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자유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불세출의 `경전`

자유기업원 / 2023-05-29 / 조회: 6,672       디지털타임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자유를 35번, 지난달 미 의회 연설에서 46번이나 언급했다. 전임 정권이 자유를 거의 금기어로 삼았던 상황과 견주면 가히 '자유의 분출 시대'다. 그렇다면 자유는 무엇인가. 이 근본적이고 다소 도발적인 질문 앞에 명확히 이것이라고 답하기는 사실 쉽지 않다. 자유는 공기와 같이 인간 존재에 불가양의 것이어서 자유민주 체제에선 잘 의식되지 않지만, 끊임없이 그에 대해 숙고하고 지키려는 노력이 없으면 모르는 새 침식될 수 있다.

바로 이런 자유의 취약점을 간파해 인류에게 자유주의 철학을 헌정한 사람이 자유시장주의 경제학의 거목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다. 하이에크는 이 책을 1960년 미국 시카고대 출판부에서 출판했다. 당시는 서구가 전후 폐허에서 어느 정도 복구되고 문명의 토대도 회복되어 경제성장을 구가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한편에선 오히려 그 때문에 '자유'에 대한 가치가 등한시되기도 했다. 전후 공산 전체주의와 싸우면서도 일부 정치, 사회조직에서는 그를 따라하려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하이에크는 자유의 근본 원리와 철학을 정립하지 않고는 안 된다는 생각에서 '자유헌정론'을 썼다.

'자유헌정론'의 핵심은 개인의 자유 가치를 헌창하기 위해선 '법의 지배'(Rule of Law)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곧 법치다. 하이에크는 "법치는 알려진 규칙을 집행하기 위한 경우 외엔 정부가 개인에게 절대로 강제를 행사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라고 했다. 그는 입법부를 포함한 모든 통치기관의 권한은 제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이에크는 법치, 곧 법의 지배가 작동할 때 자유를 온전히 느낄 수 있다고 거듭 확인한다.

하이에크의 자유헌정론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에 이은 자유주의 사상의 진수로 평가받는다. 이 책을 통해 윤 대통령이 외치는 자유가 과연 현 시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왜 나의 삶에 중요한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읽으면서 문득문득 지금 우리가 누리는 이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도 깨닫게 될 것이다.


이규화 디지털타임스 논설실장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98 자유기업원, 제13호 ‘이슈와 자유’ 발간…‘감사위원 3%룰’ 기업 자율성 침해 우려
이호경 / 2025-07-21
2025-07-21
9397 자유기업원 “상법 개정안, 3%룰 확대는 기업 자율성 침해”…보완 입법 시급
자유기업원 / 2025-07-21
2025-07-21
9396 “획일적 도입보다 유연성 확보 중요…생산성 개선·노사협력도 필요” [주 4.5일제가 온다 ⑤ 끝]
자유기업원 / 2025-07-18
2025-07-18
9395 자유기업원 "대기업집단 지정제도 형사책임 지나쳐…이젠 손 볼 때"
자유기업원 / 2025-07-16
2025-07-16
9394 ‘경제, 무역, 화폐의 역사적 이해’ 등 여름휴가 추천도서 25권 선정
이호경 / 2025-07-15
2025-07-15
9393 자유기업원, 연구보고서 ‘대기업집단 지정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발간
자유기업원 / 2025-07-15
2025-07-15
9392 자유기업원 “대기업집단 동일인 제도 전면 손질 필요”…형사책임 과도 지적
자유기업원 / 2025-07-15
2025-07-15
9391 [집중진단] 노란봉투법에 산업계 `초비상`…하청노조에 교섭권 부여는?
자유기업원 / 2025-07-15
2025-07-15
9390 [해수부 부산 이전①] 노무현 정부, 분산을 분권으로 착각하다
자유기업원 / 2025-07-14
2025-07-14
9389 자유기업원, ‘공공부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이해’ 발간…북콘서트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7-10
2025-07-10
9388 자유기업원, ‘공공부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이해’ 출간 기념 북콘서트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7-10
2025-07-10
9387 [신간] 『법, 경제를 만나다』 재출간... "시장 친화적 법이 번영을 가져온다"
자유기업원 / 2025-07-04
2025-07-04
9386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법제화보다 유연한 제도 운용 필요”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5 자유기업원, 제12호 ‘이슈와 자유’ 발간…“주 4.5일제,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4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일률적 법제화보다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