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선택한 혁신은 하이브리드카

최승노 / 2018-08-06 / 조회: 14,757       아시아투데이

 

50달러대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던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대로 다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연비가 높은 차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다. 소비자 입장에서 연료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만큼 연비가 높은 차에 대한 구매 욕구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금 자동차의 연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한 차는 무엇일까? 소비자의 선택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였다. 하이브리드카는 가솔린 엔진과 전기 엔진을 결합해 연료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차다.


효율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아서인지 판매실적에서 하이브리드카는 전기차와 수소차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자동차관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6월 말 현재 등록된 하이브리드차는 총 35만5871대로 우리나라 등록차량 2288만대 가운데 1.6%를 차지하고 있다. 전기차는 3만6835대, 수소차는 358대로 그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하이브리드의 판매대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18년 등록된 하이브리드카는 8만4315대로, 2015년 3만8968대, 2016년 6만2904대에 이어 늘어났다. 올해 상반기 하이브리드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차는 현대 그랜저 하이브리드로 1만2029대가 팔렸다. 상반기에 판매된 그랜저 5대 가운데 1대가 하이브리드였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그다음은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로 9782대가 팔렸다. 니로 하이브리드는 연비가 1리터당 19.5km로 SUV 차량 가운데 가장 높다.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선호는 수입차에서도 나타난다. 지난해 한국도요타의 국내 판매 차량 중 하이브리드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도요타 브랜드 63%, 렉서스 브랜드 93%에 달할 정도로 높다.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판매비중은 유럽에서도 45%로 높다. 도요타 하이브리드카의 세계 누적판매대수가 지난해 11월 1133만대를 넘어섰다. 이처럼 하이브리드카는 자동차의 새로운 혁신으로 소비자로부터 인정받으며 그 자리를 확고히 했다.


흔히 하이브리드카를 친환경 자동차로 분류한다. 친환경이라는 말은 사실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다. 소비자는 연료비를 고려하여 연비가 높은 차를 구매하지만, 이는 곧 친환경적 선택이기도 하다.


정부 입장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차에 대한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세금감면제도를 채택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친환경차에 대해 개별소비세, 교육세, 취·등록세 감면제도를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차라는 이유로 구매 보조금의 혜택까지 제공하는 것은 세금 감면과는 달리 그렇게 합리적이라고 볼 수 없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세금을 빼주나 보조금을 주나 실제로 내는 돈만 고려하면 그만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보조금은 그 금액에 상응하는 세금 재원을 마련해야 보조금을 지출할 수 있다. 누군가는 다른 사람의 자동차 구매를 위해 소비를 줄이고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것이다. 자동차 한 대에 수백만 또는 수천만원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지원하기 위해 줄어든 누군가의 소비가 사회적 편익이 낮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행히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보조금 50만원 지원이 내년부터 중단된다. 잘된 일이다. 이번 기회에 전체 차량의 0.1%에 불과한 전기차 등에 대한 보조금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보조금이 있어야 생존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커지는 만큼 자동차 회사들은 그에 상응하는 혁신에 나서게 된다. 혁신은 소비자의 편익을 얼마나 높이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소비자가 선택한 혁신이 좋은 것이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251 전세 사기, 반시장 정책의 비극
원영섭 / 2023-05-19
원영섭 2023-05-19
250 자유주의 가치동맹은 새로운 기회다
양준모 / 2023-05-11
양준모 2023-05-11
249 노동시장도 경제원리에 충실해야 노동자에게도 이롭다
최승노 / 2023-05-08
최승노 2023-05-08
248 민주노총이 우리 사회에 해로운 이유
최승노 / 2023-05-07
최승노 2023-05-07
247 올해의 최저임금 시즌이 곧 시작된다
윤상호 / 2023-04-19
윤상호 2023-04-19
246 노동개혁의 핵심은 노동생산성 회복
박기성 / 2023-04-17
박기성 2023-04-17
245 `저출산 탈출`을 위해 정부가 해야할 일
이진영 / 2023-04-13
이진영 2023-04-13
244 SVB의 파산이 주는 교훈
설윤 / 2023-04-06
설윤 2023-04-06
243 제2거래소 성공의 조건
최승노 / 2023-04-03
최승노 2023-04-03
242 기본소득, 단어부터 잘못됐다
이영환 / 2023-03-27
이영환 2023-03-27
241 [한파 경제 활로를 찾아서] 난방비는 시작이다
조홍종 / 2023-03-27
조홍종 2023-03-27
240 공공재의 무임승차와 강제승차
김영신 / 2023-03-20
김영신 2023-03-20
239 챗GPT 시대, 산업규제 개혁 과감히 추진해야
조한준 / 2023-03-09
조한준 2023-03-09
238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그 불공정 경쟁구조
이혁우 / 2023-03-09
이혁우 2023-03-09
237 변협과 로톡, 법정 대신 시장에서 경쟁해야
곽은경 / 2023-03-06
곽은경 2023-03-06