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자유기업원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학교이야기] 대학입시는 하버드 대학처럼 자유기업원
-
가장 자연스러운 대학입시는 각 대학들이 저마다 자기 학교의 발전에 도움이 될 만한 학생을 뽑는 것이다. 공부를 잘해서 학교를 빛낼 학생이 있을 것이고, 정치를 잘해서 그렇게 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자기 대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람을 뽑는 방식도 대학마다 제각각일 것이다. 어떤 학교는 수능성적을 기준으로 ..자유기업원 / 2008.06.30
-
- [학교이야기] 평준화의 빛과 그림자 자유기업원
-
평준화 정책에도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중학교 때부터 입시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사라진다면 십중팔구 고등학교 입시가 부활할 것이고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입시공부에 매달려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평준화 정책은 최소한 중학생의 입시 부담을 줄였다는 면에서 성공적..자유기업원 / 2008.06.30
-
- [학교이야기] 경쟁은 없어지지 않는다 자유기업원
-
우리나라의 대학 중 세계 100위 안에 드는 학교는 서울대학교뿐이다. 그나마도 63위다. 싱가포르 국립대(19위), 중국 베이징대(14위)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에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중공업 등 세계 최고의 기업들이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 원인은 경쟁과 보..자유기업원 / 2008.06.30
-
- [학교이야기] 학교 교실만 붕괴되는 이유 자유기업원
-
“수업은 듣기나 하니?” 라고 물으면 학생은 웃으며 답한다. “선생은 지대로 수업하고 우리는 우리대로 노는 거죠. 완전 개인플레이예요.” ...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자는 아이들은 반이 넘었고 휴대폰으로 문자 보내는 아이, 만화책을 꺼내 놓고 보는 아이 등 수업과 무관하게 학생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보내는..자유기업원 / 2008.06.30
-
- [학교이야기] 300에 비친 공교육 자유기업원
-
BC 480년 페르시아의 100만 대군이 그리스의 스파르타를 침공한다. 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한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는 자기 호위병 300명을 데리고 전장에 나아가 그들과 맞선다. 한 명만 빼고 모두 장렬히 전사하지만 결국 그들은 페르시아의 대군을 물리친다. 얼마 전 상영되었던 ‘300`이라는 영화의 줄거리이자 ..자유기업원 / 2008.06.30
-
- [학교이야기] 배워도 배워도 못사는 나라들 자유기업원
-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경제가 잘 될까?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믿어 왔다. 그 믿음 때문에 여러 선진국들과 국제기구들이 가난한 나라의 초등교육에 막대한 지원과 투자를 했다. 그 결과 외형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1960년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의 28%만이 초등학교에 다니던 것이 1990년에는 그 숫자가 거의 10..자유기업원 / 2008.06.30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좋은 기부 나쁜 기부 자유기업원
-
내 돈을 쪼개서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자발적 자선은 주는 사람의 마음부터 풍요롭게 만든다.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고 온 날은 무척 마음이 편하다고들 한다. 기부는 받는 사람의 마음도 따듯하게 해준다. 가난 때문에 겪어야 하는 고..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해외로 신혼여행 가는 나는 이미 부자다 자유기업원
-
2007년 6월 25일 캄보디아에서 한국 관광객들을 태운 비행기가 추락했을 때, 우리는 그 나라 사람들의 살림살이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수도인 프놈펜에 조차 사체를 보관할 변변한 냉장시설 하나 제대로 없을 정도다. 1인당 국민소득..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부자는 구두쇠다 자유기업원
-
부자는 보통 사람들보다 욕을 먹을 때가 많다. 그것은 우리가 부자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즉 부자가 돈을 풀어서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기를 바란다. 그러나 실제의 부자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부자를 쉽게 욕하곤 한다. 하지만 부자..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나라 돈으로 부자되기 자유기업원
-
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정주영과 김일성, 부자 되는 법의 차이 자유기업원
-
1989년 1월 어느 날, 왕회장으로 불리던 현대그룹의 정주영 회장이 북한의 김일성 주석을 만나고 있었다. 현대와 북한 정권 간의 경제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시각을 바꿔 보면 남한과 북한의 최고 부자들이 만난 자리이기도 했다. 정주영은 남한에서 최고의..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부동산 부자도 생산적일 수 있다 자유기업원
-
우리 국민들은 유별나게 부동산 투기를 미워한다. 그러다보니 고위 공직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의 조건이 능력이 아니라 부동산을 가지지 않는 것처럼 되어 버렸다. 이것은 잘못된 편견이다. 부자되기 책의 베스트셀러인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펀드 매니저는 투기꾼이 아니라 생산적 직업이다 자유기업원
-
펀드 매니저! 자본주의의 꽃으로 선망 받지만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업이기도 하다. 순간의 판단에 수십 수백억의 고객 돈이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40살이 넘으면 대부분 그만 둬야 한다. 펀드매니저의 89%가 40세 이하인 이유가 ..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벼락부자가 오래 못가는 이유 자유기업원
-
1982년 어느 날, 미국인 커티스 샤프 씨는 500만 달러짜리 로또에 당첨됐다. 우리 돈으로 따지면 약 560억 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액수였다. 당연히 그는 남들이 꿈에서나 그려보는 큰 부자가 되었다. 그런데 20여년이 지난 지금 그는 파산 선고를 받았다...자유기업원 / 2007.12.17
-
- [좋은 부자, 나쁜 부자] 록펠러 이야기 자유기업원
-
역사상 최고의 부자는 석유사업으로 큰 돈을 벌었던 록펠러다. 당시의 화폐가치로 따졌을 때 빌게이츠의 3배도 넘는 재산을 가졌던 사람이다. 록펠러는 사업으로 세상의 지탄을 받았고, 자선으로 세상의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는 자선보다 본업..자유기업원 / 2007.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