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 미국 프린스턴대학 교수는 평생 불평등과 개발도상국의 빈곤을 연구한 학자다. 그런 그를 한국의 보수언론들은 불평등을 옹호한 성장론자로 규정했다. 이러한 ‘아전인수’에 대해 디턴 교수가 직접 입장을 밝혔다. 자신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 소식이 알려진 지난 12일 디턴 교수가 프린스턴대학에서 열린 축하모임에 앉아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토요판] 커버스토리 / 앵거스 디턴 교수 이메일 인터뷰
대담하게 왜곡된 ‘위대한 탈출’
국내 첫 인터뷰와 사건의 전말
대담하게 왜곡된 ‘위대한 탈출’
국내 첫 인터뷰와 사건의 전말
“무조건 성장이 좋다는 건 아니다.”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디턴(70)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최근 자신의 저서 번역본(<위대한 탈출>)을 두고 국내에서 불거진 왜곡 번역 논란과 관련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국시각으로 지난 25일 <한겨레>에 보내온 전자우편 답변서에서 자신이 불평등을 옹호한 학자로만 한국에 소개되고 있음을 알고 있다며 “불평등은 성장을 질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장단점에 적절한 균형을 맞춰주는 것이 사회의 역할”이라고 지적했다. 지나친 불평등은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는 평소 지론을 재확인한 셈이다.<한국경제> 등 보수언론에 의해 자신과 상반된 입장을 가진 것으로 분류된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학 교수에 대해서는 “최상층 소득분포 자료에 관한 피케티와 사에즈의 연구가 (불평등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연구를 촉발한 기폭제가 되었다. 그들의 작업이 매우 중요하고 많은 영감을 준다”고 긍정적으로 평했다. 애초 현진권 자유경제원장은 번역본 서문에 쓴 ‘피케티 vs 디턴, 불평등을 논하다’라는 글에서 디턴을 불평등을 비판하는 토마 피케티 교수와 대립하는 것처럼 소개해 오독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불평등의 심화를 우려한다는 점에서 디턴과 피케티의 입장에는 큰 차이가 없고 이는 현 주류 경제학과도 궤를 같이한다는 지적이 출간 당시부터 제기됐다. 결국 ‘교과서 국정화’를 주도하는 주요 세력 중 하나인 자유경제원은 노벨상 수상자의 책까지 왜곡 번역하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을 받게 됐다.해당 출판사인 한국경제신문 한경비피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현 원장의 서문 ‘피케티 vs 디턴’은 일종의 홍보 포인트였지만 개정판에선 빼기로 했다. 급하게 번역을 맡긴데다 편집을 외주로 주면서 제작 과정에서 빚어진 실수다. 왜곡 의도나 시도는 없었다”고 밝혔지만 이는 ‘날림 출판’을 사실상 인정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앞서 18일과 21일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원문에 있던 내용 등을 상당수 생략하거나 축소한 채 번역이 이뤄져 결과적으로 디턴을 불평등을 옹호한 학자로 왜곡했다며 해당 출판사인 한경비피에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원서를 발간한 프린스턴대 출판부는 “한경비피가 기존 번역본을 판매중지하고 디턴 교수의 원문을 정확하게 반영한 뒤 독립적인 검토를 거친 개정판을 출간하기로 동의했다”고 22일 밝힌 바 있다.▶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받으며 가장 ‘핫한’ 학자로 떠오른 미국의 앵거스 디턴 교수를 아시나요? 디턴의 한국어판(<위대한 탈출>) 저서에 대한 번역 오류가 최근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이 문제를 최초 제기한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해당 출판사인 한경비피와 모회사인 한국경제신문사, 그리고 ‘교과서 국정화 돌격대’ 자유경제원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디턴에 대해서 왜곡 번역을 했다고 주장합니다. 디턴을 둘러싼 ‘기승전왜곡’의 전말을 김공회 연구위원에게 들어보시죠.‘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지금은 고인이 된 미국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의 전설적인 선수 요기 베라가 남긴 유명한 말이다. 