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선택론은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정치인과 관료를 분석합니다⚠︎
■ 제6강 지대추구론: 부의이전과 정부규제
00:22 부 or 소득이전의 문제
02:13 부의이전이 수혜자와 그외 일반인들에게 주는 영향
04:04 대리인의 문제, 정치인·관료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06:15 지대추구라는 개념과 정부규제
07:27 지대추구행위의 근원지는 정부규제
09:38 지대추구행위의 사회적 비용
11:02 정부 지대의 독점이 갖는 의미
■ 공공선택론 바로가기: https://bit.ly/3gRD1or
-

비트코인의 원조가 있다고???|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셜록홈즈와 몬드리안, 두 인물의 공통점|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이게 그림이라고?, 나비효과와 우연성의 예술|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자연실험, 프리다 칼로와 혁명의시대|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아름다움도 능력인 시대|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결혼은 미친 짓인가? 합리적인 선택인가?|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브뤼헬의 바벨탑이 보여준 세계화의 의미|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자화상과 모델 비용|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페르메이르의 음악 레슨과 중상주의|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사실주의 화풍과 노동의 가치|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터너의 전함과 증기선 그리고 산업혁명의 도래|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일본류 열풍과 반 고흐|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개념미술의 선구자 마르셀 뒤샹|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불황과 폴 고갱의 인생역전|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피카소, 큐비즘 그리고 축구공|경제학자의 문화살롱|최병서 교수
-

고전적 자유주의|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초|신중섭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