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민이란 출생 시의 기준을 통해 한 개인의 신분을 가늠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의미와는 거리가 먼 단어다. 오히려 현실에서는 품격이 낮은 대상을 경멸하는 의미로 쓰이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민주주의라는 말 앞에 천민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한 나라의 정치시스템이 근본 없고 격이 아주 낮음을 표현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정치체제가 천민민주주의인가? 다양한 정의와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필자는
천민민주주의를 '책임은 없이 자유만이 강조되어버린 왜곡된 민주주의 시스템’이라 생각한다. 본디 민주주의란 '책임’이라는 시민적 성숙 위에서
'자유’를 누리자는 것인데, 자유의 전제 조건인 책임을 무시하다보니 '제멋대로의 자유’라는 기형적 형태를 갖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책임의식이 없을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아무도 주인의 자격과 권한을 주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주인이라 자임하고는 주인이랍시고 거들먹거리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진정한 국가의 '주인’이란 이와 같은 멋대로의 해석이나 행동과는 거리가 먼 존재들이다. 현실에서의 주인들은 어떻게 행동하는가? 내가 주인이라고 하여 자기 물건을 멋대로 오용하고 짓밟던가? 어느 정신 나간 주인이 자기 집, 자기 자동차, 자기 가족을 자기 마음대로 자유롭게 휘두르고 주물럭거리던가? 진정한 주인의 행동은 오히려 그 반대일 것이다. 내 것이니까 더 아끼고 더 살뜰히 보살피는 것이다. 실제로 진짜 주인들은 책임의식이 아주 높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결국 우리민주주의가 천민화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자유에 따른 책임은 의식하지 않은 채, 무제한의 자유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음에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문제가 심각한 것은 이와 같은 천민민주주의적 행태, 즉 책임을 도외시하는 자유의 강조가 우리나라 곳곳에서 너무도 빈번히 관찰된다는 점이다. 광우병사태는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아무도 책임지지 않은 채 그저 지나간 이야기로만 남았다. 당시의 시위대는 '국가의 주인인 국민이 정부에게 명령한다’며 극도로 오만한 '자유’를
휘둘러 댔지만 지금껏 이와 관련하여 누가 잘못을 시인했다거나 누가 반성을 했다더라는 식의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청산가리를 털어넣겠다’했던 여배우는 그렇다 쳐도, 한동안 목에 힘주며 지식을 자랑하던
어떤 유식한 분은 '민중의 함성이 바로 헌법’이라는 엄청난 말을 해놓고도 스스로의 발언에 대한 사과한마디 없다. 그토록 힘주어 가르쳐왔던 예의도
염치도 본인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인가? 책임이 없는 천박한 민주주의는 크건 작건 거의 매일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내가 주인’이라는 의식으로 무장된 자유는 어디서나 스스럼없이 행패를 부리고, 행여 공권력의 제지를 받으면 '주인인 국민에 대한 탄압’을 자행한다며 오히려 호통을 친다.
무책임한 자유는 경찰도, 검찰도, 법원도 안중에 없다. 그리고는 내키는 대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호기로운 결론마저도 자유롭게 내린다. 상황이 이러하다보니, 내 생각과 다르다고 우방국 대표의 얼굴에 끔찍한 칼질을 해대고도
'네 잘못이라 혼내준 것’이라며 오히려 더 당당한 것이다. 주인인 내가 무엇인들 못하겠느냐는 식이다. 막가파도 이런 막가파가 없다. 이 극도의
야만을 어찌할 것인가? 공공재는 재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소비자라 하더라도 소비에서 배제시킬 수 없는 성질, 즉 비배제성(non-exclusivity)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편익을 누리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렇다보니 공공재에는 무임승차자(free rider)의 문제가 상존한다. 즉 비용은 지불하지 않으면서 편익만을 누리려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는 것이다. 그런데
무임승차자의 문제가 심화되면, 즉 편익은 누리면서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게 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
것인가? 결국 공공재 시장의 실패를 야기하는 무임승차의 문제는, 자유라는 편익은 무제한으로 누리려 하면서도 책임이라는 비용은 지불하지 않으려는 데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원에서 보자면, 천민민주주의란 결국 '정치의 실패’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정치의 실패문제에 대한 경제학의 해법은 명확하다. 책임이라는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다. 공공재 이론에서는 편익에 상응하는 비용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부담하도록 하여 무임승차자 문제해결을 제시하고 있다. 천민민주주의의 핵심이 '책임 없는 자유’에 있다면, 자유라는 편익에 대해 책임이라는 대가를 마땅히 치르도록 해야 천박함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품격있는 자유민주주의로의 복귀를 간절히 기대한다. /김상겸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이 글은 자유경제원 홈페이지에서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
<저작권자 © 미디어펜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NO. | 제 목 | 등록일자 | |
---|---|---|---|
6235 | [보도] 김영란법, 찬성표 던지고도 `잘못된 법` 속사정은?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34 | [보도] 경제민주화·무상복지…한국 민주주의는 `안녕`한가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33 | [보도] 자유경제원, "사회적 경제의 습격, 시장경제가 위험하다"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32 | [보도] 정부 주도 ‘사회적경제’, 시장경제가 위험하다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31 | [보도]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 (9) - 신용, 또 하나의 자본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30 | [보도] LG그룹 창업자 구인회 (3) - 전자산업의 시작 자유경제원 / 2015-04-02 |
||
6229 | [보도] 대우그룹 창업자 김우중 (11) - 너무 의욕적이고 기업이 큰 것이 죄가 되는 세상이 열리다 자유경제원 / 2015-04-01 |
||
6228 | [보도] 빗나간 독점 `진보`...정치독점이 정치실패 부른다 자유경제원 / 2015-04-01 |
||
6227 | [보도] `책임 없는 묻지마 자유` 천민민주주의를 경계한다 자유경제원 / 2015-04-01 |
||
6226 | [보도] 시장경제 부정하는 사회적 경제는 시대착오적 자유경제원 / 2015-04-01 |
||
6225 | [보도] 청년, 이승만과 함께 자유주의의 날개를 달다 <자유경제원 토론 전문> 자유경제원 / 2015-03-31 |
||
6224 | [보도] "근로자 파견 규제, OECD중 최악" 자유경제원 / 2015-03-31 |
||
6223 | [보도] "정부를 통해 평등을 달성하려 말라…선택할 자유를 잃을 것이다" 자유경제원 / 2015-03-31 |
||
6222 | [보도] 사회적 경제? 가부장적 국가 함정에 빠지다 자유경제원 / 2015-03-31 |
||
6221 | [보도]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 (8) - 불확실성의 감당과 지나친 비관의 오류 극복 자유경제원 / 20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