야구의 묘미를 기가 막히게 포착한 표현이지만 다양한 인간사에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앵거스 디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의 저서 <위대한 탈출>(한글 번역판 제목)의 왜곡 사실이 밝혀져 국제적 망신을 당한 출판사 한경비피(BP)와 모기업 한국경제신문사, 그리고 자유경제원을 보면 그렇다. 이를 통해 적어도 보수진영의 ‘디턴 아전인수’가 한동안 줄어들겠거니 했던 기대는, 오는 11월3일에 ‘앵거스 디턴 노벨경제학상 수상 의의와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이라는 심포지엄이 한국경제연구원(한경원) 주최로 열린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무참히 깨졌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안팎의 부담 때문인지 공지 이틀 만에 심포지엄이 취소되었다는 점이다.11월3일 예정된 ‘디턴 심포지엄’은 취소누군가는 인정하기 싫겠지만 다음 사항들은 이미 사실로 드러났다. 첫째, 한국경제신문사 계열 출판사인 한경비피는 지난해 9월 앵거스 디턴의 책 <위대한 탈출>을 왜곡 출판했다. 둘째, 이 왜곡에 기반을 두고 한경비피는 물론 <한국경제>의 정규재 주필, 자유경제원의 현진권 원장 등은 당시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던 토마 피케티에 대한 우파의 ‘대항마’로 디턴을 내세웠다. 셋째, 최근 한경비피가 <위대한 탈출>을 왜곡했다는 것이 알려지자 저자인 디턴과 원출판사인 프린스턴대학교출판부는 한경비피의 한국어판의 판매를 중단시키는 한편 원문을 제대로 복원해 새로운 번역본을 내라고 한경비피에 주문했다. 이 셋은 모두 명백한 사실이다.디턴의 저서 한국어판이 출간된 것은 2014년 9월3일이다. 피케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을 때다. 이것이 못마땅했을까? 정 주필과 현 원장 등은 디턴이 ‘불평등은 성장을 촉진시키는 좋은 것’이라 했다며 디턴을 피케티를 겨냥한 ‘대항마’로 내세운다. 이에 경제학에 눈밝은 많은 누리꾼들이 디턴과 피케티는 대립되지 않는다는 증거들을 잇따라 내놓았다. 하지만 ‘디턴 대 피케티’라는 구도를 고수하던 이들은 요지부동이었다. 어차피 디턴을 어떻게 볼 것이냐는 ‘해석’의 문제라 여겨졌기 때문이다.그러나 지난 18일, 즉 책이 출간된 지 13개월 반이 지난 다음, 그러한 왜곡이 단순히 해석의 차원에 그치는 게 아니라 책의 출간 과정에서 원문의 상당 부분이 변경됨으로써 체계적으로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디턴의 노벨상 수상으로 <위대한 탈출>이 다시금 주목받은 바로 그 시점이다. 이 의혹은 얼마 안 가 사실로 드러났다. 먼저 한국어판을 내놓은 한경비피에서 20일 서문 등에 일부 변경이 가해졌음을 인정하는 공지를 냈고, 22일(현지시각)에는 프린스턴대출판부에서도 한국어판의 왜곡 사실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일련의 조처를 담은 보도자료를 학교 누리집 게시판에 올렸다.(<한겨레> 26일치 8면 참조)한경비피의 왜곡은 의도적인 것일까? 일단, 의도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해도 디턴 교수의 저서가 왜곡 번역됐다는 것과 이를 토대로 자유경제원과 한국경제신문이 ‘디턴 대 피케티’의 대립구도를 만들었다는 것은 각각 엄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시중의 책을 전량 회수하고 원문을 복원해 책을 새로 번역하며 이 새로운 번역은 독립적인 감수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이 책이 불평등에 관한 다른 저작들과 대척점에서 읽혀야 한다고 주장하는 (현 원장의) 서문도 새로운 번역에서 빠져야 한다”는 프린스턴대출판부의 요구는 당연한 것이다. 다만 별다른 증거가 없다면, 한경비피가 자행한 왜곡이 저자의 의도를 특정한 방향으로 ‘재창조’하려는 목적 아래 이뤄졌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단, 실제 왜곡의 양상을 보고 일정하게 짐작할 수는 있다.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디턴 교수
국내 처음 출간된 그의 <위대한 탈출>
<한국경제> 자회사인 ‘한경비피’가
책제목부터 장 제목까지 왜곡 번역
‘디턴 vs 피케티’라는 아전인수까지일생을 불평등 연구한 디턴 교수는
저개발국의 빈곤 등에 주목한 학자
성장제일주의자로 ‘해석’된 그는
<한겨레>에 직접 보내온 메일에서
