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길라잡이] 미국 GM의 위기와 노사 화합

최승노 / 2019-05-20 / 조회: 5,557

"강경 노조의 파업·무능한 경영진으로 GM은 파산에 몰려.

노조가 뒤늦게 무파업·복지 삭감 등 협력… 정상화 이뤘죠"


GM은 미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다. 포드, 크라이슬러와 함께 한때 미국 자동차 '빅3’를 형성하기도 했다. 대우자동차를 인수해 우리에게는 '한국GM’으로 친숙하다. GM의 출발은 거의 한 세기 전 자동차라는 문명의 이기(利器)가 시작된 역사와 함께한다. GM의 역사가 곧 자동차의 역사인 것이다.


'GM에 좋은 건 미국에도 좋다’


GM, 즉 'General Motors’란 이름이 붙은 유래도 재미있다. 20세기 초 미국은 여러 자동차 회사가 난립하는 중이었는데 그중에서도 컨베이어 벨트로 무장한 포디즘의 포드가 단연 두각을 나타냈다. 그런 포드에 맞서 여러 자동차 회사가 연합한 회사가 바로 GM이다.


포드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이긴 GM은 1950년대부터 미국을 넘어 세계 자동차 시장을 쥐락펴락했다. “GM에 좋은 건 미국에도 좋은 것”이란 말도 이때 나왔다. 발언 당사자는 GM 최고경영자(CEO) 출신으로 미국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낸 찰스 윌슨이다. 윌슨은 장관에 지명된 뒤 의회 인사청문회에서 “GM과 미국 정부 간에 이해가 충돌하면 어찌 하겠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그는 미국 정부의 이익에 맞는 결정을 내리겠다고 답하면서도 'GM과 미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GM의 이익이 곧 미국의 이익이라는 것을 확신한 것이다. 이 사건은 GM이 미국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기도 했다.


견고하게 보였던 GM도 흥망성쇠의 운명까지 피할 순 없었다. 오랜 매출 부진과 재무 구조 악화에 시달리던 GM은 2000년대 초 사브, 새턴, 폰티악 등 중복 브랜드를 정리하는 등 재기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럼에도 2009년 서브프라임 위기의 파고를 넘지 못해 공적 자금을 받았고 한때 미국 정부 지분이 60%를 넘는 등 공기업 신세로 전락하기도 했다.


과도한 복지와 파업의 연속


미국 자동차산업의 몰락은 비단 GM만의 일은 아니었다. GM에 이은 2위 기업인 포드도 오랫동안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크라이슬러는 아예 독일의 다임러에 인수됐다가 다시 이탈리아의 피아트로 팔려가고 말았다.


미국의 자동차산업이 주저앉은 데에는 여러 복잡한 이유가 있다. 하지만 그 책임의 상당 부분은 시종일관 비타협적이고 강경 일관이었던 미국의 자동차 노조 UAW에 물어야 할 것이다.


자동차 산업은 특성상 노조에 힘이 실리기 쉬운 구조다. 거대하고 길쭉한 자동차 생산 공정에서는 어느 한 공정만 멈춰도 전체 공정을 멈출 수밖에 없다. 물 흐르듯 제품이 흘러가야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떠올려 보면 이해하기 쉽다. 99개 공정에서 온건한 노동자가 작업을 해도, 한 개 공정만 강성 노동자들이 지배하면 공장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다. 몇 번의 파업을 통해 회사로부터 양보를 얻어낸 경험이 쌓이면 노조 안에서도 강성 노동자들의 발언권이 세지기 마련이다. 회사는 점점 더 노조 눈치를 살피면서 경영의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된다.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이 공장 자동화에 막대한 돈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도 한편으로는 이런 자동차 노조들의 행태가 낳은 업보다.


미국의 자동차 기업은 노조의 이런 발목 잡기에 국제 경쟁력을 상실했고 결국 파국을 맞았다. 미국 밖 자동차 업체들의 미국 시장 공략이 가시화되고 회사 경영 실적은 엉망인데도 노조의 임금 인상과 복리후생 증진 요구는 끊이지 않았다. 회사가 날아갈 지경인데도 GM이 오래전 회사를 나간 퇴직자들을 위해 100조원 넘는 연금·건강 보험료를 대납하고 있었다는 건 잘 알려진 이야기다. 이런 기업이 파산 절차를 밟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뒤늦은 후회와 참여


미국의 자동차 왕국이 무너지는 것을 본 UAW는 뒤늦게 후회하며 자신들이 누리던 기득권을 내려놓았다. GM이 2009년 파산 보호를 신청하자 UAW는 2015년까지 사업장 내에서 파업하지 않겠다며 선언하고 과도한 복지비용을 줄이는 데 합의했다. GM이 파산에 이른 배경에 노조의 잦은 파업과 사측에 대한 무리한 요구가 있었음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었다. UAW는 구조조정 및 임금동결에도 협조하며 회사를 살리는 데 뜻을 모았다. GM은 이런 노사 간 협력을 바탕으로 2013년 말 가까스로 구제금융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기억해주세요


회사가 날아갈 지경인데도 GM이 오래전 회사를 나간 퇴직자들을 위해 100조원이 넘는 연금·건강보험료를 대납하고 있었다는 건 잘 알려진 이야기다. 이런 기업이 파산 절차를 밟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139 [시장경제 길라잡이] 스타벅스의 진화와 기업의 성장
최승노 / 2019-05-27
최승노 2019-05-27
[시장경제 길라잡이] 미국 GM의 위기와 노사 화합
최승노 / 2019-05-20
최승노 2019-05-20
137 [시장경제 길라잡이] 노동의 사회적 의미
최승노 / 2019-05-13
최승노 2019-05-13
136 [시장경제 길라잡이] 평등주의 정책의 함정
최승노 / 2019-05-06
최승노 2019-05-06
135 [시장경제 길라잡이] 쇄국정책
최승노 / 2019-04-29
최승노 2019-04-29
134 [시장경제 길라잡이] 프로크루스테스 침대와 고무줄 잣대
최승노 / 2019-04-22
최승노 2019-04-22
133 [시장경제 길라잡이] 사회주의 경제는 왜 망했나
최승노 / 2019-04-15
최승노 2019-04-15
132 [시장경제 길라잡이] 누구를 위해 빵을 만드나
최승노 / 2019-04-08
최승노 2019-04-08
131 [시장경제 길라잡이] 소말리아 해적과 정부
최승노 / 2019-04-01
최승노 2019-04-01
130 [시장경제 길라잡이] 환경 쿠즈네츠 곡선
최승노 / 2019-03-25
최승노 2019-03-25
129 [시장경제 길라잡이] 봉사와 기부에도 철학이 있다
최승노 / 2019-03-18
최승노 2019-03-18
128 [시장경제 길라잡이] 공유지의 비극
최승노 / 2019-03-11
최승노 2019-03-11
127 [시장경제 길라잡이] 조선 상인 임상옥의 상인정신
최승노 / 2019-03-04
최승노 2019-03-04
126 [시장경제 길라잡이] 올바른 스펙 경쟁
최승노 / 2019-02-25
최승노 2019-02-25
125 [시장경제 길라잡이] 칭기즈 칸의 유언
최승노 / 2019-02-18
최승노 201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