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
정보
칼럼
경제법안리뷰
칼럼기고
리포트
해외칼럼
자유발언대
지텔만(Zitelmann) 칼럼
홀콤(Holcombe) 칼럼
언론 속 CFE
이슈와 자유
김정호의 경제읽기
팩트&파일
정책제안
카드뉴스
기업가연구
국제이슈해설
네트워크
세미나
행사
미래노동개혁포럼
아고라이코노미카
시장경제콜로키움
독서모임 리더스포럼
집현
자유농업경제포럼
시장경제학회
법경제연구회
자유주의연구회
회사법연구회
자유인문학회
아인랜드 독서모임
시장경제연구회
자유주의 입문 독서토론모임
자유헌정론 독서모임
법률동아리 LEAD
청람
경제지식네트워크
교육
시장경제칼럼
독서대회
영상공모전
변혁리더스포럼
교사포럼
인턴십
FreeTube
세미나
강좌
국부론 완전정복
안재욱 랜선경제
지식튜브
└ 경제로그
└ 인물그루
└ 도서
└ 시 낭송
자유주의자
추천TV
Rainer Zitelmann
오디오클립
스토리 시장경제 BEST 톺아보기
세계사에서 경제를 배우다
7천만의 시장경제
왜 결정은 국가가 하는데 가난은 나의 몫인가
부자되기
스토리시장경제
신간
추천도서
이슈
인터뷰
도서
판매도서
자유주의
NGO
이야기
회사법
자유와 개혁
기업단편소설
인터뷰
만화
추천도서
CFE 소개
설립취지
인사말
조직도
비전
CI소개
오시는길
공지사항
논평
보도자료
후원안내
Memorial Hall
후원
ENG
찾기
사이트맵
검색
태그
검색
검색중입니다.
상세검색
검색 분야
전체
정보
네트워크
FreeTube
공지사항
발간도서
추천도서
검색항목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기간
2024년~현재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과거
검색어
상세검색
정보
[허연의 책과 지성]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싸운 이유는?
매일경제_책과 지성_200713.pdf리처드 파이프스 (1923~2018)자유가 먼저일까, 아니면 소유가 먼저일까?오랜 질문에 답을 낸 폴란드 출신 美역사학자아주 오래전 인류가 집단을 이루고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소유`는 인간사회의 핵심과제였다.초..
‘효율적’ 보편적 복지 정책, 결국 지는 게임이다
cfe_해외칼럼_20-87.pdf보편적 복지 정책, 그 개막보편적 기본소득(UBI)보장 제도가 이제 미국에 발을 들여놓았다. 그 중 하나인 Trumpbux는 코로나 사태에 대응하여 연간 7만5천 달러 이하의 수입을 올리는 미국 시민들에게 1,200달러를 자선한..
[김세형 칼럼] 부동산 전쟁
文
대통령 뭘 생각하나
부동산을 분양받아 1년 내 파는 경우 양도세 80%를 부과하는 초강력 카드를 여당이 뽑아들었다.이 법안은 민주당 의원이 국토부를 경유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제출한 것이나 여당안으로 인정하는 분위기다.조세체계에서 세율 80%는 아마 전 세계에..
코로나19발 정부 지출 확대, 분별력 갖춘 정치적 역량 뒷받침 돼야
과도한 국가 부채, 장기 불황과 금융 위기의 단초가 될 수도…코로나19발 경제침체에 각국 정부가 일제히 정부 지출로 몰려갔다. 미국은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율을 8.1%p 늘렸고, 일본도 9.2%p 확대했다. EU 내에서는 `코로나19 경제회복기금�..
삼바 잣대 이분법적 회계 기준 안걸릴 기업 있나
`규칙중심` 아닌 `원칙중심` 분식 시비 제2삼바 양산옳다 그르다 식 논리로는 적용 무리 감독기관 정리를필자는 회계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분식회계라는 주제는 언제나 흥미롭다. 우리가 현재 배우고 사용하는 회계는 이탈리아의 유명한 수학..
세계 10대 갑부 중 9명은 자수성가한 사업가들이다
cfe_해외칼럼_20-86.pdf매년 포브스는 가장 부유한 미국인 400명의 명단을 발표한다. 아마존의 창립자인 제프 베조스는 2019년부터 2년 연속으로 가장 높은 자리에 위치해있다.베르나르 아르노를 제외한 위 부자들의 공통점은 자수성가를 통해 ..
경제로그 36. 미국의 대공황, 뉴딜 정책이 진짜 해법이었을까
일본 경제의 두 얼굴
김정호_2020-19.pdf동영상 보기▶ https://youtu.be/MqBiB7FRu1U일본 경제는 상반된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늘 시들시들한 모습인데요. 성장을 거의 못합니다. 하지만 위기 때만 되면 다른 모습이 나타납니다. 투자자들은..
기본소득의 맹점들
기본소득에 대한 국민 여론이 팽팽하다. 코로나 사태 이전 기본소득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상당히 비판적이었다. 포퓰리즘, 심지어 공산주의적 발상이라는 손가락질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역병의 창궐과 더불어 비일상적인 정책이 난무하는 오..
경제학자처럼 사고하기: 가치 있는 것인가?
cfe_해외칼럼_20-85.pdf훌륭한 경제학자는 끊임없이 “가치 있는 것인가?”, 또 “무엇과 비교해서?”를 질문한다. 이러한 태도는 “두 가지 질문 속의 경제학(Economics in Two Questions)”이라 불린다.가치 있는 것인가?: Is it worth ..
[시장경제 길라잡이] 극단적 집단주의가 초래한 비극
20세기는 인류의 광기와 폭력으로 얼룩졌던 시대였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은 세계 5000만 명 이상이 희생된 20세기 최악의 재앙이었다. 당시 전쟁을 일으킨 독일은 홀로코스트를 통해 무려 600만 명에 이르는 유대인을 잔혹하게 학살했다.나치즘..
‘소유와 자유’ 펴낸 하버드대 교수 “소유욕이 역사 발전 이끌었다”
“소유권만큼이나 그처럼 보편적으로 인간의 상상을 자극하고 애착을 누린 것은 없다.”(블랙스톤)자유기업원이 자유주의 시리즈 76권으로 펴낸 `소유와 자유’(서은경 옮김, 자유기업원)는 미국 도널드 레이건 정부에서 러시아와 동유럽 문제..
[생생경제] 2021년 최저임금 논의 & 이재용 부회장 `불기속권고`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15:10~16:00)■ 진행 : 김혜민 PD■ 대담 : 김성희 고려대 노동대학원 교수,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
정경유착과 부당이익의 문제
오늘날 경제의 과반 정도는 정부가 점유하고 있다.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마찬가지일 것이다. 2015년,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 로버트 힉스(Robert Higgs)는 미국경제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53.7%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GDP 대비 재정지..
[집중진단] 편의점주들 “알바보다 못 번다…최저임금 인상 반대”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최영기 한림대 경영학부 객원교수,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노사정 대표자회의 협약식이 취소됐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내부 반발로 김명환 위원장이 불참했기 때문인데요. 2..
처음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