되레 성장의 부정적 측면 우려해“피케티 작업에 많은 영감 받아”프린스턴대출판부의 조처가 미온적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겠다. 하지만 최초 의혹 제기가 10월18일(한국시각)이고, ‘번역 왜곡’을 확인한 프린스턴대출판부의 보도자료가 나온 것이 22일(현지시각)이었다. 프린스턴대출판부가 <위대한 탈출>의 한국어판에서 어느 정도의 왜곡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기에 결코 충분한 기간이 아니다. 실제로 지난 27일 프린스턴대출판부의 고위관계자는 <한겨레>와의 전자우편 인터뷰에서 “당분간은 이 문제에 대한 공식 입장 발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이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여전히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조처도 나올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스웨덴왕립고등과학원은 디턴의 노벨상 수상 이유를 ‘소비(consumption), 빈곤(poverty), 후생(welfare)’이라는 세 개의 키워드로 요약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게 소비다. 그것은 개인의 후생 수준을 직접적으로 반영할 뿐만 아니라 흔히 소득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빈곤이라는 것도 소비의 차원에서 재정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1970년대 초반부터 소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거시적 데이터에 의존하는 기존의 지배적인 접근을 비판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소비를 측정하는 기법들을 개발했고, 이를 현실에 응용해 다양한 연구 성과를 쌓아왔다. 현재 프린스턴대 누리집에 올라온 디턴 교수의 페이지에는 그의 연구 관심사로 세계·인도의 빈곤, 건강과 경제학, 가계 조사라는 세 가지 주제가 명시돼 있다.일생 동안 학술논문을 쓰는 데 온 힘을 써온 디턴 교수에게 대중교양서인 <위대한 탈출>은 신선한 시도였을 것도 같다. 하지만 이 책은 그간 그가 집중했던 두 가지 주제, 즉 건강과 경제적 불평등을 한데 버무려냈다는 점에서 그의 주요 연구 업적들과 궤를 같이한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불평등의 세계적 현황을 보여주는 대목에서 그는 자신의 소비(자)에 대한 연구들에 의거해 보다 정확하고 의미있는 비교 방법을 다소 복잡하게 설명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책을 잘 읽어보면 디턴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그의 핵심적인 연구 업적의 일면까지 엿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경비피의 한글 번역본에서는 그런 부분들이 적지 않게 잘려 나갔다. 재출간에서 각별히 신경쓸 대목이다.한편, 디턴 교수는 자신의 책 <위대한 탈출>의 한국어 번역본에 대한 왜곡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하고 관련 증거를 성실하게 모아준 데 대해서 감사를 표하면서, 그 보답으로 간단하게나마 전자우편 인터뷰에 응했다. 다만 번역 왜곡에 대한 질문은 삼간다는 조건을 걸었다. 현재 이 문제를 프린스턴대학교출판부에 전적으로 맡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에서 디턴 교수는 그간 왜곡된 번역본 때문에 국내 독자들을 혼란케 했던 성장, 불평등, 피케티, 재분배 등에 대한 그의 견해를 비교적 명쾌하게 밝혔다. 디턴 교수는 한국시각으로 25일 새벽, 아래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신을 보내왔다.-노벨 경제학상의 수상 이유로 소비, 빈곤, 후생이라는 세 개의 키워드가 제시되었다. 이를 당신의 언어로 간략히 표현한다면?“그것들은 모두 사람들이 행동하는 방식과 그것이 그들의 복리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갖느냐에 대한 연구다. 사람들의 행동 동기에 관한 것인 동시에, 무엇이 그들의 삶을 좋게 만드는가에 대한 것이다.”-한경비피와 그 모회사인 한국경제신문, 그리고 자유경제원은 당신의 <위대한 탈출>의 핵심 논지를 ‘불평등은 성장을 촉진하므로 좋은 것이다’라는 식으로 제시했다. 결국 당신은 한국에서는 성장론자, 불평등 옹호론자로 알려지게 되었는데?“모든 분별 있는 사람들이 그렇듯이 나는 친성장(pro-growth)론자이다. 그러나 무조건 성장이 좋다는 건 아니다. 불평등은 성장의 부산물일 수도 있고, 성장을 위한 인센티브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불평등)은 성장을 질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장단점에 적절한 균형을 맞춰주는 것이 사회의 역할이다.”-최근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 같다.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는가?“최상층 소득분포 자료에 관한 피케티와 사에즈의 연구가 폭넓은 관심과 연구를 촉발한 기폭제가 되었다. 이들의 연구가 있기 전에는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이득이 최상층에 집중되는지를 알지 못했다. 나는 평생 동안 불평등에 대해 연구해왔지만, (상대적으로 젊은) 그들의 작업이 매우 중요하고 많은 영감을 준다고 생각한다.”-<위대한 탈출>에서 당신은 특히 미국에서 불평등이 커지는 데 우려를 표했다. 