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자유발언대] 값싼 등록금은 값싼 인재를 양성한다

노태규 / 2023-02-17 / 조회: 4,427       매일산업뉴스

2023년 서울대와 주요 대학에서 학부 등록금을 15년째 동결했다는 뉴스를 봤다. 생각해보니 대학 입학 후 등록금이 인상되지 않았다. 사실 대학들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등록금을 인상하고 싶어하지만 정부의 등록금 규제로 재정 피해를 보고 있다고 한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을 규제하는 법적 제도는 2가지가 있다. 먼저 고등교육법에 규정된 ‘법정 상한’제도이다. 이 제도는 최근 3년치 소비자물가상승률 평균에서 1.5배를 곱해 대학 등록금 인상폭을 제한하고 있다. 이번 연도 법정 상한 인상폭은 4.05%로 각 대학에서 등록금을 최대 4.05%까지 인상할 수 있다.


정부는 ‘국가장학금Ⅱ 규제’제도도 도입하고 있다. 정부는 2012년부터 등록금을 동결·인하한 대학교와 교내 장학금을 유지·확충한 대학 내에서만 국가장학금Ⅱ를 지원하고 있다. 등록금을 인상하게 되면 국가장학금Ⅱ를 받지 못하는 셈이다. 법적으로 등록금을 인상해도 되지만 실제로 대학교가 등록금을 인상하지 못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정부의 등록금 규제들 때문에 대학들은 교직원의 임금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인건비의 한계로 교직원의 임금도 올리지 못해서 교직원들의 반발이 심하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 혁명을 전문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과 강사분들을 섭외하기 힘들다고 한다.


시설과 연구 투자에도 제약을 받고 있다. 교육을 위한 실습 장비들과 시설이 대부분 노후화되었지만 물가가 올라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한다. 결국 대학들의 교육 부분의 투자 축소는 교육 품질을 하락시킨다.


경제학적으로 가격을 정부가 통제하게 되면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대학 등록금 규제 시 대학들은 적자를 줄이기 위해 낮은 품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저렴한 등록금에 품질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정책 의도와는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국내 사립대학교의 등록금 비중은 53.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수입구조가 다각화되어 있지 않아 재정난 악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저출산 문제로 대학 정원 수가 감소하고 높은 물가와 높은 금리로 대학교 재정이 더욱더 악화될 것이다. 교육부는 대학의 재정 구조를 규제하고 있지만 대학의 질 높은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정부의 등록금 규제로 인해 대학교들은 등록금을 인상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값싼 등록금을 지불해 단기적인 시각으로 좋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인 시각으로 보면 학생들은 값싼 등록금을 지불했기 때문에 대학에서 질 낮은 교육을 받아 세계적으로 경쟁력 없는 인재로만 졸업하게 될 것이다. 정부의 등록금 규제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피해가 갈 것이다. 정부는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폭을 자율화해야 한다.


노태규 자유기업원 인턴연구원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242 [칼럼] 정부개입 최소화· 시장자율성 극대화-아르헨티나 밀레이식 개혁에 세계가 주목
전예지 / 2025-04-16
전예지 2025-04-16
241 [칼럼] 제조업 부활, 국내외 자본의 자유로운 투자 환경에 달려있다
박강수 / 2025-04-09
박강수 2025-04-09
240 [칼럼] AI 기술, 기업의 자율적 혁신 장려 정책이 바람직
허원철 / 2025-04-02
허원철 2025-04-02
239 [칼럼] 지역화폐, 재정낭비 줄이는 방향으로 개선 못하면 폐지해야
정구범 / 2025-03-25
정구범 2025-03-25
238 [칼럼] 수도권 규제, 개별 지역 존립과 성장 기회 막는다
김진이 / 2025-03-18
김진이 2025-03-18
237 [칼럼] 1가구 1주택 정책, 사유재산과 자유로운 부동산 시장 거래 침해
이준혁 / 2025-03-11
이준혁 2025-03-11
236 [칼럼] 전기차, 보조금 의존 벗어나 경쟁력 확보해야
조재운 / 2025-03-06
조재운 2025-03-06
235 [칼럼] 트럼프의 관세 조치,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악영향
이예담 / 2025-02-25
이예담 2025-02-25
234 [칼럼] 정부의 재정 지출과 통화량 증가가 물가상승 원인
정유진 / 2025-02-18
정유진 2025-02-18
233 [칼럼] 대기업 규제 완화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해야
최정윤 / 2025-02-11
최정윤 2025-02-11
232 [칼럼] 상속세 완화로 기업의 도약 지원할 때
임민정 / 2025-02-04
임민정 2025-02-04
231 [칼럼]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 재정비가 필요한 동물보호법
오주연 / 2025-01-22
오주연 2025-01-22
230 [칼럼] 국민연금, 세대별 차등화 넘어선 구조개혁 필요하다
김윤주 / 2025-01-15
김윤주 2025-01-15
229 [칼럼] 도서정가제, 독서문화 저변 확대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
김한슬 / 2025-01-08
김한슬 2025-01-08
228 [칼럼] 기업의 자율성과 청년 배제된 `65세 정년연장`, 소수에 혜택 돌아가
정유진 / 2025-01-02
정유진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