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인재는 이미 많다. 문제는 활용과 발굴.

강기석 / 2021-12-21 / 조회: 287

가장 강력한소프트 파워 지닌 나라로 한국이 부상하고 있음을 순간 체감하는 요즘이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오징어 게임 세계적 파장을 일으키며, 1조원 가량의 수익을 기록했고, 한류 스타의 정점에 있는 BTS 공연으로 수백억 원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한국만의 독자적인 문화와 개성은 당장 눈에 보이는 엄청난 수익과 함께, 한국의 영향력과 경쟁력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자원 하나 나지 않는 대한민국의 경쟁력은 인적자본에서 나온다. 이는 한국의 교육열이나 한국만의 특이한 교육 시스템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노래를 부르면서 동시에 화려한 춤을 있는 한류스타부터 세계적인 대회에서 수상하는 학생들, 창의적인 콘텐츠로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드라마 감독들까지, 우리나라는 이상하게그냥인적자본이 많다. 


그렇다면 유독 문화와 콘텐츠 분야에서만 인적자본이 실력을 발휘할 있었을까? 이는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아무런 장애와 간섭없이 자유롭게 발휘할 있는 장이 마련된 덕분이다. k-pop 장르를 하는 뛰어난 인재들은 국내 방송사를 떠나, 인터넷을 통해 세계적으로 실력을 보여주면서 삽시간에 인기를 끌었다.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는 창작과정에서의 제약이 없는 넷플릭스 등의 OTT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빛을 내기 시작했다. 한국이 문화 & 콘텐츠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 혁신을 이룰 없는 것은 창의적인 인재가 기를 없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인적자본은 많지만 활용할 줄을 모른다. 


솔로우 모형에 따르면, 물적자본의 투자는 경합성을 가지기에 한계생산이 체감한다. 이에 균제 상태에서 1인당 경제성장률은 0 되고, 자본량과 산출량의 증가는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인구증가율과 같아진다. 하지만 내생적 경제성장 이론에서 루카스 모형은 인적자본을 통한 장기적인 경제성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인적자본 투자의 경우 비경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증가시키기에 한계생산이 변하지 않는다. 이에 장기적인 경제성장률이 정체되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한국은 인적자본이 풍부하기에, 이를 활용만 가능하다면 이론적으로 얼마든지 성장 여력이 있는 셈이다. 


인적자본 활용이 제한되는 요인은 번째, 역설적으로 인적자본이 많다는 점이다. 매년 정규 교육 과정을 받은 학생들이 노동시장으로 유입된다. 창의성 증진이 주된 목표가 아닌 주입식 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은 노동시장에서도 대기업에 자기 능력을 어필하기 위한 요소로 각종 스펙을 쌓는다. 지금의 한국 사회는 획일적인 인재를 양산하고 있다. 앞으로의 한국 사회는 숨겨져 있는 인재들의 잠재성과 창의성을 발현시키는 방향으로 교육 체계를 바꾸어 나가야 한다. 또한 근로조건이 좋은 대기업에만 노동 수요가 몰리면서, 생산에 참여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 준비로 낭비되는 실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견기업의 근로조건이 조금 개선되도록 국가가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인적자본 활용 제한의 번째 요인은 개개인이 감당해야 리스크다. 국가가 창업 아이디어의 획기성과 구체성을 충분히 심사하여 합당할 경우, 창업인이 감당해야 리스크를 분담해주어야 한다. 넷플릭스는 창작자의 기획을 충분히 심사하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모든 제작비를 지원한다. 과정에서 창작자의 창의력과 연출 방식에 어떠한 제약도 가해지지 않는다. ‘오징어 게임 각종 드라마는 이러한 경영 방식에서 기회를 얻고 기대에 부응했다. 국내 창업 기업이 실력을 발휘할 없는 요인은 현실적인 제약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재원이 부족하고, 실패했을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국가가 성장 가능한 아이디어를 지원하여 창의성이 마음껏 발휘될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기술적 혁신이 일어날 있다.


한국은 급격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던 격동의 20세기 동안 국가의 성장모델을 모방하고, 물적자본을 확충하는 데에 힘을 왔고, 그것은 적절했다. 하지만 경제 규모가 일정 궤도에 오른 지금, 우리는 다른 성장 전략을 짜야 한다. 그것은창의성의 증진이다. 한국만의 독자적인 문화가 지금의 경쟁력을 만들었듯이, 한국의 독자적인 창의성이 혁신과 장기적 경제성장을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 TOP

NO. 수상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41 최우수상 시장경제와 패션
김영민 / 2023-11-29
김영민 2023-11-29
40 최우수상 공평을 무기로 행사하는 불공평
김영휘 / 2023-11-29
김영휘 2023-11-29
39 최우수상 돈 안 받아도 돼요, 일하고 싶어요!
김한소리 / 2023-11-29
김한소리 2023-11-29
38 최우수상 지방, 이대로 괜찮은가?
최진송 / 2023-11-29
최진송 2023-11-29
37 최우수상 막걸리 시장에 시장경제가 유지됐으면 어땠을까?
이종명 / 2023-11-29
이종명 2023-11-29
36 최우수상 See far : 재산의 자유, 미래 발전을 위한 상속세 폐지
김지수 / 2023-11-29
김지수 2023-11-29
35 최우수상 기본으로 돌아가자 : 기업의 이윤 극대화 추구와 노란봉투법
이서진 / 2023-11-29
이서진 2023-11-29
34 우수상 인간의 심리과 경제의 교차 : 반려동물 장례식
정민식 / 2023-11-29
정민식 2023-11-29
33 우수상 공매도 금지,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조민석 / 2023-11-29
조민석 2023-11-29
32 우수상 천연다이아몬드 사라질까?
김현수 / 2023-11-29
김현수 2023-11-29
31 우수상 우리 가족의 시장경제
김은철 / 2023-11-29
김은철 2023-11-29
30 우수상 대학교육 탈상품화에 대한 논의
정형준 / 2023-11-29
정형준 2023-11-29
29 우수상 노동의 시장가격과 최저임금제
조남현 / 2023-11-29
조남현 2023-11-29
28 우수상 코미디계의 흥망성쇠로 보는 시장경제
이득영 / 2023-11-29
이득영 2023-11-29
27 우수상 유튜브의 소비자 선택 알고리즘
정은서 / 2023-11-29
정은서 2023-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