한국도 다르지 않다. 양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가계소득이 정체되고 있다. 불평등 심화가 경제의 성장잠재력도 짓누르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성장’에만 목을 매고 있다. 부자와 대기업을 위해 세금을 깎아주는 반면, 뒤처진 사람들을 위한 공공지출에는 인색하다. 당신은 이것이 올바른 정책방향이라고 보는가?“나는 내가 직접 연구하지 않은 나라의 국내정책에 대해서는 잘 언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성장의 과실이 널리 공유되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이것은 먼저 이득을 본 사람들(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먼저 ‘탈출한’ 사람들)이 세금을 내서 뒤처진 사람들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최근에 몰두하고 있는 연구에 대해 짧게 알려달라.“중년의 백인 미국인들, 특히 교육 수준이 비교적 낮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망률과 질병률의 급작스런 증가에 대해 연구중이다. 또한 무작위대조시험(RCT)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과 얻을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중이다.”국정교과서 올인한 자유경제원장
시장주의 설파한 한국경제 주필이
왜곡된 해석 확대 재생산 앞장서
번역 통해 보수주의 확산하려면
밀턴 프리드먼 같은 책 이용하라디턴 교수의 원서명은 <대탈출>
일어판에도 없는 ‘위대한 탈출’과
‘불평등이 성장 부른다’는 부제는
왜? 무슨 의도로 삽입되었을까?
시장주의 위해 그를 이용한 걸까?그는 피케티와 비슷한 방식으로
미국의 최상위 소득 고찰하기도
불평등의 문제점을 지적한 대목
고소득 은행가·금융가 비판 단락
어찌된 영문인지 번역에서 누락불평등 양상 다룬 5장 왜곡 심해실제로 무엇이 왜곡되었는지 살펴보자.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제목이다. 디턴 책의 원제목은 <대탈출: 건강, 부, 그리고 불평등의 기원>(The Great Escape: Health, Wealth, and the Origins of Inequality)이다. 이것이 한글판에서는 <위대한 탈출: 불평등은 어떻게 성장을 촉발시키나>로 옮겨졌다. 부제목에 큰 변경이 가해진 것이다. ‘불평등은 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자유경제원의 생각이 번역 과정에 투영되었다는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과감한 변경을 고려하면, ‘위대한 탈출’이라는 주제목도 심상치 않다. ‘The Great Escape’라는 제목은 국내에도 잘 알려진 할리우드 영화에서 따온 것으로, 흔히 ‘대탈출’이라고 번역된다. 이런 선례를 두고 굳이 긍정적인 뉘앙스가 강한 ‘위대한 탈출’을 쓴 이유가 무엇일까? 참고로 같은 책의 일본어 번역본의 제목은 ‘대탈출’이다. 이것만 봐도 본문에서 가해질 엄청난 텍스트 변경과 왜곡의 ‘방향’이 어떨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제목을 바꿨으니, 각 부와 장의 제목, 장에 딸린 소절들의 제목을 바꾸는 것은 이미 문제가 아닐 것이다. 실제로 제목뿐 아니라 각 부와 장의 편성도 슬쩍 바뀐다. 왜 책 전체에 대한 ‘도입 성격의 개괄’인 제1장을 제1부 안에 넣었을까?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대목은 각 부의 제목 번역에서는 ‘위대한 탈출’이 아니라 ‘대탈출’이라고 쓰고 있다는 점이다.한편, 한경·자유경제원 및 그 주변의 우파 지식인들이 그간 디턴을 피케티와 대척점에 선 것처럼 묘사했던 것을 생각하면, 왜곡은 물질적 불평등의 양상을 다루는 제5장에서 특히 심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실제로 제5장은 제목부터 바뀐다. 원문의 ‘미국에서 물질적 풍요’라는 제목은, 그 아래 있는 절들을 봤을 때 ‘오늘날 대표적인 선진국 미국이 겉으로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기엔 어두운 이면도 있으며, 이러한 미국의 외관상 풍요를 입체적으로 조명하겠다’라는 의도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판의 ‘물질적 웰빙에 변혁을 가하다’라는 제목은 이러한 이중적 과정을 표현하기엔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장 제목 변경의 효과는 절 제목의 변경으로써 강화된다. 원문은 미국의 경제성장-빈곤-소득분배를 순차적으로 살핀 뒤, 불평등의 원인을 일(직업 간 격차 등), 정치, 가계구성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고찰한다. 특히 디턴 교수는 피케티와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미국의 최상위 소득’을 고찰한다. 