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는 인류의 광기와 폭력으로 얼룩졌던 시대였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은 세계 5000만 명 이상이 희생된 20세기 최악의 재앙이었다. 당시 전쟁을 일으킨 독일은 홀로코스트를 통해 무려 600만 명에 이르는 유대인을 잔혹하게 학살했다.
나치즘과 파시즘의 문제
날마다 수많은 유대인이 수용소로 끌려갔고 가스실에서 억울한 죽임을 당했다. 역사상 유례없는 대학살과 야만적인 폭력에는 일말의 인간성도 존재하지 않았다. 대체 무엇이 독일로 하여금 사상 최악의 잔학무도한 역사를 쓰게 했을까?
주범은 바로 나치즘이었다. 당시 독일은 나치즘에 온통 사로잡혀 있었다. 나치즘은 이탈리아의 파시즘(전체주의)에 인종주의가 결합된 독일의 민족사회주의를 일컫는 말이다. 나치의 총통 히틀러는 유대인에 대한 적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유대인은 유목민도 아니고 늘 다른 민족의 체내에 사는 기생충일 뿐이다. 더구나 그들이 종종 지금까지 살고 있던 생활권을 버린 것은, 자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때에 따라 악용한 숙주 민족에 의해 추방당했기 때문이다.”
또한, 히틀러는 독일 국민이 게르만 민족 중심으로 세계의 질서를 재편하고, 인류의 진보를 위해 합심해야 한다고 소리 높였다.
“인종적으로 우월한 강자만이 세계를 지배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가 그 과업을 떠맡아야 하는 것이 세계사적 사명이다.”
이와 같은 나치의 주장은 일반적인 상식과 논리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그런데 어떻게 당시 독일 국민은 자기모순과 궤변으로 가득한 나치즘에 넘어가서 유대인을 무참히 학살했을까? 독일 국민이 원래 사납고 잔학했기 때문일까?
민족주의와 전체주의의 결합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다. 제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의 지옥도는 전체주의의 집단 최면 탓이다. 특히 당시 독일은 나치즘이라는 폐쇄적 민족주의에 사로잡혀 정상적 사고가 마비돼 있는 상태였다. 독일 게르만족 중심의 배타적 논리에 중독된 독일 국민은 ‘우리 독일’과 ‘우리가 아닌 적’으로 세상을 양분화했다.
독일 국민이 나치의 집단적 광기에 취한 결과는 잔혹했다. 이처럼 상상을 초월하는 전쟁 범죄가 가능했던 까닭은 개인이 사라진 집단의 논리 때문이었다. 집단주의에서 개인은 독립된 인격체가 아니라 집단을 구성하는 부품에 지나지 않으며 무조건적이고 무비판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 대표적인 예가 최악의 유대인 학살자로 꼽히는 아돌프 아이히만이다. 무려 수백만 명이나 되는 유대인을 죽음으로 내몬 아이히만은 사실 처음부터 유별난 악인도 기인도 아니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이웃 가운데 하나였을 뿐이다. 그런 아이히만이 ‘나치의 학살자’로 변신한 까닭은 다름 아니라 아이히만이 집단주의 논리의 노예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이히만은 자신의 재판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단지 충직하고 성실하며 정확하고 부지런한 사람일 뿐이었다. 나는 조국의 일원임을 명예롭게 생각하고 그 조국을 위한 이상적인 노력에 고무된 친위 대원이자 제국 보안본부의 한 사람이었을 뿐이다. 나는 결코 비겁하거나 배신자가 아니었다. 양심에 따라 스스로 반성해 봐도, 나는 살인자도 대량학살을 자행한 사람도 아니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아이히만은 처형되는 순간까지 죄의식이나 반성의 기미를 전혀 내비치지 않았다. “나는 내게 부여된 임무를 확고한 의무감에 따라서 수행한다”는 아이히만의 말대로, 그는 그저 자신이 맡은 역할에 충실했을 뿐이었다.
자유의 길이 아니다
이처럼 평범한 이웃조차 집단의 노예이자 인두겁의 학살자로 만드는 것이 전체주의의 함정이다. 흥미로운 점은 독일의 나치즘 혹은 히틀러주의 같은 극단적인 전체주의의 시작점이 바로 마르크스주의라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는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인간이 만든 예언을 절대적 논리마냥 인식하게 했다. 그리고 전체주의의 정치적 이념과 구조적 속성의 원형으로서 작용하며 세계 각지에 전체주의를 퍼트리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위험천만하기 그지없는 전체주의의 뿌리가 사회주의라는 것을 최초로 밝힌 사람이 바로 하이에크다. 하이에크는 1944년 출판한 저서 <노예의 길>에서 독일의 나치즘이나 이탈리아의 파시즘은 달콤한 말로 국민을 현혹하고 정권을 휘어잡으며 경제를 철저히 통제하는 일련의 사회주의 시도를 통해 독재정권을 합리화시키고 국민을 집단의 노예로 전락시키는 전체주의의 전형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집단주의가 민주주의를 지배하게 되면, 민주주의는 불가피하게 스스로를 파괴시킬 것”이라며 전체주의를 거쳐 사회주의로 가는 길은 바로 자유의 길이 아닌 독재와 노예의 길이라고 경고한다.
■ 기억해주세요
하이에크는 “집단주의가 민주주의를 지배하게 되면 민주주의는 불가피하게 스스로를 파괴시킬 것”이라며 전체주의를 거쳐 사회주의로 가는 길은 바로 자유의 길이 아닌 독재와 노예의 길이라고 경고한다.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
▶ | [시장경제 길라잡이] 극단적 집단주의가 초래한 비극 최승노 / 2020-07-06 |
|||
228 | [문화칼럼] 문화콘텐츠 한류의 중심은 K팝과 방탄소년단이 아니라고? 이문원 / 2020-07-02 |
|||
227 | [시장경제 길라잡이] 법치와 부패 최승노 / 2020-06-29 |
|||
226 | [시장경제 길라잡이] 사람은 혼자서 살 수 없다 최승노 / 2020-06-22 |
|||
225 | [문화칼럼] K팝은 내수시장이 작아 해외로 진출할 수밖에 없었다? 이문원 / 2020-06-16 |
|||
224 | [시장경제 길라잡이] 희소성이란 무엇인가? 최승노 / 2020-06-15 |
|||
223 | [시장경제 길라잡이] 원자력 에너지와 공포 최승노 / 2020-06-08 |
|||
222 | [문화칼럼] 1인당 영화관람 횟수 세계 1위 한국은 영화광들의 나라다? 이문원 / 2020-06-02 |
|||
221 | [시장경제 길라잡이] 맬서스 인구론의 오류 최승노 / 2020-06-01 |
|||
220 | [시장경제 길라잡이] 상속세, 기업을 위협하다 최승노 / 2020-05-25 |
|||
219 | [시장경제 길라잡이] 성공한 기업과 장수하는 기업 최승노 / 2020-05-18 |
|||
218 | [문화칼럼] 유럽영화는 예술적인 반면 미국영화는 상업적이다? 이문원 / 2020-05-18 |
|||
217 | [시장경제 길라잡이] `LA타임스`의 기사 쓰는 로봇 기자 최승노 / 2020-05-11 |
|||
216 | [문화칼럼] 문화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이문원 / 2020-05-04 |
|||
215 | [시장경제 길라잡이] 실패한 일본의 경기 부양책 최승노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