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군 경력 불인정'이 여전히 논란이다. 기획재정부가 전국의 모든 공공기관 및 공기업에게 “승진심사 시 군 복무 기간을 인정하지 말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한 이후 청년 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
군 가산점제가 위헌 판결을 받은 뒤, 공공영역에 남은 군 복무 보상책은 ‘군 호봉제’와 ‘군 경력 인정제’다. 그러나 현행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군 호봉제는 임의규정일 뿐, 어긴다고 해서 처벌이나 인센티브가 있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에서는 공공기관의 생산성 저하를 이유로 직무급제로의 전환을 권고하고 있어, 군 호봉제를 실시하는 공공기관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군 경력 인정제의 경우 법적 근거는 없고, 병역이행자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각 공공기관의 자율에 따라 실시되어 왔던 것이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기획재정부가 공문을 내놨다. 공공기관이 무시하면 그만인 ‘군 호봉제’와, 무시할 수 없는 ‘중앙부처 공문’의 무게는 다르다. 실제로 많은 공공기관과 공기업은 일찌감치 여성할당제를 실시하거나 군 경력 인정제를 폐지하여 중앙부처의 기조에 발을 맞추는 모습이다.
일례로 모 국립대에서는 기획재정부 공문이 제작되기 전인 2020년부터 기존 재직자를 포함한 모든 남성 직원의 호봉 책정과 승진 심사에서 군 경력을 배제하고 있다.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그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해당 국립대 직원 A씨는 “남성 직원들의 사기 저하가 심각하다. ‘노느라 2년 늦게 들어온 게 아니라 나라 지키느라 그런 건데, 그걸 완전히 무시하는 게 진짜 평등인가’라는 반응이 대다수다. 일부 직원들은 군복무 기간을 인정해 주는 사기업으로의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 나도 빨리 이직하지 않으면 사기업에까지 군 경력 인정 금지를 강요하는 법안이 만들어지지는 않을까 걱정스럽다”라 밝혔다.
사기업은 선택의 자유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이 군경력을 인정하지 않든, 여성할당제를 하든 국가가 간섭할 권리가 없다. 그러나 공공기관에는 조금 다르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라면, 국가를 지킨 병역이행자에 대해 최대한의 예우로 보답해야 할 당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군 경력 불인정 정책은 결국 공공기관과 청년 양측에 피해를 끼칠 것이라는 측면에서도 부정적이다. 같은 일을 하고도 낮은 임금을 받게 되어 실질적 불평등을 당하게 된 남성 직원들의 업무 적극성이 급감하고, 이는 공공기관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며, 결국 신규채용 감축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는 아직 사회에 진입하지 못한 청년의 기회까지 빼앗는 결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군 경력 불인정 논란은 병역이행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박탈하고 청년의 기회까지 저해하는 불합리한 정책이 낳은 사건이다. 정부가 군 경력 불인정 방침을 철회하고, 공공영역의 군 복무 보상책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김승주 자유기업원 인턴연구원
NO.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242 | ![]() 전예지 / 2025-04-16 |
|||
241 | [칼럼] 제조업 부활, 국내외 자본의 자유로운 투자 환경에 달려있다 박강수 / 2025-04-09 |
|||
240 | [칼럼] AI 기술, 기업의 자율적 혁신 장려 정책이 바람직 허원철 / 2025-04-02 |
|||
239 | [칼럼] 지역화폐, 재정낭비 줄이는 방향으로 개선 못하면 폐지해야 정구범 / 2025-03-25 |
|||
238 | [칼럼] 수도권 규제, 개별 지역 존립과 성장 기회 막는다 김진이 / 2025-03-18 |
|||
237 | [칼럼] 1가구 1주택 정책, 사유재산과 자유로운 부동산 시장 거래 침해 이준혁 / 2025-03-11 |
|||
236 | [칼럼] 전기차, 보조금 의존 벗어나 경쟁력 확보해야 조재운 / 2025-03-06 |
|||
235 | [칼럼] 트럼프의 관세 조치,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악영향 이예담 / 2025-02-25 |
|||
234 | [칼럼] 정부의 재정 지출과 통화량 증가가 물가상승 원인 정유진 / 2025-02-18 |
|||
233 | [칼럼] 대기업 규제 완화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해야 최정윤 / 2025-02-11 |
|||
232 | [칼럼] 상속세 완화로 기업의 大도약 지원할 때 임민정 / 2025-02-04 |
|||
231 | [칼럼]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 재정비가 필요한 동물보호법 오주연 / 2025-01-22 |
|||
230 | [칼럼] 국민연금, 세대별 차등화 넘어선 구조개혁 필요하다 김윤주 / 2025-01-15 |
|||
229 | [칼럼] 도서정가제, 독서문화 저변 확대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 김한슬 / 2025-01-08 |
|||
228 | [칼럼] 기업의 자율성과 청년 배제된 `65세 정년연장`, 소수에 혜택 돌아가 정유진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