그는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불평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왜 중요한가를 역설하면서 장을 끝맺는다.이에 비해 한경비피는 각 절의 제목을 바꾸는 데 각별한 ‘편집상’의 노력을 기울인 것처럼 보인다. ‘미국의 경제성장’(원문)을 살펴보는 절을 ‘물질적 진보라는 황금사과’(번역본)에 대한 것으로 탈바꿈시켜, 애초 저자가 경제성장의 명암을 두루 보겠다는 취지를 무색하게 했다. 원문에는 세 개의 절로 나뉜 것이 한글판에서 하나로 뭉뚱그려지기도 했다. 이는 각 절을 나눔으로써 각각에 상이한 목적과 위상을 부여하려는 저자의 의도를 훼손하였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불평등’에 대한 그의 관심의 강도를 낮추는 결과를 낳았다. 출판사는 ‘불평등’이라는 말이 너무 반복적으로 나와 독자들의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한 것일까?장과 절의 제목 변경은 본문 텍스트 자체의 변경으로 이어진다. 제5장의 세 번째 문단으로, 장의 전반적 성격을 규정하는 다음의 구절을 보자.“지난 수백 년에 초점을 맞춰 미국의 물질적 웰빙부터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미국을 선택한 이유는 이야기가 극적이기도 하고 이 책의 중심 주제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웰빙 수준이 향상될 때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므로 빈번히 개인 간 격차가 벌어진다. 변화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종종 불공평하다.”(<위대한 탈출>, 196쪽)자, 어떤 느낌이 드는가? ‘웰빙 수준의 향상’, 곧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불평등이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럽다는 느낌, 그러니 불평등을 받아들이고 이용할 줄도 알아야 한다는 깨달음 같은 것이 전해지지 않는가? 적어도 불평등 발생의 불가피성을 말하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뭔가 좀 애매모호하다. 사실 위 인용문은 원문을 전부 번역한 게 아니다. 번역본의 마지막 문장 ‘~불공평하다.’ 아래 원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문장이 곧장 이어진다.“불평등을 고찰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것은 우리가 삶의 개선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 누가 이익을 얻고 누가 뒤처지는지를 고찰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며, 불평등은 그 자체적인 효과를 내기 때문이기도 하다. 만약 불평등이 뒤처진 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식으로 작용한다면, 불평등은 성장을 확산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물질적 개선을 깎아내릴 수도 있고, 심지어 그것을 통째로 날려버릴 수도 있다. 불평등은 뒤처진 이들의 사기를 북돋아 그들의 삶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반대로 불평등은 아주 고약해질 수도 있고, 이익이 소수의 수중에 너무 집중된 나머지 경제성장을 질식시키고 경제의 작동에 차질을 빚기도 한다.”(한국어판에 누락된 부분)체계적으로 용의주도하게 왜곡 실행이쯤 되면 한글 번역본에서 느껴지는 애매모호함의 정체가 드러난다. 분명 저자는 번역본의 생략된 부분에서 불평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매우 명확하게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를 뺐으니 논지가 애매모호해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앞서 ‘이 책의 중심 주제’라는 표현까지 있음을 보면, 이 생략이 독자에게 초래하는 이해의 손실은 어마어마한 것이다. 5장의 첫인상뿐 아니라 책 전체의 취지를 왜곡하고 있으니 말이다.한 가지 사례를 더 들어보자.“소득이 가장 높은 사람들 중에 잘 나타나는 다른 집단은 은행과 헤지펀드 회사의 고위 경영진이다. 이들도 아주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으며 자신이 받은 교육과 창의성을 사용해 새로운 상품을 고안한다. 모든 경제학자가 이런 새 금융 상품이 상품을 만든 사람을 위해 만들어내는 수익에 부합하는 사회적 가치를 갖는가 하는 문제에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는다.”(번역본 236쪽)여기서 디턴은 피케티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최상위 소득자 집단, 특히 은행가·금융가가 거두는 높은 소득의 사회적 정당성을 따지고 있다. 