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대우조선해양과 노키아…공적자금의 허와 실 `두 얼굴`

자유경제원 / 2016-07-02 / 조회: 7,225       미디어펜
아낌없이 주려는 정부

요즘 뉴스나 신문의 경제면에서 가장 떠들썩했던 이슈가 정부의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에 관한 것이었다. 지난해 말부터 4조 2천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었고 1998년 이후 공적자금 투입 누적액만 약 10조 원에 달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올 1분기에 다시 영업 손실을 보면서 또다시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생가능성이 불투명한 회사에 또다시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을 투자하는 것이 과연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정부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을까?

대우조선해양이 이러한 위기는 이미 예전부터 예고되었던 것이었다. 중국 조선업의 급성장과 더불어 전 세계적 경기침체로 인해 수년전부터 국내 조선업의 위기설이 대두되어 왔고 이에 따라 미래를 대비한 수익구조 개편과 같은 대비책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왔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진들은 당장의 실적에 급급해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고 인건비의 비중을 줄여도 모자란 상황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임직원들의 성과급을 지급하는데 이용할 정도로 자신들의 회사를 살리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도 않았다. 

결국 대우조선해양은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지금과 같은 현실을 맞게 된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음에도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또다시 공적자금을 요구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이러한 상황에 처한 것에 대해 대우조선해양만이 책임을 가진 것은 아니다. 과거 대우조선해양에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상당수의 지분을 갖게 된 산업은행 역시 이러한 상황을 어느 정도는 예측했을 것이고 이들 역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대응을 했어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따라서 산업은행, 그리고 산업은행의 실소유주이자 운영주체라고 할 수 있는 정부의 잘못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우조선해양에 다시 공적자금을 투입하고 회생시키려는 노력을 굳이 정부가 할 필요는 없다. 지금에서라도 잘못된 것을 고치고 정부입장에서는 버릴 것을 과감히 버려 안 그래도 부족하다고 주장하는 세금을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 양적완화까지 들먹이며 회생가능성조차 불투명한 대우조선해양에 막대한 국민들의 혈세를 낭비하는 일은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정부의 역할이 아니다. 정부가 해야 할 진정한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사진=미디어펜

 
일각에서는 대우조선해양에 공적자금을 투입하지 않아서 대우조선해양이 부도가 나게 된다면 조선업 및 지역경제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들며 대우조선해양에 공적자금을 투입해야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시장경제체제가 잘 자리 잡은 선진국들에서는 하나의 사기업의 위기에 국가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예가 없다.

이와 관련 핀란드의 경우 자국GDP의 20%, GDP성장률의 25%정도를 차지하던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시장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도태대고 도산의 위기에 처했을 때 핀란드정부에서는 노키아에 회생을 위한 단 한푼의 공적자금도 지급하지 않았다. 

대신 핀란드 정부는 실직자들의 재취업 및 실직수당 등 실직자 구제프로그램과 새로운 산업 및 벤처의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개편을 꾀했고 이러한 부분에 예산을 투입하여 현재 성공적으로 산업구조를 개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정부의 역할은 이런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부는 하나의 기업이 망해 그 주변의 지역경제가 침체될 것을 걱정하여 회사를 구제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망하게 되어 실직자들이 생겨나면 그러한 실직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대응하지 못하고 도태된 기업은 시장의 원리에 따라 시장에서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 자신들 스스로 회생할 궁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적완화까지 들먹이며 회생가능성조차 불투명한 대우조선해양에 막대한 국민들의 혈세를 낭비하는 일은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정부의 역할이 아니다. 정부가 해야 할 진정한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권수민 동국대 경영학과

  
▲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진들은 당장의 실적에 급급해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고 인건비의 비중을 줄여도 모자란 상황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임직원들의 성과급을 지급하는데 이용할 정도로 자신들의 회사를 살리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도 않았다./사진=연합뉴스


(이 글은 자유경제원 제20회 시장경제 칼럼 공모전 '하이에크상(2등)' 수상작으로, 자유경제원 '젊은함성' 게시판에서 볼 수 있습니다.)

[권수민]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7915 [보도] 대우조선해양과 노키아…공적자금의 허와 실 `두 얼굴`
자유경제원 / 2016-07-02
2016-07-02
7914 [보도] "팩트 없는 취향 짜깁기"…EBS 다큐프라임 이유 있는 자살골
자유경제원 / 2016-06-30
2016-06-30
7913 [보도] 조롱거리 된 맥통법…시장 가로막는 규제천국
자유경제원 / 2016-06-30
2016-06-30
7912 [보도] 브렉시트의 두 얼굴…영국은 왜 EU를 탈퇴했나
자유경제원 / 2016-06-30
2016-06-30
7911 [보도] EBS 다큐 `민주주의`…칼 맑스 빼닮은 반기업 선동
자유경제원 / 2016-06-28
2016-06-28
7910 [보도] `민주주의` 악마의 편집?…EBS 다큐프라임의 불편한 선동
자유경제원 / 2016-06-28
2016-06-28
7909 [보도] "EBS, 권위적 자원배분이 민주적? 편향·저질!"
자유경제원 / 2016-06-27
2016-06-27
7908 [보도] "中企에 불리한 금융관행 `어음결제`부터 없애야"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7 [보도] 중소기업계 "대기업 위주 금융관행 개선…어음제도 폐지해야"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6 [보도] 약자 돕고 싶다면 `평등` 아니라 `자유`를 택하라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5 [보도] 학교서 잊혀져 가는 6·25…맥아더 경고를 기억하자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4 [보도] 기초예술? 좌익문화진영의 `거지근성`이 빚은 언어유희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3 [보도] 중소기업계, “대기업에 쏠린 금융자원 공정배분 이뤄져야”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2 [보도] "어음제도 점진적 폐지돼야"… 금융자원 공정배분 주장한 中企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
7901 [보도] 박성택 중기중앙회장 "어음 결제 폐지돼야"
자유경제원 / 2016-06-26
2016-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