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검색

검색중입니다.

검색중입니다.

상세검색

검색 분야
검색항목
검색기간
검색어
상세검색

정보

[시장경제 길라잡이] 정부는 부모가 아니다
"자선을 베푸는 것보다 자립심을 키워줘야 한다"…국가가 삶을 일일이 챙기려 들면 의존만 강해져`탈무드`에 실려 있는 이야기다. 어느 마을에 가난한 아이가 부모 없이 혼자 살았다. 아직 어린아이가 할 줄 아는것은 날마다 거리로 나가 지나는..
미국 무역적자는 경쟁 우위의 반영이다
cfe_해외칼럼_20-38.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Thorsten Polleit,The Trade Deficit: An Austrian Perspective26 June, 2018미국의 무역적자 문제는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논란거리다. 물론 무역적자가 이토..
일론 머스크의 `모험의 질주`는 계속될 수 있을까
[시장경제칼럼] 전기차, 민간 우주 산업, 뇌-컴퓨터 연결 장치 등 차세대 첨단 사업에 끊임없이 도전테슬라의 성공요인은 개인의 브랜드가치 + 현실과 이상사이의 기대감꿈과 현실사이의 진정성은 결국 시장에서 판가름날 것일론 머스크는 전세계..
자유기업원 ‘부동산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세미나 성황리 개최
정의의 관점, 경제적 측면 등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문제점 진단자유시장경제를 구현하는 자유기업원(원장 최승노)이 지난 18일 오후 산림비전센터 7층 열림홀에서 세미나 <부동산정책, 무엇이 문제인가?>를 개최했다. 권혁철 자유기업..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제적 함의
cfe_해외칼럼_20-37.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Zilvinas Silenas,What Streaming Services Teach Us about Economics17 December, 20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서는 그 시간..
자유시장은 타인을 평화적으로 발전시키는 사람을 지지한다
cfe_해외칼럼_20-36.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Gary M. Galles,Free Markets Promote Those Who Peacefully Improve Others Lives23 September, 2019적자생존이라는 용어는 사유재산, 자발적 교환체계에 반대..
왜 최저임금이 청년 근로자들에게 매우 나쁜가
cfe_해외칼럼_20-35.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Mitch Nemeth,Why the Minimum Wage Is so Bad for Young Workers2 January, 2020오늘날의 정치적 담론에서 최저임금은 더 진보적인 의회 의원들에 의해 자주 언..
경제로그 23. 석유자원 부국 베네수엘라에 전기가 부족한 이유
가장 먼저 후회하는 사람들
일찍이 독일의 자유주의 경제학자인 뢰프케(Roepke, 1899~1966)는 집단주의자가 되는 사람들의 유형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면서, 집단주의자가 되는 동기가 무엇이 되었든 집단주의는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의 분류에 따르면, 집..
[이 한 권의 책] 돈으로 행복도 살 수 있다!
금융지식으로 부자되기 (최승노·김인숙 지음 | 지식발전소 펴냄)“아들아, 세상사 거의 모든 문제는 돈 문제란다.”도덕군자나 좌파활동가들이 들으면 눈살을 찌푸릴 만한 이 말은, 세계적인 경제 잡지 《포브스》의 창업자 버티 찰스 포브..
[한비자로 세상읽기]문재인 정권, 권력의 대기실은 없는가?
권력의 대기실, 권력자 옆의 실세권력의 대기실이라는 것이 있다. 칼 슈미트가 말한 개념이다. 정치의 장에서 항상 볼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한다. 최고 권력자 근처에 있는 거물이라고 한다. 권력자에게 통하는 정보의 창구를 담당하고, 때론 거길..
브라질에 다가오는 자유
cfe_해외칼럼_20-34.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Lawrence W. Reed, Rafael Ribeiro,Liberty Is on the Rise in Brazil13 January, 20202억 1천만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 라틴 아메리카의 대국, 브라질은 자유와 ..
[문화칼럼] <기생충> 아카데미상 쾌거는 국가 문화지원 덕택이다?
이는 사실 한국 언론에서 크게 회자된 내용은 아니다. 지난 10일 (미국 LA 현지시간) 미국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한국영화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등 4개 부문 수상에 성공하자, 늘 한류를 경계하던 일본 언..
[시장경제 길라잡이] 박제가의 `북학의`
선진국인 청나라를 배우자는 조선의 `국부론`…북학파 지식인으로 기술혁신과 무역 강조했죠청나라를 무찌르자?잘 알려진 대로 박제가는 서자 출신 지식인이었다. 재주는 뛰어났지만 평생을 서자 신분으로 설움을 받으며 살았다고 한다. 사실 북..
디플레이션에 대한 중앙은행의 정책은 틀렸다
cfe_해외칼럼_20-33.pdf*본 내용은 아래 기사 및 칼럼 내용을 요약 번역한 내용임*Jörg Guido Hülsmann,Four Reasons Central Banks are Wrong to Fight Deflation22 June, 2017‘디플레이션’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오늘날 가장 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