이에 대한 디턴의 견해는? 번역본을 보면 그의 견해를 도통 알 수 없다. 영문판에 있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한글판에는 빠져 있기 때문이다.“다만, 지금까지 나타난 금융혁신 중에서 마지막으로 쓸모있었던 것은 현금자동화기기(ATM)였다는 폴 볼커의 언급에 동조하지 않기는 어렵다. 은행가와 금융가에게 그들의 사회적 인센티브를 과장되게 만드는 사적인 인센티브가 있다면, 우리는 지나치게 많은 은행업과 금융업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여기서 만들어지는 불평등을 방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결국 한글판의 내용만 보면 은행가·금융가가 거두는 높은 소득에 대해 경제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는 진술 외에 디턴의 시각은 알 수가 없다. 이것이 왜곡이 아니라면, 우리는 왜곡이라는 말의 뜻을 새롭게 정의해야 할 것이다.이밖에도 5장에는 수많은 생략과 문맥 변형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물론 이 중에는 전체 논지의 전개상 없어도 될 것 같은 부분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특별한 계약이 맺어져 있는 게 아니라면 그것을 뺄 권한이 번역본을 내는 출판사에 있는지 의문이다.지금까지 봤듯이 <위대한 탈출> 번역 왜곡의 특징은 다름아닌 그 ‘체계성’에 있다. 곧 책의 제목 변경→책 전체의 편성 변경→장 제목 변경→절 제목 변경→텍스트 변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을 따라 왜곡은 매우 용의주도하게 실행된 것이다. 이 왜곡을 주도한 쪽이 외국 저작의 번역을 통해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자 한다면, 처음부터 그런 목적에 부합하는 저작을 고르면 된다. 한경비피에서 ‘신자유주의’의 대표 이론가인 밀턴 프리드먼의 저작이 출판된 것도 그런 식이었다. 이번처럼 ‘불평등은 성장의 원동력이다’라는 이데올로기에 동의하지 않는 저자의 저작을 굳이 왜곡해서 번역한 뒤 사실과 다르게 광고하는 것은 너무도 대담한 일이다.경제성장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드물다. 이 세계에서 여전히 아주 많은 사람들에게는 오직 빈곤 탈출을 위해서라도 경제성장이 절실하다. 선진국 사람들도 다르지 않다. 다만 이들은 이미 부유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소득으로 일정 정도의 삶의 만족감을 더 느끼기 위해선 상대적으로 많은 소득이 필요할 뿐이다. 분명 성장은 <위대한 탈출>에서 디턴이 강조하는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이고, 그런 점에서 그는 ‘성장론자’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에서라면, 한경비피 등에서 디턴에 반대된다고 내세웠던 피케티도 성장론자다. 디턴의 말을 빌리면, ‘모든 분별 있는 사람들’은 성장론자다.그러나 문제는 바로 그 성장이 아무런 대가 없이 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때로 경제의 더 높은 성장은 거기 속한 특정 계층이나 집단의 더 많은 희생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것은 불평등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특정 방식의 성장 추구가 불평등을 낳아 궁극적으로 성장의 발목을 잡는 자가당착적 상황 앞에서는, 아무리 성장론자라 해도 조세를 통한 재분배같이 불평등을 완화시킬 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최근 불평등 증가를 걱정하는 주류경제학자들의 입장이 대체로 이렇다.디턴은 성장론자인가?경제성장은 똑같은 투입물을 가지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으므로, 우리는 수치상의 성장률뿐 아니라 서로 상충되는 다양한 가치들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성장률은 조금 떨어져도 불평등을 완화하고 경제의 지속가능성도 높일 수 있는 방식도 한 번 추구해볼 만도 하다. 또한 경제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도 사실은 가변적이라는 점도 중요하다. 경제의 크기를 재는 데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가 국내총생산(GDP)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합의된 표준에 의거해 산출되고 작성된다.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나라들은 유엔이 2008년 자산과 비용의 개념, 각 항목의 가치산정 방식 등에 대해 규정한 국민계정체계(SNA 2008)를 쓴다. 