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최승노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보도]최승노 자유기업원 대외협력실장 "反경제정책, 국민에 피해" 최승노
-
업 입장에서는 최근 일련의 정부정책이 기업 활동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는 불만이 팽배해있다. 출범 초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은 합리적인 경제논리와 기업환경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정치적 주장과 구호만을 앞세워 기업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서민을 구하겠다..최승노 / 2011.06.25
-
- [보도][싱크탱크 광장] 공정사회 만들기인가, 대기업 때리기인가 최승노
-
“동반성장, 거래조건 공정성 확보하는 것”“기업보다는 경쟁 보호가 소비자 위한 일” »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자유기업원에서 열린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에서 참석자들이 대·중소기업 상생정책을 주제로 열띤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최승노 / 2011.08.10
-
- 경제 발목잡는 정치실패…EBS 빗나간 선동 그만 최승노
-
EBS의 다큐프라임 『민주주의』 방송이 기존의 민주주의 개념을 왜곡, 학문적 공정성을 잃은 ‘선동’이라는 지적이 전문가들에게서 나왔다. 자유경제원은 9일 자유경제원 리버티 홀에서 ‘EBS 민주주의 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최근 5부작으로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민..최승노 / 2016.06.11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조선 상인 임상옥의 상인정신 최승노
-
홍삼값 후려친 중국인에게 홍삼 태우며 맞서 성공상인 천대한 조선시대에 무역을 알았던 대표 상인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상인을 이야기할 때 누구보다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바로 `임상옥’이다. 임상옥에게는 `거상’이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붙는다. 임상옥은 중국으로 향하는 사 신을 따라 연경(현재 중국의 북경)..최승노 / 2019.03.04
-
- [이슈] 누가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까요? 최승노
-
190227_[이슈] 누가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까요..mp3정부의 반복되는 규제가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입니다. 정부의 단기처방이 부동산 급등락세를 초래하기도 하고 거래절벽현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지금은 거래세를 낮추어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도모할 때입니다. 최승노 원장의 설명을 들어보시기 바랍니..최승노 / 2019.02.27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올바른 스펙 경쟁 최승노
-
기업이 원하지 않는 맹목적인 `스펙`은 도움 안 돼요야구에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무관심 도루`가 있듯야구에는 ‘무관심 도루’라는 흥미로운 상황이 있다. 주자가 도루를 하는데 상대 팀 투수나 포수 가 견제하지 않는 것이다. 말 그대로 도루에 무관심한 상황인데, 대개 양 팀 간 점수 차가 많이 벌어진 경기 후반..최승노 / 2019.02.25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칭기즈 칸의 유언 최승노
-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을 가는 자 흥하리라"위험과 기회가 함께하는 개방과 통상이 중요해요.인류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건설했던 칭기즈 칸은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을 가는 자 흥하리 라”라는 멋진 유언을 남겼다. 성을 쌓지 말라는 게 정확히 칭기즈 칸의 말인지에 대해서는 논란 이 있다. 당시 몽골은 문..최승노 / 2019.02.18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최초의 주식회사 최승노
-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의 주식회사죠.주식 발행으로 자본 모아 기업경제시대 열었어요.14세기, 유럽 사람들은 베니스의 상인 마르코 폴로가 지은 《동방견문록》을 읽고 깜짝 놀랐다. 마르코 폴로가 묘사한 원나라는 고도로 발달된 선진 문명국이었다. 당시 유럽 사회와 비교할 수 없으리만치 월등한 중국..최승노 / 2019.02.11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자원 최승노
-
자원 고갈 없다는 사이먼, 엘릭과 내기에서 이겼죠… "과학기술 발달로 기존 자원은 새 자원으로 대체돼요"1980년 미국 경제학자 줄리언 사이먼(근본자원 저자)은 자원이 고갈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단의 환경주의자들에게 내기를 제안했다. 자원이 고갈된다면 앞으로 천연자원 가격은 천정부지로 오를 테니 가격 향방..최승노 / 2019.02.04
-
- 중국 자동차 시장의 미래는 누가 결정할까? 최승노
-
중국 자동차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기 어려운 내연차보다 2차 전지를 활용하는 전기차로 자동차 시장을 재편하려 한다. 이에 따라 지난 4~5년간 내연차 구매제한 정책을 폈다. 반면 자국 내 기업의 전기차에 대한 지원은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과연 중..최승노 / 2019.02.18
-
- 부동산 시장 안정을 바란다면 최승노
-
최근 들어 부동산 거래 위축이 심각하다. 특히 정부가 부동산 가격을 잡겠다며 내놓은 2018년 ‘9.13 대책’ 이후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규제의 주된 대상이었던 서울지역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올해 1월 1877건으로, 지난해 1월의 1만198건과 비교하면 81.6%나 감소한 상태다.정부 입장에서는 시장의 매매를 ..최승노 / 2019.02.10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중소기업 정책 최승노
-
"독립하지 않고 언제나 아이로 남아있으려는 `피터팬`… 정부의 과도한 보호는 중소기업들의 성장 막아요"누구나 한 번쯤 《피터팬》을 책으로 읽거나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보았으리라. 영원히 어른이 되지 않는 나라, 네버랜드에 사는 피터팬, 그리고 요정 팅커벨. 어느 날 밤, 우연히 피터팬을 만나 네버랜드로..최승노 / 2019.01.28
-
- [이슈] 기업경제를 살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승노
-
190129_[이슈] 기업 경제 활성화.mp3반시장적 입법과 정책은 방향이 잘못된 것이라 기업경제 활력을 줄입니다. 기업경제 활성화를 원한다면 시장친화적인 방향으로 법과 정책을 바꾸어야 합니다. 최승노 원장의 설명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최승노 / 2019.01.29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세금제도와 정치 최승노
-
"영국 윌리엄 3세는 창문 수에 따라 세금 물렸어요… 루이 16세의 과도한 세금은 프랑스혁명 도화선 됐죠"‘창문세’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창문세는 한 주택에 존재하는 창문의 수에 따라 세금 을 부과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 황당한 세금은 1696년 영국의 윌리엄 3세 때 만들어졌다. 당시 윌리엄 3세는 아일..최승노 / 2019.01.21
-
- [시장경제 길라잡이] 정부와 포퓰리즘 최승노
-
"경제강국이었던 아르헨티나가 몰락한 이유는 산업 국유화·외국자본 축출·인기영합 정책 탓이죠"“나를 위해 울지 말아요, 아르헨티나.(Don’t cry for me, Argentina)”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이 유명한 가사는 ‘에비타’라는 뮤지컬에서 에바 페론 역할을 맡은 여 주인공이 부르는 노래 가운데 한 소절이다. ..최승노 /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