 일어난 일들에서무언가를 기꺼이 배우려는 의지 우리의 양심이 알려주는 삶의 태도이자 보편적 가..유시연 / 2020.12.01
-
- [신간] 크리스텐슨의 '번영의 역설' 유시연
-
200626_[신간]_크리스텐슨의 `번영의 역설`.mp3가난한 국가의 번영을 꿈꾸며 아무리 많은 일시적인 호의를 베풀고, 지원한 자원들을 이용하도록 밀어붙이는 것은 가난의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이 책 제목이 말하고 있는 번영의 역설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비소비 영역에서 새로운 시장들을 개척하고, 자..유시연 / 2020.06.26
-
- [스토리 시장경제] 서양 문명은 바다에서 시작됐다 유시연
-
200615_[스토리 시장경제] 서양 문명은 바다에서 시작됐다.mp3오늘날 서양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문화적 요소들은 대부분 지중해의 역사에서 물려받은 것입니다.지중해는 유럽과 서양문명의 모태이며, 바다가 인간 역사에 끼친 의의는 각별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세계화, 열린사회로 가는 길`을 참조하시기 바랍..유시연 / 2020.06.15
-
- [신간] 에이먼 버틀러의 '자본주의 개론' 유시연
-
[신간] 에이먼 버틀러의 `자본주의 개론`.mp3배움에 있어서 그 개념의 본질부터 정확히 알고 시작하려는 당신우리 사회를 이끄는 자본주의에 대해 처음부터 알고 싶은 당신을 위한 책이 나왔습니다우리는 이제 자본주의에 지저분하게 붙어있던 오해와 편견들을 깔끔하게 잘라낼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확인해 ..유시연 / 2020.05.22
-
- 북한 식량난의 원인은 무엇일까? 유시연
-
[시장경제칼럼] 배급제도의 한계, 개인의 권리 불인정시장경제 원리는 자발적 거래 ... 이를통해 우리의 삶은 더욱 풍요로워져2017년, 북한에서 남한으로 도망쳐 나온 한 북한군 병사는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도망치면서 입은 총상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대로 올려 진 그의 몸에서 수십여 마리의 기생충이 쏟아져 나..유시연 / 2020.04.17
-
- [스토리 시장경제] 인류의 번영을 꽃피운 무한 에너지, 자유 유시연
-
200323_[스토리 시장경제] 인류의 번영을 꽃피운 무한 에너지, 자유.mp3자유주의 사회에서 개인은 자율적이고 자립적인 주체로서, 다른 사람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한 자신의 모든 생활에 대해 자유롭게 행동할 권리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정의로운 체제, 자본주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유시연 / 2020.03.23
-
- [스토리 시장경제] 규제의 역설 유시연
-
200302_[스토리 시장경제] 규제의 역설.mp3규제는 대부분 좋은 의도를 앞세워 만들어진다. 하지만 의도가 전부일 수도 없고, 만능 해법일 수도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내레이션: 유시연)..유시연 / 2020.03.02
-
- [스토리 시장경제] 일하는 노년에 대하여 유시연
-
200217_[스토리 시장경제] 일하는 노년에 대하여.mp3건강하니까 일하는 게 아니라 일하니까 건강하다는 말은 인생의 숨은 진리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노동의 가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유시연 /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