결과적으로 지디피가 삶의 질이나 물질적 풍요를 나타내는 적합한 지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가 지디피를 고수하는 한 그런 것들을 더욱 잘 반영하도록 지디피의 산출 기준을 바꿀 수도 있다.성장과 분배는 종종 대립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 누군가가 분배 쪽에 방점을 찍는다고 해서 그를 ‘반성장론자’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어떤 맥락 속에서 누가 성장의 중요성, 나아가 성장을 촉진하기도 하는 불평등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해서 그를 ‘불평등 옹호자’로 부를 수는 없는 일이다. 이렇게 보면, ‘성장 대 분배’라는 식의 구도는 잘못된 것이라고 해야겠다. 그보다는 ‘어떤 성장인가’가 더 중요한 질문이 아닐까? 성장론자로서 디턴은 좀더 포용적이고, 더 많은 사람이 함께 그 과실을 누리는 성장을 선호하는 게 분명해 보인다. 다만 한글 번역본 <위대한 탈출>은 그의 이런 면모를 찾기 어렵게 만들었지만 말이다.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
노벨상 수상 소식이 알려진 12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열린 축하행사에서 앵거스 디턴 교수(가운데)가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동료 교수 크리스토퍼 앨버트 심스(왼쪽) 등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P 연합뉴스
국내 처음 출간된 그의 <위대한 탈출>
<한국경제> 자회사인 ‘한경비피’가
책제목부터 장 제목까지 왜곡 번역
‘디턴 vs 피케티’라는 아전인수까지일생을 불평등 연구한 디턴 교수는
저개발국의 빈곤 등에 주목한 학자
성장제일주의자로 ‘해석’된 그는
<한겨레>에 직접 보내온 메일에서
되레 성장의 부정적 측면 우려해“피케티 작업에 많은 영감 받아”프린스턴대출판부의 조처가 미온적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겠다. 하지만 최초 의혹 제기가 10월18일(한국시각)이고, ‘번역 왜곡’을 확인한 프린스턴대출판부의 보도자료가 나온 것이 22일(현지시각)이었다. 프린스턴대출판부가 <위대한 탈출>의 한국어판에서 어느 정도의 왜곡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기에 결코 충분한 기간이 아니다. 실제로 지난 27일 프린스턴대출판부의 고위관계자는 <한겨레>와의 전자우편 인터뷰에서 “당분간은 이 문제에 대한 공식 입장 발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이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여전히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조처도 나올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스웨덴왕립고등과학원은 디턴의 노벨상 수상 이유를 ‘소비(consumption), 빈곤(poverty), 후생(welfare)’이라는 세 개의 키워드로 요약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게 소비다. 그것은 개인의 후생 수준을 직접적으로 반영할 뿐만 아니라 흔히 소득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빈곤이라는 것도 소비의 차원에서 재정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1970년대 초반부터 소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거시적 데이터에 의존하는 기존의 지배적인 접근을 비판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소비를 측정하는 기법들을 개발했고, 이를 현실에 응용해 다양한 연구 성과를 쌓아왔다. 현재 프린스턴대 누리집에 올라온 디턴 교수의 페이지에는 그의 연구 관심사로 세계·인도의 빈곤, 건강과 경제학, 가계 조사라는 세 가지 주제가 명시돼 있다.
시장주의 설파한 한국경제 주필이
왜곡된 해석 확대 재생산 앞장서
번역 통해 보수주의 확산하려면
밀턴 프리드먼 같은 책 이용하라디턴 교수의 원서명은 <대탈출>
일어판에도 없는 ‘위대한 탈출’과
‘불평등이 성장 부른다’는 부제는
왜? 무슨 의도로 삽입되었을까?
시장주의 위해 그를 이용한 걸까?그는 피케티와 비슷한 방식으로
미국의 최상위 소득 고찰하기도
불평등의 문제점을 지적한 대목
고소득 은행가·금융가 비판 단락
어찌된 영문인지 번역에서 누락
디턴 책의 원제목과 부제는 ‘대탈출: 건강, 부, 그리고 불평등의 기원’(The Great Escape: Health, Wealth, and the Origins of Inequality)이다. 이것이 한글판에서는 ‘위대한 탈출: 불평등은 어떻게 성장을 촉발시키나’ 로 바뀌었다. 같은 책의 일본어 번역본의 제목도 ‘대탈출: 건강, 돈, 격차의 기원’이다. 굳이 긍정적인 뉘앙스가 강한 ‘위대한’을 넣고 ‘불평등은 어떻게 성장을 촉발시키나’를 부제로 삼은 이유가 무엇일까?
