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검색

검색중입니다.

검색중입니다.

상세검색

검색 분야
검색항목
검색기간
검색어
상세검색

정보

[LAW포커스 스페셜] 2023 추석 트렌드, 젊어지는 대한민국 `만 나이` 적용 등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어제부터 다음 달 3일까지 6일간의 긴 추석 연휴를 맞아 ‘LAW포커스 스페셜‘로 찾아뵙게 됐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도 법조계를 비롯한 사회 전반엔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요. 몇 가지 이슈들을 정리해봤습니다.먼..
“규제, 규제, 또 규제” 사방이 가로막힌 오프라인 유통사들 [변화된 유통 생태계] [언박싱]
오프라인 유통사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쿠팡 같은 온라인 유통 공룡의 매서운 성장으로 유통업계의 생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지만, 오프라인 유통사들은 각종 옛 규제에 발목이 묶여 출구전략 마련에도 속도를 못 내고 있다.전통시장 못 ..
빼앗긴 교원채용권, 사학자율성 저하 시킨다
vol.12 사립학교법.pdf 채용마저 감 놔라 배 놔라…사학의 정체성과 자율성 잠식하는 사립학교법▪ 사립학교 교원 채용, 시도교육청에 필기시험 위탁 의무화하고 교육청이 교원 징계요구권까지 가져가▪ 재정지원 받는다는 이유로 과도하게 ..
[기획]K-무역, 양보다 가치 중심 전략 필요
민간 주도 경제 모델 `기업가형 국가`로 기업 경쟁력 강화 필요자유기업원 "기업 옥죄는 ESG 정책, 외국 사례 따라 개정해야"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가 최근 고비용 산업 구조 등에 따른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국제 정세에 따른 불확실성..
한국 경제자유지수 7.47점으로 세계 42위
우리나라 경제자유지수가 7.47점(10점 만점)으로 세계 42위(165개국)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0.02점 상승하였으나 순위는 1단계 하락하였다. 우리나라 경제자유지수가 개선되고 있지만, 다른 나라의 개선보다는 조금 더딘 모습이다.우리나라는 ..
[자유발언대]더는 참을 수 없는 노조의 횡포 ... 불법 대신 순기능 회복해야
노동조합이 무고한 시민들을 인질로 잡고 기업을 협박하는 횡포를 일삼고 있다. 최근 보건의료노조는 20일 간의 장기 파업을 진행하며 환자들의 건강을 협상 카드로 내세워 비판을 받았다. 노조의 전횡은 사업주가 처벌받을 수 있는 중대재해처벌..
자본주의는 부자들만의 것인가
가장 인기 있는 자본주의 비판자 중 한 사람, 미국 지식인 노엄 촘스키(Noam Chomsky)는 “진정한 권력 집중이 인구의 1퍼센트의 몇분의 1에 있다,”라고 쓴다: “그들은 바로 자기들이 원하는 것을 얻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기본적으로 그 장..
"신용을 잃으면 그걸로 끝이야"... 정주영 어록 기억하라!
신용은 평판이다. 평판은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쌓이는 것이다. 한순간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신용은 자본과 속성과 매우 비슷하다.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서양의 신용이 계약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반면 동양..
다가올 `초개인`의 시대 그리고 `초자유 상태`에 놓일 우리
순간적인 쾌락에 미치도록 열광하는 오늘날 우리는 스스로 통제할 능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왜 다가올 초개인과 초자유의 시대에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할까요?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역세권 용적률 120% 완화, 효율성·공공성 높인다
vol 11. 도시정비법.pdf정비사업 사업성·효율성·공공성 모두 높인 개정 도시정비법▪ 서울시 `신통기획’ 전국 확장, 통합심의 민간에 확대하면서 의무화…정비사업 최대 2~3년 기간 단축 효과▪ 용적률·용도지역 상향, 공공분양 확대로 ..
[창간기념인터뷰] “시장경제가 튼튼해야 자유 지킬 수 있어”
자유 지키는 게 법치의 근본…대통령 헌정수호 의지 큰 기대대한민국 세력 경각심 일깨우려 자유주의 법치 구현 천명복지 위해 큰 정부 추구하면 중산층 붕괴… 결..
모두가 똑같은 액수의 등록금을 낼 이유가 있을까
산업이 급속도로 변하면서 많은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인재를 양성하려면 충분한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자본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교육은 신성하니 자본과 무관하다는 의식이 있다.교육도 ..
독일은 개입 소용돌이의 악순환에 빠졌다
저명한 독일 세계 경제 연구소(Institute for the World Economy; IfW)에서 부회장이자 경제 연구 책임자인 스테판 쿠스(Stephan Kooths)는 독일 정부에 그것 자신의 경제 정책들의 결과들에 관해 경고했다. 그 지도적인 경제 전문가는 그 정부를..
[왜 재정준칙인가-끝] 한국의 선택과 남은 과제는
전문가들, 준칙과 함께 다른 재정건전성 강화 방안 주문"`360 룰` 합의된 원칙 아냐"…상황에 맞는 지표 활용 제언도국내외 재정 전문가들은 정부의 재정준칙 도입 추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준칙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려면 다른 제도 정비..
[영상]브릿지경제 창간 9주년 포럼, `기업 세제 이대로는 안된다`
브릿지경제가 창간 9주년을 맞아 자유기업원·시장경제학회와 공동으로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업현안포럼-기업 세제 이대로는 안된다`를 열었다. 이날 포럼에서 `시장경제 활성화를 위한 가업승계 세제 개선방안`과 `법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