지난 12일(현지시각) 노벨 경제학상 수상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기 위해 디턴 교수가 프린스턴대학 내에서 카트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앵거스 디턴 이메일 인터뷰 전문-Congratulations on your winning the Nobel Prize. The Committee for the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summarised your work in three keywords: consumption, poverty and welfare. Could you explain how you have developed these topics in your lifelong work, and how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THE NOBEL COMMITTEE DID A MUCH BETTER JOB THAN I CAN. THEY ARE ALL ABOUT HOW PEOPLE BEHAVE, AND WHAT THAT MEANS FOR THEIR WELLBEING. ABOUT WHAT MAKES PEOPLE TICK, AND WHAT MAKES THEIR LIVES GOOD.-Hankyung BP, the publisher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your The Great Escape, and its affiliate newspaper, The Korea Economic Daily, have represented your book in such a way that its main argument is ‘inequality is good in that it promotes growth’. They also insist that your winning the Nobel Prize signifies the committee’s decision to take side with ‘promoting growth’ rather than ‘fighting against inequality’. As a result, you are known in Korean society as a pro-growth (and even pro-inequality) economist. Would you agree to this view?=LIKE ALL SENSIBLE PEOPLE I AM PRO-GROWTH, BUT NOT AT ALL COSTS. INEQUALITY CAN BE A BY-PRODUCT OF GROWTH, IT CAN BE AN INCENTIVE TO GROWTH, BUT IT CAN ALSO CHOKE OFF GROWTH. SOCIETIES NEED TO BALANCE THE PROS AND THE CONS.-It is obvious that inequality sometim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as well as the persons living in it. But, recently, it appears that there is a growing concern from economists about inequality. Could you explain why? Perhaps this question is about the motivation which made you write The Great Escape in 2013, for it is in a sense exceptional in that your work has been mostly for scholars, not for the public.=THINK THAT PIETY AND SAEZ’S WORK ON DOCUMENTING THE VERY TOP OF THE INCOME DISTRIBUTION WAS AN IMPORTANT IMPETUS TO THE BROADER DEBATE. BEFORE THAT WE DIDN’T KNOW JUST HOW MUCH OF THE GAINS WERE FOCUSED AT THE VERY TOP. I HAVE WORKED ON INEQUALITY THROUGHOUT MY LIFE, BUT LIKE OTHERS, FOUND THEIR WORK VERY IMPORTANT AND INSPIRING.-In The Great Escape, you have expressed your concern about the growing inequality in the US. But Korea is not so different. The economy is being polarised very fast whilst, especially, household incomes are shrinking or stagnating. For the ten years up to 2014, household debt almost doubled while the nominal size of the economy grew by 1.6 times. While 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 remains as low as 4%, more than 20% of those aged 15-29 are either out of work or ‘under-utilised’. In brief, it seems that growing inequality is choking up the ability of the economy to develop in Korea. Both the suicide rate and poverty rate for the elderly are highest in the world. But the government is still obsessed in ‘growth’; they are cutting taxes for the rich and big companies still expecting there would be some trickle-down effect, rather than raising expenditure for the ‘left behind’. Do you think it is the right policy direction?=DO NOT COMMENT ON INTERNAL POLICIES IN COUNTRIES THAT I HAVE NOT STUDIED.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 BENEFITS OF GROWTH BE WIDELY SHARED, AND THIS MEANS THAT THOSE WHO BENEFIT FIRST MUST PAY TAXES AND HELP THOSE LEFT BEHIND.-What are you working on recently? Is there any plan of writing a book for the general public like The Great Escape?=ON A DISTURBING INCREASE IN MORTALITY AND MORBIDITY AMONG MIDDLE-AGE WHITE AMERICANS, ESPECIALLY THOSE WITH RELATIVELY LITTLE EDUCATION. ALSO ON WHAT WE CAN AND CANNOT LEARN ABOUT RANDOMISED CONTROLLED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